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관찰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에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 학습성과와 학생 만족도 측면에서 (Effects of Pair Programming in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for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tudent Satisfaction)

  • 정충교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7-545
    • /
    • 2017
  • 대학교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에 짝 프로그래밍 방식의 실습을 도입하여 운영한 경험과 교훈을 소개한다. 짝 프로그래밍을 적용하지 않은 반과 적용한 반의 수업 성과와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당 수준의 짝 프로그래밍 성과가 관찰되었지만 짝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실습한 학생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일부 학생들에게서는 뚜렷한 학습 성과가 있었고 일부 학생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짝을 어떻게 지어 주는가가 수업 성과와 학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이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 수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짝 짓는 방안을 포함하여 짝 프로그래밍을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상호작용 촉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Instruction for Promotion of Students' Interaction)

  • 김경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64-170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수업에서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상호작용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로봇활용수업은 인지적 정의적 초인지적 상호작용이 고루 분포되었으며 특히 초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세부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로봇매체가 중개자가 되어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히 촉진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명료화와 정교화에 관련한 초인지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조성되었다. 따라서 로봇활용수업은 학생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삼삼오오로 더불어 활동하는 수학수업

  • 김종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0권
    • /
    • pp.461-485
    • /
    • 2000
  • 21세기 정보화 시대에는 알고 있는 지식의 대부분이 짧은 생성 주기를 가지게 되어, 다양한 변화의 시대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우리는 이것을 체험하고 있다. 열린수업에 대한 연구가 끝나기도 전에 수준별수업, 이번에는 멀티미디어 수업, 올해는 수행평가와 체험수업 등으로 다양한 변화를 권장받고 있다. 그리고 변화는 더욱 가속될 것이며, 또 다른 새로운 이름의 학습모형이 계속해서 나올 것이지만 그래도 일관된 방향성을 찾는다면, 가르친다는 것이 '지식의 전달'에 근거한 권위적인 모델로부터 '배움의 자극'을 제공하는 학생중심의 수업으로, 개별적인 학습활동과 더불어 소집단 공동학습활동을 중시하여, 발표${\cdot}$토의 활동과 관찰, 조사 등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협력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쪽으로 바뀌어 가는 것이다. 다음의 예는 구서여자중학교 중심 MathPower 교과연구회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학적 힘을 기르는 몇 가지 방법으로, 수학적 개념을 가르치는데 가장 적절한 예는 아닐 수도 있지만, ${\cdot}$ 학습수준을 고려한 교양으로서의 수학. ${\cdot}$ 협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수학. ${\cdot}$ 창의성과 인재에 중점을 둔 수학. 교육으로,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작 및 활용으로 교실이 다른 사람과 협동적으로 사고하며,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나누는 장소가 되어, 가슴이 따뜻하며, 재기발랄한 아이들이 IQ와 EQ, 그리고 창의력을 두루 맛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 PDF

사례 연구를 통한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in Middle School Science Lessons through Case Study)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9-277
    • /
    • 2016
  • 최근 들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나인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사례연구 중학교에서 관찰한 공개수업과 수업컨설팅 협의회 등에서 드러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분석하고, 참관한 과학수업에 대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과 컨설턴트들이 사후에 수업동영상을 시청하고 별도의 수업컨설팅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받은 과학수업은 과학과 탐구실험을 텍스트를 읽어내는 형태로 진행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오개념이나 과학과의 정확한 용어 표현이 간과되는 수업이 진행되며, 수업목표 설정과 수업 진행, 수업 분량 등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는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과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범교과 수업컨설팅이 필요한 까닭을 살펴보았다. 또한, 범교과 수업컨설팅 진행 방식에서 발견되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칭찬 위주 사후컨설팅에 대한 대안, 교과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활용하는 방법, 컨설턴트의 권위에 대한 개선 방안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교육 실제의 이해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 나귀수;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3호
    • /
    • pp.275-29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 설문 조사, 수업 관찰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널리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법(또는 발문 중심의 방법), 활동 중심의 방법, 소집단 협동 학습 방법, 공학적 도구 활용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가장 미흡한 것으로 분석된 점은, 교사들이 추구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다소간은 외형적인 충실함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특정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고 할 때, 그 방법의 절차적인 순서와 같은 외형적인 측면과 함께, 그 교수·학습 방법에서 본질적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PDF

