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성 비타민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8초

마늘로부터 Allithiamine의 합성 및 정제 (Synthesis and Purification of Allithiamine from Garlic)

  • 김인환;이영철;김현구;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3-298
    • /
    • 1998
  • 수용성 비타민인 thiamine과 에탄올 마늘 추출물을 알칼리 상태에서 반응시켜 allithiamine을 합성하였다. 합성반응이 끝난 반응액으로 부터 ethyl acetate, diethyl ether, benzene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allithiamine을 분리정제한 후 DSC 분석, 원소분석, LC/Thermospray/Mass-spectromete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한편 allithiamine의 최적 합성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온도, 에탄올 첨가량 등이 조사되었다. pH의 경우에는 알칼리 영역에서는 반응 시간에 따라 allithiamine 합성속도가 급속히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산성영역에서는 매우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에는 $6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70^{\circ}C$ 이상에서는 반응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마늘에 대한 에탄올 첨가량에 있어서는 4배 이상 에탄올을 첨가하였을 때는 allithiamine 합성량에 큰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allithiamine 합성을 위한 최적 합성조건으로는 pH 8, 온도 $60^{\circ}C$, 마늘 : 에탄올의 비가 1 : 4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장아찌의 성분특성 및 관련 미생물 (Associated Microorganism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Pickles)

  • 정동옥;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37
    • /
    • 1995
  •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의 대부분 농가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으나 농가소득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떫은 감의 손쉬운 가공에 의한 대량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감장아찌의 화학적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 감장아찌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의 품질과 관련된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여 동정함으로써 감장아찌의 품질관리에 기여코자 하였다. 제조된 감장아찌 완제품의 수분함량은 80.04%, 당질함량은 13.72%로 원료감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회분함량은 염액에 침지한 감장아찌의 특성때문에 원료감보다 훨씬 높은 4.26%였다. 수용성 탄닌함량은 81.04mg%로 635.45mg%인 원료감보다 크게 감소되었고 총 비타민 C는 23.76mg%로 약간 감소되었으며 유리당은 포도당, 과당, 자당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17종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함량은 glutamic acid(24.97mg%), aspartic acid(24.02mg%), leucine(22.33mg%)의 순으로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2mg로 가장 낮았다. 감장아찌 제조와 관련된 미생물로는 세균 4균주와 효모 3균주가 각각 동정되었는데 동정된 Bacillus subtilis, B. cereus, B. pumilus, B. thuringiensis였고 효모는 Candida glabrata, C. guilliermondi and Hansenula였으며 진공포장하여 상품화한 감장아찌 완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포장의 부풀림과 감장아찌 맛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균은 효모인 Candida glabrat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채취시기(採取時期)에 따른 황칠(黃漆)나무 잎의 화학성분(化學性分) 변화(變化) (Seasonal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 김형량;정희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562-567
    • /
    • 1999
  • 채취시기에 따른 황칠나무 잎중의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분 함량은 계절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으나 지방, 회분 및 섬유 함량은 오히려 점점 증가하였고 단백질 함량은 봄부터 여름까지는 감소하다가 가을에서 겨울로 감에 따라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검출된 세 종류의 당이 모두 봄으로부터 겨울로 감에 따라 점정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포화지방산보다 불포화지방산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된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은 계절에 관계없이 각각 arachidic acid 및 cis-13,16-docosadienoic acid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15종이 검출되었는데 계절에 관계없이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계절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채취시기에 따라 그 함량이 약간씩 차이가 있어서 칼슘 또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른 무기성분의 함량은 거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계절이 점차 겨울로 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수용성 탄닌 함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새잎보다 성숙된 겨울에 채취한 잎에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황칠나무 잎 및 종실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and the Seeds of Korean Dendropanax (Dendropanax morbifera Lev.))

  • 김형량;정희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63-66
    • /
    • 2000
  • 황칠나무 잎과 종실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잎에 70.2%, 종실에 72.6%, 지방은 종실에 0.6%, 잎에 2.7%, 회분은 잎에 1.7%, 종실에 0.9%가 각각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단백질은 잎에 1.2%, 종실에 6.2%, 섬유는 잎에 5.1%, 종실에 9.0%가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비타민 C는 잎(56.9 mg%)이 종실(10.7 mg%)보다 더 많이 함유하였고 수용성 탄닌함량도 잎(746.1 mg%)이 종실(60.7 mg%)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잎과 종실에 함유된 유리당은 주로 sucrose, glucose 및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종실에는 잎에서 검출되지 않은 turanose와 xylose가 적은 양이지만 검출된 것이 특징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율이 더 높았으나 잎과 종실에 가장 많이 함유된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은 서로 달라 지방산 조성이 약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낮은 편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은 일과 종실 모두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등으로 비슷하였으며, 무기성분은 잎에는 칼슘, 종실에는 칼슘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국내에서 섭취되는 나물류에 함유된 일부 수용성 비타민의 함량 분석 (Analysis of Selected Water-Soluble Vitamin B1, B2, B3, and B12 Contents in Namul (Wild Greens) Consumed in Korea)

