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업 질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by Teaching Methods of Theory and Practice Subjects before and after COVID-19 (코로나19(COVID-19) 전·후 이론 및 실습 교과목의 교수방법에 따른 뷰티전공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차이 연구)

  • Kim, Jong-Ra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253-263
    • /
    • 2021
  •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class satisfa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y empirically analyzing changes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such as face-to-face(FTF) classes, non-face-to-face(NFTF) classes, and blended classes of theories and practical subjects before and after COVID-19, targeting beauty major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practical classes than theoretical classes. For data analysis,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and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s for theoretical subjects before and after COVID-19, 10 items out of 20 ite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8 items out of 20 items in the practical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mproved by applying efficient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items affecting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se theories and practical subjects.

A Study on CQI Form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lass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CQI양식 연구)

  • Cho, Bo-Ra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115-12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CQI forms implemented at A university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Under the reorganiz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iversity A has improved the CQI form so that the planning, process and outcomes of class can be managed systematically. This study proposes a CQI for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has undergone a revision process through external expert verific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developing the CQI form, the questions were composed to evaluate and reflux the entire course of the class, including the planning, operation, results, and feedback of the class. Second, i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uch as last semester, current semester, and next semester to prepare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so that the effect of continuous class improvement and reflux can be obtained. Third, integrating the lesson plans and lecture evaluation results in the preparation of CQI increased the convenience of instructors. Fourth, the objective results (achievement results for each evaluation tool, lecture evaluation results) were provided to the instructor so that they could sufficiently reflect on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CQI development.

Analysis of class adaptation and satisfaction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Handong Global University case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수업 적응도 및 만족도 실태 분석: 한동대학교 사례)

  • Kim, Woo-sung;Choi, Hyeb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5
    • /
    • pp.109-119
    • /
    • 2021
  • With the coronavirus outbreak in China at the end of 2019, a global pandemic, most universities held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spring of 2020. One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ies that abruptly conducted non-face-to-face education was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existing indicator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degree of adapt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cture held at Handong University in the spring of 2020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revious data of the same lecturer. Overall, both class adaptation and satisfaction scores were found to be similar or slightly higher than before. Compared to lectures conducted by uploading recorded lectures, lectures conducted in real time had higher scores on all satisfaction survey ques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teacher's previous online lecture experience.

Factor Derivation of Course Evaluation and Priority Analysi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강의평가 요인도출과 우선순위분석)

  • Su-Hyun Ahn;Sang-Jun L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3
    • /
    • pp.513-522
    • /
    • 2022
  • Course evaluation serves as helpful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improve lectures. This study derived the factor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FGI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onstitute course evaluation and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factors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this, it derived five factors and 15 evaluation items as follows. To secure expertise and fairness in the factor development of course evalu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ing students and teachers and collected a total of 20 valid data.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that had been verified for consistency. The analysis concluded that students rated class content, class method, class operation, class evaluation, and class plan as the critical factors in the order of importance, while teachers evaluated class content, class operation, class method, class evaluation, and class plan as important, in that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analyses and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college education.

Effects of Game programming on Creative personality and immersion of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Ahn, Mi-Lee;Na,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92-1594
    • /
    • 2011
  • 국가적 차원에서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많은 아동보호센터 및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그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방과 후 교육이 제공되고 있는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아왔다. 본 연구는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방과 후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재교육의 일환으로 여겨져 왔던 창의성 교육을 조명하였다. 저소득층 청소년의 창의력 인성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A시 5곳의 아동보호시설에서 운영되고 있는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창의적 인성검사는 크게 자기확신(Self Confidence), 호기심(Curiosity), 인내(Patience), 개방성(Openess), 모험심(Adventure)으로 구분하여 t검증을 통해 유의한가를 분석하였다. 다섯 가지 영역의 평균은 실험집단이 높았으나, 이 중 '인내' 영역이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고, 이로 인해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수업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과제 수행에 있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도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 확신, 호기심, 개방성, 모험심 네 가지 영역에 대해서는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학생들에게 이 네 가지 영역을 균형적으로 길러주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강사진의 교수법 연수, 교육과정의 개선, 학생 동기 유발, 학생 독려 및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개선시켜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Online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Open Secondary High Schools (방송통신고등학교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