수업컨설팅 및 식생활수업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Teaching Consulting and Dietary Cla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8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수업컨설팅과 식생활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가정과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업공개에 대하여 62.6%의 교사가 부담을 많이 갖는다고 응답하였고, 자신의 수업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교사는 29.5% 뿐이었다. 수업컨설팅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교사는 56명(40.3%)이었으며, 받아본 적도 해준 적도 없는 교사는 48명(34.5%)으로 30대와 50대 이상의 수업컨설팅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 수업컨설팅이 필요하다고 하였고(65명, 46.8%), 수업컨설팅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받고 싶다고 응답한 교사가 78명(46.1%), 보통이다 46명(33.1%)으로 대부분의 가정과교사는 수업컨설팅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컨설팅을 받고 싶은 사람은 106명(76.3%)의 교사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동료교사에 의한 컨설팅을 원하였다. 식생활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매체는 시청각자료가 가장 많았고(47.5%), 개인차에 대한 피드백은 학생의 반응관찰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으며(73.4%), 강의식 수업이 58.3%로 가장 많이 실시되는 수업형태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수업 진행 시 갖는 어려움의 정도는 2.60/5.00점이었으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진행의 어려움이 3.2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학생참여 유도(3.11점), 적절한 교수매체 선정(2.88점), 매체 제작(2.88점), 교사 및 학생활동 계획(2.85점) 순이었다. 따라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식생활교육에서 가정과교사의 선도적인 역할을 위해서 가정과교사는 수업반성, 자기장학,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끊임없는 훈련과 노력으로 식생활 수업역량을 강화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 PDF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선경;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5-3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교수실행에서 사용되는 수업전략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영재교육 전문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4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수업 관찰, 반 구조화된 면담, 학생보고서 및 사진자료 등이며, 일정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각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전략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명의 교사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학습 유형 - 속진 혹은 심화 -에 따라 각기 다른 수업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분위기, 교사-학생 및 학생-학생의 상호작용방식, 보고서 작성 측면에서 4명 교사의 수업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한 수업전략들은 교육경험이 적은 교사들이 과학영재를 위한 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과학영재들을 지도하는 전문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 양정은;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210-224
    • /
    • 2020
  • 본 연구는 1년간 동료 교사들과 과학 탐구 수업을 협력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한 다섯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 계획 및 성찰 대화, 개별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의 교사들은 학생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여 스스로 과학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한 과학 교육 목표라는 '과학 탐구 교육 목표'에 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치밀한 수업 설계와 학생의 능동적인 과학 탐구 수행을 통해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과학 탐구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논의를 활용한 교수가 학생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조직하여 과학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논의 기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가 과학적 증거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과학 지식을 형성한다는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인식론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지향을 가지게 된 것은 1년 동안 동료 교사와 함께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및 실행을 하고 성찰하며 수업을 개선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 강현영;탁병주;고은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857-880
    • /
    • 2016
  •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은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핵심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시기에 수업 경험의 기회가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로 구성된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제 개발과 수정, 그리고 수업 관찰과 분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가 모두 참여함으로써, 이 모델이 현장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통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경험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 등 교사효능감과 교직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현장교사-현직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이 하나의 교사교육 체계로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Faiths on Experiments in Science Classes)

  • 팽애진;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6-161
    • /
    • 2005
  • 이 사례 연구는 두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실험 수업에 대한 신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형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 구조화된 면담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계획서와 수업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각 교사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이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을 하였다. 자료는 귀납적인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삼각측정법과 동료검증의 방법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실험 수업에 대한 신념은 구성주의적이었으나, 이러한 교사들의 신념은 실제 수업과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탐구 수준에 대한 부적절한 판단과 그로 인한 탐구 활동의 부적절한 재구성 등이 교사의 신념과 실제 수업 사이에 발생하는 괴리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