  • 윤지민;정혜정;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8
    • /
    • 2019
  •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vitamins $B_1$ (thiamin), $B_2$ (riboflavin), $B_3$ (niacin), and $B_{12}$ (cyanocobalamin) in namuls (wild greens), such as salads and side dishes, consumed in Korea were quantifi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V and fluorescence detection. All samples were prepared with recipes used in Korea.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nder the quality control of vitamin $B_1$, $B_2$, $B_3$, and $B_{12}$. The vitamin $B_1$, $B_2$, and $B_3$ contents in namuls consumed in Korea were analyzed.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_1$ was $3.018{\pm}0.016mg/100g$ in Putgochudoenjang-muchim.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B_2$, $B_3$, and $B_{12}$ were $0.279{\pm}0.003mg/100g$ in Gul-muchim, $12.241{\pm}0.040mg/100g$ in Chamchi-salad, and $8.133{\pm}0.371{\mu}g/100g$ in Pijogae-muchi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animal-based ingredients in salads provided for good intake of vitamin $B_{12}$.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od composition tables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health of Koreans.

육류 및 수산물을 이용한 조리식품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함량 (Water-soluble Vitamin Content in Dishes Containing Meat and Seafood)

  • 진민근;김병희;김민희;윤성원;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2-511
    • /
    • 2021
  •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water-soluble vitamins such as vitamin B1 (thiamin), B2 (riboflavin), B3 (niacin), B5 (pantothenic acid), B6 (pyridoxine), B7 (biotin), B12 (cyanocobalamin), and C (ascorbic acid) in dishes containing meat and seafood consumed in Korea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ltraviolet and fluorescence detection.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nder strict quality control of vitamins B1, B2, B3, B5, B6, B7, B12, and C.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1 was observed in Bugeo-gangjeong (1.373 mg/100 g) an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B2 (5.162 mg/100 g) was found in pig liver. Bugeo-gangjeong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3 (21.676 mg/100 g), and kkomak-muchim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s (43.310 mg/100 g) of vitamin B5. Vitamin B6 was not detected in most seafood dishes except for yangnyeom myeongran-jeot (0.274 mg/100 g) and was present at low levels or not present at all in meat dishes.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7 was 6.506 ㎍/100 g in saeu-jeon and kkomak-muchim showed the highest content (21.132 ㎍/100 g) of vitamin B12.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C was in yangnyeom myeongran-jeot (84.508 mg/100 g). In addition, the analysis methods of each water-soluble vitamin were verified. These results showed that seafood-based ingredients in several dishes could be a good source of water-soluble vitamins.

