• Title/Summary/Keyword: 수입량

Search Result 58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Extruded Rice Product as Alternative to Lactose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Fecal E.coli and VFA in Weaning Pigs (유당 대체제로서 쌀 가공품의 수준별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능력, 설사빈도 및 분내 대장균과 휘발성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 Kim, Kwang-Ho;Choi, Young-Hwan;Long, Hong-Feng;Ju, Won-Seok;Son, Seong-Hoon;Oh, Hee-Kyung;Kim, Yoo-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6
    • /
    • pp.819-830
    • /
    • 2008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 levels of extruded rice product(Nutri-RS®) supplementation as an alternative to lactose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fecal E.coli and volatile fatty acid(VFA) in weaning pigs. Treatments were 1) Control(basal), L3(basal+3% extruded rice product), L6(basal+6% extruded rice product). The control diet in Phase I and Phase II contained 16 and 9% of lactose, respectively. For the feeding trial, a total of 81 crossbred pigs, averaging 7.56±1.18 kg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three treatments in three replicates with nine pigs per pen by RCBD.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otal 5 week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fec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among all treatment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igs fed diet of L6 tended to show higher BW and ADG, ADFI, and fec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reatment L6 showed the lowest fecal E. coli count among all treatments(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clusion of extruded rice product has similar performance a with 6% of lactose in diet for weaning pigs and reduce approximately 9% production cost of weaning pig's diet. Therefore, extruded rice product could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to lactose in weaning pig’s diet.

An Activation Analysis of Target("used H218O") for 18FDG Synthesis (18FDG 생산용 타겟("사용 후 H218O")의 방사화 분석)

  • Kang, Bo 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7 no.3
    • /
    • pp.213-219
    • /
    • 2013
  • Currently, about 35 cyclotrons have been operating in South Korea. Most of them are mainly used for the synthesis of radiopharmaceuticals such as $^{18}FDG$, which is a cancer tracer for nuclear medicine. Highly enriched $H_2{^{18}}O$ containing up to 98% of $^{18}O/O$ isotope ratio is used as the target for $^{18}F$ production. The price of the highly enriched $H_2{^{18}}O$ ranges 60~70 USD/g, and all of them have been imported from foreign country in spite of the very expensive price. The target (enriched $H_2{^{18}}O$) is non-radioactive before the proton beam irradiation. But, the post-irradiation target (used $H_2{^{18}}O$) must be managed following the National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ecause it turns into radioactive by the radioactivation of the impurities within the target. Recently, nevertheless of the fast increasing amount of used $H_2{^{18}}O$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nuclear medicine cases, any activation analysis on the used $H_2{^{18}}O$ have been conducted yet in Korea. In this research, activat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specific radioactivity(Bq/g) of each radioisotopes within the used $H_2{^{18}}O$. The analysis have been done on the 3 of 20g samples collected from the used $H_2{^{18}}O$ storages at different cyclotron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d $H_2{^{18}}O$" contains gamma emitters such as $^{56}Co$, $^{57}Co$, $^{58}Co$, and $^{54}Mn$ as well as the considerable amount of beta emitter $^3H$.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only one sample contained over exemption level of gamma emitters while the specific activity of tritium was lower than the exemption level in all samples. The specific activity of radioisotopes were measured different levels in the samples depending on the elapsed time after irradiation. Further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used $H_2{^{18}}O$" is definitely necessary, nevertheless the as-is results of this research must be useful in establishing a rational "used $H_2{^{18}}O$" management protocol.

Characteristics of Bed Media for Reducing Odor from Livestock Facilities (축사 악취저감을 위한 바이오필터 충전재의 악취제거 특성)

  • 한원석;장동일;방승훈;이승주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9 no.2
    • /
    • pp.93-102
    • /
    • 2003
  • This study designed and constructed an experimental column far adhesion efficiency test and conducted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offensive odor adhesion efficiency of filter bed materials. The offensive odor adhesio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mixture of high physical adhesion efficiency material, and the fixity of deodorization microorganism of selected filter bed material was tested using ammonia exclude microorganism A4-­2 and sulfur oxidation microorganism S5­-5.2 those were cultured at the Agricultural Chemical Department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of selected filter bed material mixture was tested. Following are summary of these tests results. 1. Amount of elimination of the offensive odor ga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per unit volume was 0.054 and 0.016$\ell/\textrm{cm}^3$ in rice hull, 0.01 and 0.004 $\ell/\textrm{cm}^3$ in rice straw 0.158 and 0.01 $\ell/\textrm{cm}^3$ in coconut, 0.014 and 0.02$\ell/\textrm{cm}^3$ perlite, 0.004 and 0.003$\ell/\textrm{cm}^3$ in high road ball, and 0.112 and 0.015 $\ell/\textrm{cm}^3$ in chaff of pine, respectively. 2. Amount of elimination of offensive odor ga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per unit volume was 0.045 and 0.014$\ell/\textrm{cm}^3$ in mixture 1, 0.079 and 0.016$\ell/\textrm{cm}^3$ in mixture 2, 0.123 and 0.017 $\ell/\textrm{cm}^3$ in mixture 3, 0.031 and 0.015$\ell/\textrm{cm}^3$ in mixture 4, 0.055 and 0.016$\ell/\textrm{cm}^3$ in mixture 5, and 0.111 and 0.020$\ell/\textrm{cm}^3$ in mixture 6, respectively. 3. The offensive odor elimination microorganism inoculated to mixture of chaff of pine(70%) and perlite(30%) showed the elimination efficiency of 99.06% and 96.61% against the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respectively, during 24 hours period.

