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량효율

Search Result 8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t Diameter and Substrate Weight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봉지직경 및 배지량에 따른 생육 특성 비교)

  • Lee, Yun-Hae;Cho, Yun-Jeong;Kim, Hee-Dong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0 no.1
    • /
    • pp.18-2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efficient pot diameter and substrate weight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ng substrate was pine sawdust+beet pulp+cotten seed flour (50 : 30 : 20, v/v). Ranges of pot diameter and substrate weight were $10{\sim}20\;cm\;and\;600{\sim}2,500\;g/pot$, respectively. Smaller pot diameter resulted in longer pot length according to increasing substrate weight, so mycelial growth period and total cultivation period was retarded. Wider pot diameter resulted in a little lower biological efficiency in the same substrate weight. Heavier substrate weight was brought higher yield but lower biological efficiency. Average yield according to pot diameter was decreased at wider than 14 cm during second flush. And average biological efficiency according to substrate weight was lower than 100% at heavier than 1,200 g/pot during second flush. So suitable pot diameter and substrate weight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were estimated $10{\sim}14\;cm\;and\;800{\sim}1,200\;g$, respectively.

Market Efficiency Analysis of MVNO (MVNO 도입에 따른 시장효율성 분석)

  • Seo, Il-Won;Lee, Duk-H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4B
    • /
    • pp.234-245
    • /
    • 2007
  • There are lots of controversies over the introduction of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policy to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s market. MVNO is a kind of service-based competition in mobile marke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ipple effect of MVNO regulation and also desirable ways of implementing the policy. Based on Laffont, Rey and Tirole(1998), Armstrong (1998) model, theoretical MVNO model is defined and derived implications of price, quantity in the market. According to the model, the fact that MNOs have one-way access profit leads the static efficiency by lowering its market price. In regarding the most desirable way to enhance social welfare is revealed as 'two MNOs conduct MVNO' other than 'One MNO does' or 'Structurally divided network'.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grocybe aegerita and Ganoderma lucidum by using Rice hull media (왕겨배지를 이용한 느타리, 버들송이, 영지 병재배 효과)

  • 이희덕;김홍규;김용균;이가순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3
    • /
    • pp.213-219
    • /
    • 2001
  • Rice hull was used as an additive in order to determine the its effect on increse of mushroom growth and yield in Chungnam Provincial techinical institution. In the treatment of 80% rice hull in small Neutaribeosut, mycelial growth duration was shown to be shorter about 11 days and yield increased about 7oie than those of conventional culture. In the case of Chongpung Neutaribeosut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duration was shorter about 2 to 3 days in additive of 30 to 80% rice hull compared to conventional, but yield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In the treatment of 30% rice hull in Agrocybe aegerita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and yield increased 6 days and 6% than those of convrntional, respectively. In the treatment of 30% to 40% rice hull in Ganoderma lucidum bottle culture, mycelial grow durations were similar 45 days and 38 g/bottle.

  • PDF

Estimation of Available Recurrent Water in Small Watershed of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소유역 순환용수 가용수량 추정)

  • Bang, Na-Kyoung;Nam,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9-5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의 상습화와 농촌용수 수요증가에 대비할 수 있는 가뭄대책의 수립을 통한 용수부족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소의 필요성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한 순환형 농업용수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가뭄이 극심하였던 충청남도 대사저수지, 풍전저수지와 경기도 마둔저수지에 대하여 기상분석, 관개분석, 수리분석 등을 수행하여 이수관리, 관개만족도, 회귀수의 재이용 등을 예측 관리할 수 있는 순환형 농업용수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선제적으로 가뭄 발생 들녘의 용수공급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 소유역 순환용수 가용수량을 추정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강우유출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원, 천안, 이천관측소의 강우, 최고/최저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자료를 일자료로 활용하였고, 10년 평균 유출량을 순별로 산정하여 기본자료로 구축하여 주요 취입보 유입수량을 산정하였다. 주요 취입보 유입수량 산정과 취입보의 용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시설별 높이차와 하천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였으며 물수지는 보유용수량과 유입량의 합에서 공급수량을 제외한 값으로 정의하였고, 내용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범람되는 것으로 구현하여 마둔, 대사, 풍전저수지의 임의 지점(하천)별로 순환용수 가용을 위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공간 범위는 평야부 말단부로 선정하였고, 가상으로 약 2m 높이의 임시보를 적용하여 관개기 강우유출수 및 퇴수에 의한 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하천의 폭과 표고를 이용하여 길이를 산출하여, 내용적을 산출하였다. 소유역별로 TANK 모형적용 결과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일 공급 양수량을 내용적 최대로 하였을 때 회복 기간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유출수에 의한 소유역별 가용수량을 4월부터 모의 분석한 결과 유역별로 차이는 발생하지만 만수위에 도달하는 기간은 특이 유역을 제외하고는 약 50일 이상 걸리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개기가 계속되면서 회복되는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소유역별 농업용수 부족분 투입을 위한 위치선정과 용수량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지반 침하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을 위한 현장 시험 방안 제시

  • Seok Hui-Jun;Im Eun-Sang;Won Lee-Jeong;Kim Hyeong-Su;Lee G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20-424
    • /
    • 2005
  •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 및 지표수 연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현장 시험 세부계획 수립과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단계양수시험을 통하여 적정 채수량 산정 후, 산정된 적정 채수량으로 장기양수 시험을 통하여 주변 수리권에 미치는 지하수위 변화와 강변여과수의 수질변화를 관찰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변동특성을 파악하는 일련의 과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과 같은 연약 지반에서는 단계 양수시험시의 높은 양수량에 인한 지반 침하의 우려로 인해 이에 대한 공정의 변화가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현장 시험 공정 순서를 바꾸어서 장기 양수 시험 후 단계양수시험을 수행하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고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단계양수시험의 단계별 적절한 양수시간을 합리적, 효율적으로 결정하여 경제적이면서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단계양수시험을 완료 가능하게 만들고, 가능한 한 더 오랜 기간동안 장기 양수 시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한된 시간내에 많은 수리지질학 및 화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Year Variations of Genetic Parameters Estimated on Matur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소맥의 숙기 및 수량관련형질에 대한 유전통계율의 년차간 변동)