전통발효식품의 육성 방안과 세계화 전략

  • 신동화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7권2호
    • /
    • pp.2-2
    • /
    • 2008
  • 발효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으며 과학 기술발전에 따라 자연 발효에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다. 발효는 미생물과 미생물이 생산한 효소의 작용으로 일어나는바 미생물 관리를 통하여 실로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역할의 범위도 지극히 넓다. 즉 원하는 최종 제품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을 선택하거나 발효조건을 관리하여 목적 지향적 완제품 생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한국인의 식단을 이루는 기본은 각종 발효 제품을 근간으로 하는 조미료이며, 조미료에 따라 맛의 변화가 온다. 발효를 통하여 소화성의 증대, 비타민 등 새로운 미량물질의 생산, 풍미의 개선 혹은 새롭게 창조하거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도 하며, 사용하는 원료와는 완전히 다른 신제품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근래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여러 기능성 물질이 발효를 통하여 생성되며 이들이 인체 내에서 긍정적 역활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전통식품 중 발효식품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곡류 중심의 식단에 맛을 부여하여 먹는 즐거움을 주고 전망있는 다른 산업으로 발전 해 나갈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발효식품은 다양한 원료를 사용 할 수 있고 원료에 따라 많은 서로 다른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주요 발효식품은 김치를 포함한 절임류, 곡물 또는 과실을 이용한 주류, 어류로 각종 젓갈을 만들 수 있으며 근래 수요가 늘고 있는 요구르트 등도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다. 특히 발효식품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이 probiotic으로 작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항산성 유지 및 유해 세균의 증식억제 등 긍정적 역할을 하며 우유 발효균으로 알려진 젖산균류 뿐만 아니라 다른 세균들도 probiotic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장류에 많이 관여하는 Bacillus 속 들의 긍정적 역할이 속속 알려지고 있다. 또한 발효를 통하여prebiotic도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발효식품의 기능성의 과학적 입증 발효의 과학적 관리,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안전성도 검토할 대상이다. 또한 심도있게 발효 관여 미생물을 탐색, 동동하고 발효기반의 이용확대, 맞춤형 특수 미생물의 탐색과 용도 확인 등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발효식품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성의 과학적 기반 구축과 전문 학술 활동을 통한 홍보, 현지 식품에 맞는 fusion food의 개발도 필요하다. 발효식품을 포함한 전통식품은 경제적 측면과 함께 문화적 가치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고 다문화 추세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를 수용 할 필요도 있다. 전통 발효식품을 우리 식문화를 세계에 전파시키는 좋은 매체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홍차로부터 기능성 성분의 침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Leaching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of Black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신경아;이고은;오영환;노정은;윤성란;이정은;김귀란;전은주;정헌식;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6-71
    • /
    • 2008
  •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하여 홍차의 침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침출물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성을 모니터링하고 최적 침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수용성 성분의 침출수율, 환원당,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등은 침출온도가 높아지고 침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78.28{\sim}87.08^{\circ}C$$3.97{\sim}4.27$분으로 침출할 경우 최대값을 얻을 수 있었다. 비타민 C는 침출온도가 높거나 낮고 침출시간이 길거나 짧을 경우에 감소하였으며 $61.29^{\circ}C$와 2.68분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침출온도가 높거나 낮고 침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68.30^{\circ}C$와 0.54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홍차 티백의 기능성 관련 성분을 고려한 최적 침출조건은 침출온도 $63{\sim}79^{\circ}C$와 침출시간 $1.5{\sim}2.1$분으로 예측되었다.

전남지역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around Chonnam Area)

  • 박복희;조희숙;유맹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65
    • /
    • 2003
  • 전남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2개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를 수거하여 -1$\pm$1$^{\circ}C$의 김치냉장고(ANAX, KC-070S)에 보관하면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김치 담그는 시기는 2001년 11월말부터 12월 중순이였으며 8개월 가량 숙성한 뒤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추김치는 pH는 4.75 정도였으면 산도는 0.84% 수준이었다. 염도는 3.50%였으며, 환원당은 13.25mg%를 나타내었고, 김치의 저장 과정 중 커다란 변화중의 하나인 총 비타민 C는 10.18mg%가 함유되어 있었다. 휘발성 산도는 0.09%를 나타냈으며, 산화환원 전위값은 시료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Eh/sbu 7/ 값이 -134.08mV였다. 색도는 L값이 52.29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a값과 b값은 19.68 및 27.69를 나타내었다.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총 균수는 5.5${\times}$$10^{6}$을 나타내었고, 총 젖산균수는 4.6${\times}$$10^{5}$, 총 효모수는 8.8${\times}$$10^{5}$을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직감의 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9.26kgf로 나타났다. 펙틴 조성의 변화를 보면 알코올불용성 고형물함량은 5.53%를 나타내었고, 알코올불용성 고형물로부터 분리해 낸 열수가용성펙틴(HWSP), 염가용펙틴(NaSP), 산가용성펙틴(HClSP)의 함량비를 살펴보면, methoxyl group이 비교적 많은 수용성 펙틴인 열수가용성펙틴(HWSP)은 17.35%, low methoxyl group을 갖고 있는 펙틴질인 염가용성펙틴(NaSP)은 29.65%, protopectin의 양으로 표시되는 산가용펙틴(HClSP)은 53.0%로 나타나 산가용성펙틴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높았다.

  • PDF

전두부와 일반두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and Whole Soybean Curd)

  • 이형재;신홍철;이유석;김진영;문영학;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7-121
    • /
    • 2009
  • 일반두부는 제조과정에 있어 비지가 제거되어지며, 압착에 의한 성형을 행한다. 그러나 전두부는 대두 그 자체의 분말을 여과나 압착 과정없이 용기 내에서 응고시켜 제조된다. 그래서 일반두부와 전두부 간에는 영양성 및 기능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그들 각각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일부 특수성분 분석과 물리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의 경우 회분,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K_1$, 나이아신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에 있어 우수성이 관찰되었으며, 수용성 성분과 식이섬유 공급원으로서 전두부가 일반두부에 비해 보다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일반두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식이섬유가 전두부(3.41${\pm}$0.75 g/100 g)에 높게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도 전두부의 경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형태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일반두부 보다 전두부 쪽의 조직이 현저히 미세한 망상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물성 및 형태학적 특성은 전두부의 경도 및 식감에 있어 우수성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