  • PDF

Study of Sulfur Dioxide Contents in Various Fresh Vegetables During the Drying Process (건조에 따른 채소류 중의 이산화황함량 분석)

  • Ha, Sung-Yong;Kim, Hyun-Jung;Woo, Sung-Min;Lee, Jun-Bae;Cho, Yu-Jin;Kim, Yang-Sun;Bahn, Kyeong-Nyeo;Park, Jong-Seok;Kim, Hee-Yun;Jang, Young-Mi;Kim, Mee-Hye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5 no.4
    • /
    • pp.303-309
    • /
    • 2010
  • This study was planned to monitor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fresh vegetables. The analysis of sulfur dioxide was conducted by the Optimized Monier-Williams Method based on the Korea Food Code. The samples were kinds of vegetables which consisted of naturally-originated sulfur compounds (green onion, onion, cabbage, garlic, radish leaves, radish). Fresh vegetables (n = 182) and dried vegetables (n = 41) purchased from different local area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The fresh vegetables were dried at 50~$60^{\circ}C$ using hot-air dryer.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samples were adjusted to keep 10 percents.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 in self-dried vegetables were 104.6 mg/kg in green onion, 75.4 mg/kg in onion, 129.1 mg/kg in cabbage, 197.6 mg/kg in garlic, 23.0 mg/kg in radish leaves and 52.5 mg/kg in radish, respectively. The increase of sulfur dioxide content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reduction wa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It means that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 can be altered by other factors except moisture contents. This results can be utilized as materials for the safe management of sulfites of dried vegetables.

Electricity Demand in the Korean Households-A Technology/Sustainable Option-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에 관한 연구-기술개발/지속적 개발 시나리오)

  • 박희천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 no.1
    • /
    • pp.1-57
    • /
    • 1994
  • 본 고는 지속적 개발 론에 입각한 적극적인 에너지수요 관리정책을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2001년과 2006년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를 전망하고자 한다. 본 고는 지속적 개발 시나리오를 추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계량모형보다 일종의 공학적 모형인 공정분석(process analysis)을 선호한다. 계량모형이 주로 과거 수요의 소득 및 가격 탄성 치를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비하여 공정분석모형은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의 효율변화(향상)를 비교적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는 덴마크공과대학교 Norgard 교수팀이 개발한 모형을 도입하여 분석모형(수식 (6))을 전력수요 = 기기 수 $\times$ 전력서비스$\times$ 전력집약도와 같이 설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냉장고, 텔레비전, 조명 기기, 난방기기 등과 같은 전력사용 기기 별로 2001년과 2006년이 전력수요를 전망하였다. 본 고는 전력수요를 전력사용 기기의 사용용량(300리터 용량의 냉장고 등)과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전력서비스와 전력 서비스당 필요 전력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집약도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는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소득향상효과와 함께 기술발전에 따른 효율개선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1)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력서비스는 지금과 같이 증가한다, 2)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력사용 기기에 대한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실시한다, 3) 현재 사용중인 기기 들은 원칙적으로 수명이 다한 후 고효율 기기 들로 자연 교체한다, 4)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제외한 다른 제도 및 정책개선, 사용자의 에너지소비형태 개선에 따른 절전 잠재 량을 고려하지 않는다 등의 가정 하에 전력수요를 추정한 결과 1992년에 796 GWh(100)이었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는 2001년과 2006년에 29,237 GWh(134)와 33,118 GWh(152)로 각각 34%와 52%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1992년부터 2006년까지 가정용 전력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3%로 추정된다. 기기의 서비스(가구수$\times$기기의 보급 율$\times$기기의 전력서비스)가 소득향상에 따라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전력수요의 증가율이 GDP(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증가율 5.7%)보다 매우 낮은 것은 기기의 대형화와 기기의 보급을 증가에 따른 전력의 추가수요가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으로 대부분 상쇄될 것이기 때문이다. 향후 10년 내에 기기에 따라 전력사용량을 25%~50%정도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기술발전에 따른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효과는 본 고의 2006년도 가정용 전력수요의 전망치 33,118 GWh가 기존방식에 의한 한전의 전망치 61,155 GWh의 54%수준밖에 되지 않는데 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본 고는 경제성장과 환경보존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적 개발의 실천방안으로서 에너지 수요관리를 논하고자 한다.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촉진시키는 에너지 수요관리 통하여 우리는 에너지효율을 대폭 개선시키며 대기오염 배출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고는 에너지 공급관리(공급확충)위주에서 에너지 수요관리위주로서의 에너지정책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다. 에너지 공급시스템보다 에너지 수요시스템위주로 전체 에너지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광범위한 실시와 함께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유인책의 도입, 고효율 기기와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정보 등이 필요시 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현재의 산업구조와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의 기준을 미국보다 다소 낮게 설정한다면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도입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는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가칭 대기환경보존 및 에너지 수요관리기금의 창설을 제안한다. 전력부문의 경우 기금은 1. 탄소세, 2. 전력소비에 대한 수요 관리 세의 도입 혹은 3. 한국전력공사 전력판매수입의 일정 분으로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선진국들이 탄소세를 예정대로 도입한다는 전제하에 우리 나라가 2000년을 기준으로 탄소 톤당 8달러(석유 배럴 당 85센트)의 탄소세를 도입한다면 연간 7억 2,000만 달러(약5,760억 원)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이 중 연간 2,000억 원 정도를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에 지원한다면 우리 나라 에너지 시스템 효율은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ccording to gender in Korea adults: Using a population-based Korea National Health Check-up Database, 2011-2013 (우리나라 성인의 성별에 따른 비만유병률의 변화 :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2011-2013) 자료 이용)