  • Kim, Sung-mi;Lee, E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5-166
    • /
    • 2016
  •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를 맞아 방송고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콘텐츠 설계를 위해서 콘텐츠 질 분석, 수업 구조 분석, 화면 로그인 경로 분석 등을 통해서 시행하고 방송고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은 먼저 크게 수업 설계, 수업 실행, 수업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설계는 학습자 분석, 교수환경분석, 교수 분석, 교수 전략개발의 단계를 가지고 있다. 수업 실행은 수업에 대한 동기 유발, 선수학습 회상, 수업 목표 제시, 수업 내용 제시 및 학습 안내 제공, 수행 행동 유도 및 피드백 제공, 목표 수행 평가, 파지 및 전이 단계를 가지고 있다. 수업 평가는 최종 수업 평가 및 최종 피드백 제공 단계를 가지고 있다.

  • PDF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Run University Remote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원격수업 운영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Kim, Su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559-56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run remote classes after COVID-19 with university professors have fully experienced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factors and the combinations of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run remote classes in the post-COVID-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11 remote classes at S Univ. in Seoul in fall 2020, and individuals and combinations of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As a result, individual factors were quality management, online office hours, quizzes midterm oral exams, video development, and student-student and instructor-student Q&A type between face-to-face and remote class. As combinations of factors, it was found that quality management×quiz×student Q&A and quality management×quiz×voting type had an effect on whether to run remote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o run and support remote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Design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Student Feedback Information in Asynchronous Indivisual Learning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피드백 정보 수집 및 활용 시스템의 설계)

  • Tae-Hwan Kim;Dae-Soo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81-682
    • /
    • 2023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 아니다 보니 수업 콘텐츠에 문제가 있거나, 설명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이 교수자에게 전달하는 것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업 콘텐츠를 듣는 학습자들의 피드백 정보를 교수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에게는 온라인 녹화 수업 콘텐츠를 정지했을 시 정지 사유를 조사하고, 정지 사유와 정지한 콘텐츠의 시간 정보를 교수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교수자에게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녹화 수업 영상의 피드백 정보와 정지시간을 교수자에게 그래프로 나타내어 한눈에 수업 콘텐츠의 문제점이 많은 부분을 파악할 수 있게 해서 전달한다. 교수자는 피드백을 반영해 콘텐츠를 재업로드하여 질 높은 수업 콘텐츠로 인해 학습자들은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Difficulti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Story-Telling Classroom management (보육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운영의 어려움)

  • Moon, Hyoun-Kyoung;Kang, Young-Sik;Kim, Mi-S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85-788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운영의 어려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수업운영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내용과 의미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의 향상과 다양한 수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보육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돕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어린이집에서 담임으로 근무하는 교사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관찰, 심층면담, 동료교사와의 협의, 교사의 저널쓰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수업 운영에서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준비를 위한 시간부족과 유아와의 상호작용, 교사의 발문, 유아의 주의집중에서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수업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교사가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학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QALT using Navigation Model (네비게이션 모델을 이용한 QALT의 설계 및 구현)

  • 김행곤;신호준;김정수;한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601-603
    • /
    • 2001
  • 초고속 인터넷 망의 구축에 따라 정보통신 교육이 활성화에 힘입어 직.간접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웹 기반 원격강의는 원거리 학습자들의 학습욕구를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되도록 전체적인 수업을 진행하므로 학습과정에서의 질의 응답을 교수자에게 면대면으로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습자가 요구한 질의 내용을 잘못 이해함에 따라 교수자가 학습과정에서의 피드백 제공을 하지 못함으로써 개인학습의 동기부여가 감소됨에 따라 흥미를 입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설계를 위해 네비게이션 모델을 통해 질의 응답을 지원하는 QALT(Question Answer Learning Tool)를 설계 및 구현한다. 원격강의는 웹 상에서 기본적인 컨텐츠를 제시하고 그를 통해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질의 응답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다대(One-To-Many)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는 교수자가 지정한 교육용 서버를 통해 텍스트 형식이 아닌 강의자료로 쓰인 문서파일에 직접 작성하여 질의 응답을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교수자와 학생간의 질의 응답을 통해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학습도구로써의 사용이 증가될 것이다. 또한 서버에서의 폴더 서비스와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질의 응답이 가능함으로써 학습자는 강의파일에서 그림에 관한 질문에 효과를 볼 수 있고 교수자는 질문 받은 내용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쉽게 볼 수 있으므로 빠른 응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