  • Cho, C.H.;Sung, B.Y.;Ahn, W.S.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5 no.3
    • /
    • pp.15-20
    • /
    • 1980
  • Heritability of heading date, maturing date and culm length were high and the year variation was relatively low. Yield components were considerably low in heritability due to large year variation. Direct effects of number of spikes/$m^2$ and 1, 000 grain weight to yield were high. For improved selection efficiency, at least three years continuous evaluation of experiments would be desired.

  • PDF

Estimation of Transpirtion Rate using a Metering Pump in Soilless Culture System and its Application (정량펌프를 이용한 무토양 재배시스템의 증산량 추정 및 그 응용)

  • 손정익;박종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34-35
    • /
    • 1997
  • 무토양재배에서의 효율적인 관수량 결정은 정확한 증산량에 근거한다. 작물의 생육과 환경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서 실제의 재배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증산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가능하더라도 대규모의 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물의 실제 증산량을 위해서 개체 측정 등의 대표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증산량 측정을 위해서 정량펌프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구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관수량 제어를 위한 환경과 증산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중략)

  • PDF

Studies on the Selection for Grain Yield and Components of Yield in Wheat Breeding (소맥육종에 있어서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의 선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

  • Dong-Woo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15
    • /
    • pp.33-59
    • /
    • 1974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Crop Experiment Station from 1968 to 1971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effects of selection on yield of wheat varieties. Heritability estimates, correlation and path coefficients computed for yield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from fixed variety groups-Korean, U.S., and Japan; early and late-$F_2$ and $F_3$ generations were studied. The same estimates for fixed variety groups grown under different fertilizer levels and years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Three variety groups classified by their origins as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showed high heritability estimates for heading date, plant height and spike length.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grain number per spike and 1, 000 grain weight were moderate and those for the number of spikes per plant and grain yield were low. Very low estimates of heritability were obtained for grain number per spike and yield of variety group from the Unites States. 2. High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1, 000 grain weight and yield were obtained for all variety groups originated from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and early variety group, except late variety group. The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grain number per spike and yield were also high for all variety groups except variety group originated from the United States. 3. The direct effects of 1, 000 grain weight in terms of path-coefficients to yield were high for all variety groups except late variety group. 4. High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between 1, 000 grain weight and yield in $F_2$ from. two crosses. The same degree of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between grain number per spike and yield, although slight differences in its magnitude were found depending upon the cross combination. 5. The analysis of path-coefficients in $F_2$ shows that the direct effects of yield components to yield were negligible. 6. The characters that showed high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yield in $F_3$ were 1, 000 gnain weight and grain number per spike. These characters showed also high direct effects to yield. 7. No great variations of heritability estimates for heading date, plant height and spike length were obtained for either fertilizer responsive or non responsive variety group due to fertilizer levels applied. 8. Heritability estimates of 1, 000 grain weight in fertilizer responsive group and yield in fertilizer nonresponsive group were high as level of fertilizer increased. 9. Heritability estimates for grain number per spike and 1, 000 grain weight of fertilizer non-responsive-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fertilizer. responsive group. 10. Genotypic corretation coefficients between yield and 1, 000 grain weight in fertilizer responsive group were getting lower as the level of fertilizer increased and those in fertilizer non-responsive group were vice versa. 11.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yield and spike number per plant in fertilizer responsive group was high. However, the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yield and spike number per plant in fertilizer non-responsive group was low. 12. The direct effects of 1, 000 grain weight to yield were higher than other yield components either in fertilizer responsive or non-responsive group regardless of levels of fertilizer applied. The spike number per plant, however, was high only when high level of fertilizers were applied to fitilizer responsive group. 13. Slight variations of heritability estimates for heading dates, plant height, spike length, grain number per spike and 1, 000 grain weight were obtained between years. However, the spike number per plant with low heritabilility showed great variation between years. 14. The character that showed high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yield in two years was 1, 000 grain weight, and this character was also high in direct effect to yield in terms of path-coefficients. 15. 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1, 000 grain weigh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s to increase the effects of selection for yield in wheat breeding in Korea.

  • PDF

Influence of Agricultural Water Return flow on Aquatic Ecosystem in Downstream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 Lim, Eunjin;Kim, Jonggun;Shin, Yongchul;An, Hyunuk;Nam, Won Ho;Lim, Kyoung Jae;Lee, Kwang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6-246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 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Soil Moisture Redistribution of Surface Drip Irrigation (점적관개에 따른 토양수분 재분배 평가)

  • Nam, Won-Ho;Choi, Soon-Goon;Hong, Eun-Mi;Yoo, Seung-Hwan;Choi, Jin-Yong;Je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9-469
    • /
    • 2011
  • 점적관개는 과수원이나 시설재배에서 수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료 및 농약 등에 의한 비점원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자주 고려되어 왔다. 효율적인 점적관개를 위해서는 관개시 토양의 수분 분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점적기의 간격, 관개수량 기준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시설재배지에서 토양수분의 관리 및 관개를 위한 점적기 설치 간격, 유량은 현재 관리자의 경험적인 지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재배지 토성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 할 수 있는 설계 기준 구축이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적관개 시 토양수분 분포의 변화 양상을 국내토양 및 시설재배 현황을 반영하여 실험설계를 실시하였으며 토양수분 재분배 및 균일성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적정 점적관개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