  • Choi, Oh-Jong;Cho, Sung-Il
    •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 /
    • v.44 no.4
    • /
    • pp.87-97
    • /
    • 2018
  • Background: Recently, the prevalence of obesity (body mass index [BMI] ${\geq}25kg/m^2$) has been increasing rapidly worldwide over a short period. In Korea,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also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lifestyle changes, with differing pattern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ange in obesity prevalence according to gender among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using representative data, the National Health Check-up Database (NHCD), to follow-up individuals who had undergone checkups during both years in Korea (2011~2013). Methods: To analyze the changes in obesity prevalence in the recent two years, data regarding men and women who had undergone health check-ups in both two years (2011, 2013) were extracted. The final study population comprised 144,934 persons: 83,604 (58%) males and 61,330 (42%) females. Chi-square test within a univariate analysis, and the level of factor difference was verifi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Results: In 2011, one out of three participants was obese (BMI ${\geq}25kg/m^2$; male, 37.7%; female, 27.3%) and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ere overweight (BMI ${\geq}23kg/m^2$; male, 65.6%; female, 50.4%) requiring obesity management. For the two years, the BMI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1)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creased among both males and fe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higher among both genders with a longer duration of smoking, more smoking,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family history of diabetes. However, residence, income level, drinking status, psychiatric disorder, disability status and severity of disability were the opposite gender. Conclusion: In the analysis of data,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both men and women was increasing.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men and women was different in each variable. Thus, it will need to consider gender in developing health policies for obesity mediation and to provide integrated healthcare and management for those people.

Residual evaluation of ethyl formate in soil and crops after fumigation in green house (에틸포메이트의 하우스 농작물 훈증처리 후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양상)

  • Hwang-Ju Jeon;Kyeongnam Kim;Chaeeun Kim;Yerin Cho;Tae-Hyung Kwon;Byung-Ho Lee;Sung-Eun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3
    • /
    • pp.316-324
    • /
    • 2022
  • Ethyl formate (EF) is a potent fumigant replacing methyl bromide. The use of EF is limited to a quarantine process. Appling EF to agricultural field as a safe insecticide in greenhouse give us valuable benefits including less residual concern. In this regard, residual pattern after EF fumigation in greenhouse should be undertaken. In the previous study, we have established agricultural control concentration of EF to control pests in a greenhouse. EF was fumigated at 5 g m-3 level for 2 h. The concentration of EF inside a greenhouse was analyzed to be 4.1-4.3 g m-3 at 30 min after fumigation. To prepare an analytical method for residues in cucumber crops and soil in the greenhouse, the limit of detection(LOD) of the method was 100ng g-1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LOQ) of this method was 300 ng g-1. R2 values of calibration curves for crops and soil were 0.991-0.997. In samples collected immediately after ventilation, EF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be below LOQ level. In addition, EF level was below LOQ in samples collected at 3 h after ventilation except that leaf samples of melon during the flowering period showed a level of 1,068.9 ng g-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 used in quarantine can be applied to agricultural fields without residual issue as an effective fumigant for insect pest control.

