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쇄골 골절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17초

젊은 남성에서 평행봉 운동 중 발생한 쇄골 근위부 피로 골절 (Stress Fracture of the Proximal Clavicle after Parallel Bars Exercise in a Young Male)

  • 권지은;이예현;조준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7-291
    • /
    • 2019
  • 쇄골의 급성 골절은 비교적 흔한 골절이지만 쇄골에 발생한 피로 골절은 드물고, 쇄골 근위부의 피로 골절은 극히 드물다. 경부근치술 또는 목 주변의 방사선 조사 이후 발생한 쇄골 근위부의 피로 골절 사례들이 종종 보고되고 있으며, 전문 운동 선수에서 과도하게 반복되는 운동 중 발생한 쇄골 근위부의 피로 골절 사례들이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특별한 선행 요인이 없는 젊은 남성에서 평행봉 운동 중 발생한 쇄골 근위부의 피로 골절을 경험하였고 국내에서 유사한 사례가 보고된 바 없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쇄골 골절 치료의 최근 경향 (Recent Treatment Options for the Clavicle Fracture)

  • 오주한;최혜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2
  • 목적: 쇄골 골절의 치료에 관한 광범위한 자료 검토를 통해 현 시점에서의 적절한 쇄골 골절 치료방법을 찾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성인에서 발생한 쇄골 골절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 즉 쇄골 골절의 역학, 분류, 수술 적응증, 최근 도입된 치료 방법의 현황 및 결과를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쇄골 중간 부위 골절의 수술 적응증의 확대와, 새로운 치료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anatomically precontoured plate의 도입을 비롯한 최신 지견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 및 결론: 지금까지 쇄골 골절은 비수술적 방법으로 대부분 치료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에 추산되었던 것 보다 많은 수의 불유합, 부정유합 발생이 보고되면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쇄골 골절에 대한 이상적인 치료 방침이 확립되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환자 개개인의 임상 정보와 선호도를 세심히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소아 쇄골 원위부 전위골절의치료- 2례보고- (Treatment of Displaced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in Children- Report of 2 Cases)

  • 박태수;김종헌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9-162
    • /
    • 2002
  • 쇄골의원위부가상방전위되고오구쇄골간격이이완된소아의불안정한쇄골원위부골절2예에대하여보존적치료후오구쇄골간격이정상적으로회복되고완전한골유합을얻을수있었다. 소아의경우비록쇄골원위부의전위된불안정한골절이라도먼저보존적치료를반드시고려하여야할것으로사료된다.

  • PDF

외상으로 동시에 발생한 양측 쇄골 골절 - 증례 보고 - (Simultaneous Bilateral Clavicle Fractures - A Case Report -)

  • 장기영;노권재;윤건웅;신상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5-128
    • /
    • 2009
  • 양측 쇄골 골절은 양측 견관절 부위에 강한 외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드문 골절이다. 편측 쇄골 골절은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만족할 만한 임상 경과를 보이나 동시에 양측이 골절 되는 경우 극심한 통증과 재활 운동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호흡운동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저자들은 다발성 늑골 골절 및 혈흉과 흉추 가시돌기 골절을 동반한 양측 쇄골 골절 환자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통해 견관절 기능 회복을 얻었으며, 호흡운동 장애 문제를 해결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한 금속판 고정술 이후 발생된 견봉하 충돌 증후군 - 증례보고 -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following Hook Plate Fixation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A Case Report-)

  • 문규필;강민수;최성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1
    • /
    • 2011
  • 갈고리형 금속판(Clavicle Hook Plate)은 원위 쇄골 골절 및 견봉 쇄골 관절 손상 등 쇄골 주변부 손상에 대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내고정물이다. 저자들은 원위 쇄골 골절에서 갈고리형 금속판을 이용한 내 고정술 후 발생된 견관절 충돌증후군 1 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 강호정;고일현;주종환;천용민;김형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59-66
    • /
    • 2011
  •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 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 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견봉쇄골 탈구와 동반된 오구돌기 골절 - 2예 보고 -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with the Fracture of the Coracoid Process - 2 Cases report -)

  • 유재호;한성호;양보규;안영준;주민홍;이승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24-130
    • /
    • 2007
  •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흔한 손상으로 심한 경우 대개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이 동반된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드물게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 없이 오구돌기 골절이 동반될 수 있다. 지금까지 31례만이 보고된 상기 손상을 저자들은 두 증례에서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오구돌기 골절은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전후방 방사선 촬영에서는 발견하기 쉽지 않다. 고도의 견봉쇄골 관절 탈구가 있으면서 오구쇄골 간격이 늘어나지 않은 경우 오구돌기의 골절을 의심할 수 있다.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분석 (The Analysis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Midshaft Fractures of Clavicle)

  • 차승도;정수태;김용훈;박상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10
  • 목적: 대부분 쇄골 골절은 보존적 치료하는데 골 유합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골 유합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좀 더 빠르고 명확한 치료법의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관찰이 가능했던 쇄골 골절 환자 총 523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통해 골 유합을 얻은 270예에 대해 수상 직후부터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골절 위치, 분쇄 및 분리 정도와 쇄골 길이 단축 등 골 유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결과: 쇄골 간부 골절을 보존적으로 치료한 결과, 골절의 분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골 유합 기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나이는 골 유합 기간이 13세 이상에서 12세 이하보다 2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쇄 정도는 골절부의 분쇄가 없는 경우가 분쇄가 있는 경우보다 2배 정도 골 유합이 빨리 이루어졌다. 그리고 추시 중 골절편의 전위는 2주 이내에 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결론: 쇄골 간부 골절 치료시 나이가 13세 이상이고 분쇄가 있는 경우는 수상 기전과 전위 정도를 고려하여 골 유합 기간을 예상할 수 있고 골 유합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재활 치료의 시기를 늦추는 것이 필요하며 보존적 치료 중 2주 이내에는 전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관찰을 하고 전위가 증가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합기도 훈련중 발생한 쇄골 골절과 예방 (Hapkido-related Clavicle Fractures :Preventable Injuries)

  • 문영래;이경일;김정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63-166
    • /
    • 2002
  • 서론: 합기도수련도중쇄골골절은비교적흔히발생하는손상중의하나이다. 합기도와연관된쇄골골절에대해원인및결과를분석하고그의예방법에대해알아보았다. 대상및방법: 합기도와연관된12례의쇄골골절환자를대상으로조사하였으며, 연령분포는13세에서18세까지였고전례에서보존적치료를시행하고, 경과를관찰하면서손상기전을파악하였다. 결과: 수상기전은대부분회전측방낙법수련도중발생하였으며, 치료결과는전례에서Weitzman의결과판정에서양호이상의결과를보였다. 결론: 대부분의예에서잘못된낙법자세의교정이쇄골골절을예방할수있으리라사료된다.

  • PDF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Endobutt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 Preliminary Report -)

  • 조철현;정구희;신홍관;이영국;박진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1
  •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R)}$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R)}$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