Sources Identification of Anthropogenic Pb in Ulleung Basin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East/Japan Sea (동해 울릉분지 시추 퇴적물에서 안정 Pb 동위원소를 이용한 Pb의 기원 추정)

  • Choi, Man-Sik;Uoo, Jun-Sik;Kim, Dong-Seo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2 no.4
    • /
    • pp.315-32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b and stable Pb isotopes accumulated in Ulleung Basin core sediments (4) using MC ICP/MS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anthropogenic Pb in the East/Japan Sea. Leached (1M HCl) Pb concentration and isotope ratios ($^{207}Pb/^{206}Pb\;and\;^{208}Pb/^{206}Pb$) were nearly constant during 300 yrs past than 1930, but increased up to twice in concentration and as much as 3.41% (1.70%) after 2000. On the other hand, residual Pb concentrations were nearly constant for past 400 yrs. The accumulation rates of anthropogenic Pb in the basin area were in the range of $3.1-3.5mg/m^2/yr$, which were similar levels to total atmospheric Pb deposition fluxes from 1990s to the present. In the slope area, more increase of anthropogenic Pb accumulation than the levels expected from mass accumulation rate could be found after the middle of 1990s. From the detailed evaluation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accumulation rate and isotope ratios of anthropogenic Pb, we proposed probable sources and pathways of anthropogenic Pb. Pb emmision by coal burning from the China and Korea initiated the accumulation of anthropogenic Pb in the sediments of East/Japan Sea from 1930s. The accumulation of Pb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anti-nocking agents from both countries untill the beginning of 1990s, but from the middle of 1990s to the present, the phase-out of gasoline additives and the rapid increase of coal burning from the China maintained the atmospheric Pb levels in the Ulleung basin nearly similar to before. However, the local sources within this basin might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rapid increase of anthropogenic Pb accumulation in slope areas from the middle of 1990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Blends of Peatmoss and Perlite and the Selection of Rooting Media for Different Growing Seasons (다양한 종류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에 따른 물리·화학성 변화와 계절별 육묘를 위한 상토 선발)

  • Shim, Chang Yong;Kim, Chang Hyeon;Park, In Sook;Choi, Jong Myu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6
    • /
    • pp.886-897
    • /
    • 2016
  •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oting media for the establishment of plugs in a greenhouse are modified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greenhouse environment throughout the seas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tandard for rooting media for the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for each growing season (summer, winter and spring fall). Eight types of peatmoss (PM) and 4 types of perlite (PL) commonly used in Korea were collected and blended with the ratio of 7 parts PM to 3 parts PL (v/v) to make 32 different rooting media blends. We determined the total porosity (TP), container capacity (CC), air-filled porosity (AFP),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32 media blends, and 6 media blends were selected for seasonal use.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for plant easily available water (EAW), buffering water (BW),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nutrient contents in the 6 media blends. The TP, CC, and AFP of the 32 media blends ranged from 64.7 to 96.0%, 42.9 to 90.1%, and 1.3 to 27.8%,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type of PM and PL. The pH and EC of the PMs ranged from 2.96 to 3.81 and 0.08 to $0.47dS{\cdot}m^{-1}$, respectively. However, after blending the PM with the PL the pH was raised and the EC was lowered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summer growing season were Blonde Golden peatmoss (BG) + No. 1 perlite size < 1 mm (PE1) and Latagro 0-10 mm (L1) + No. 2 perlite size 1-2 mm (PE2). These two media blends had 89.8-90.9% of TP, 80.8-81.3% of CC, and 9.0-9.7% of AFP.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winter growing season were Sfagnumi Turvas (ST) + PE2 and Latagro 20-40 mm (L3) + PE2. These media blends had 79.9-86.7% of TP, 60.4-74.9% of CC, and 11.8-19.6% of AFP. The TP, CC, and AFP of two media blends, BG + No.3 perlite 2-5 mm (PE3) and Orange peatmoss (O) + PE3, selected for the spring and fall growing seasons, respectively, were 85.2-87.3%, 77.9%, and 7.4-9.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EAW of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spring, summer, and winter growing seasons ranged from 24.2-24.9%, 22.0-28.6%, and 18.0-21.8%, respectively, but the percentages of B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lected root media blends. The pH, EC, and CEC of the 6 selected media blends ranged from 3.11-3.97, $0.06-0.26dS{\cdot}m^{-1}$, and $97-119meq{\cdot}100g^{-1}$, respectively.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