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집단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3초

비생산적 논변에서 생산적 논변으로의 실행 변화 탐색 -인식론적 자원과 맥락을 중심으로-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Practice from Unproductive to Productive: Focus on Epistemological Resources and Contexts)

  • 이정화;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3-2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과학 논변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비생산적, 생산적 논변 실행에서 각각 어떠한 인식론적 자원들을 활성화시키는지 탐색하고, 논변 실행 변화에 어떤 맥락이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논변 활동에 참여한 소집단 학생들의 수업 실행과 면담을 녹화 및 녹음하여 전사했으며, 학생 활동지와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수집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점 집단은 비생산적 실행에서 전파, 신뢰, 축적 자원을 활성화시키다가 생산적 실행에서 구성, 이해, 축적, 형성, 반박 자원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론적 자원 변화에 따른 실행 변화에 기여한 맥락은 친숙하지 않은 형태의 논변 과제가 제공된 것과 더불어 소집단 내 인식적 권위자의 정서적, 인식적, 개념적 지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맥락 의존적인 인식론에 따른 실행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들에 추가적인 사례 연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추후 학생들의 진정한 과학 참여를 위해 생산적인 인식론의 형성 및 안정화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의 협력적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리더의 행위주체성 탐색 (Exploring the Agency of a Student Leader in Collaborative Scientific Modeling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 엄장희;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9-35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구성원들의 협력적 참여를 위해 노력했던 리더의 행위주체적 모습과 그 발현 맥락을 탐색하고, 집단적 행위주체성으로의 발전이 좌절된 맥락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학생 22명과 교사 1명이었으며, 학생들의 행위주체성은 수업과 인터뷰에서 나타난 발화 및 행동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 초반 리더는 권위자로서 많은 권력을 가지고 활동을 주도하였고, 이에 따라 비협력적 참여 형태가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중반부터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 파악과 개인적 경험 성찰, 연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소집단을 돕는 선생님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게 되었다. 리더의 행위주체적인 행동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인지적 측면에서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여 구성원들과의 지식 격차를 줄임으로써 구성원들이 모델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규범적 측면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평등한 발언권을 주기 위해 소집단의 규칙을 만들어 그들이 모두 모델링에 참여하게 했다. 셋째, 감정적 측면에서 구성원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그들의 자신감을 높여 줌으로써 참여를 촉진했다. 이와 같이 리더의 행위주체성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일시적으로 소집단의 권력 위계를 완화시키고 협력적인 참여 형태를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리더의 행위주체성이 집단적 행위주체성으로 발전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리더의 권력이 제한적으로 재분배되었고, 구성원들이 자신을 리더와 동등한 권위를 가진 사람으로 위치 짓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리더는 협력적 참여를 위한 구조적 지원이 부족함을 인지하고 행위주체성이 좌절되었으며, 이전의 비협력적 참여 형태로 돌아가게 되었다. 연구 결과는 리더의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교실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리더 개인뿐만 아니라 소집단의 모든 구성원들 및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집단적 행위주체성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Analysis of Belief Types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Students by Latent Class Analysi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39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 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활동이 어림측정전략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strategies for estimating measurement - focused on 5th graders -)

  • 김명옥;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3호
    • /
    • pp.329-35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communicative activities on the strategies for estimating measurement. To do th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trategies employed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stimating measurement activit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trategies employed by students in different ability levels(upper, middle, lower) of pre-estimating measuremen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as below: First, the strategical change of before and after the estimating measurement task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quite noticeable. Unlike the small strategical change in the control group, small group cooperative communicative learning resulted in a decrease of simple memorization and guessing strategies and an increase of refined strategies such as the standard strategy, clustering, unit load and so on. Second, mathematical communicative activities in a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upper level of pre-estimating measurement test used more refined strategies and the students in the lower level used simple memorization and guessing strategy more frequently. And through interaction in small group, students could have chances to recognize error of strategies and to modify and learn strategies. In conclusion,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ies allowed students to have chances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and it is a efficient way of helping students learn estimating measurement strategies.

  • PDF

실험 설계에서 나타난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활동에 대한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를 중심으로 (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Shown in Designing an Experiment: Focusing on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Epistemic Considerations for Activities)

  • 권지숙;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61
    • /
    • 2016
  • 본 연구는 탐구 과제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의 전환을 확인하고, 이러한 전환이 논변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1학년 37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생들의 인식론이 맥락에 따라 변한 1개 소집단을 선정하여 광합성 실험설계를 구성하는 논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발화 및 행동을 통해 그들의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를 확인하였고 학생들의 실험설계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실험설계를 구성할 때 '과학적 의미 형성'이라는 인식적 목표에 초점을 두어 '이 실험이 어떻게 광합성에 이산화탄소가 필요한지를 알아볼 수 있는지'를 '과학 이론, 자료에 대한 자신의 해석에 기반을 두어 정당화'하였으며, 자기 자신을 '지식의 구성자'로 바라봄으로써 능동적으로 실험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험에 대해서는 '권위에 기반한 반박'을 보였으며 상대방 실험을 인정하지 않고 반박만을 제기하는 '평가자'로서의 태도를 보임으로써, 반박 과정에서 제기된 의견을 고려한 수정은 없었다. 하나의 실험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인식적 목표는 '이기는 것'으로 전환되었고, '이런 실험이 좋다'라는 지식의 본성, '상대방을 이해시키기 위한 정당화를 할 필요가 없다' 혹은 '권위에 기반하여 정당화하는 것'이라는 정당화, '경쟁자'라는 청중에 대한 인식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서로의 실험설계가 갖는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지 못하였고 상대방 주장의 제한점만을 공격하여 인지적, 정서적 갈등 상황이 지속되었다. 시간 제한으로 인해 선택된 A의 실험설계를 정교화하는 과정에서 인식적 목표는 '과학적 의미 형성'으로 다시 전환되었고, '어떻게 그 실험이 과학적으로 타당한지'를 되짚어 보고 '납득할 만한 정당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옳은 정당화를 보였으며 학생들은 '협력자'의 관계에 놓였다. 이에 따라 구성원 모두가 의견을 제안하고 정당화하고 평가를 하는 생산적인 논변활동을 통해 발전된 소집단결과를 완성시켰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생산적인 논변활동을 지원하는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집단 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the Underachievers through Small Groups′ Learning in Mathematics)

  • 성열욱;신경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25-134
    • /
    • 2001
  • It is necessary that at any rate we try to decrease underachievers by learning deficiency in mathematics to extreme limits under circumstances that mathematics becomes more requisite daily in the 21st century's informative society. However,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causes a lot of problems in elevating the needed ability for the newly changing society.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letting underachievers by learning deficiency have much interest in mathematics, seek the qualitative elevation, have the feelings of self-confidence and accomplishments, escape from desperation, and also teachers choose the activities of small groups, design teaching plans, apply those t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finally verify the effect, this researcher sets up a hypothesis as follows: 1. The teaching method through small groups will be effective for the accomplishments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2. Its method will bring out the meaningful change in the emotional areas of mathematics. Therefore, so as to prove the above hypothesis, the results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practicing teaming by small groups have turned out to be positive.

  • PDF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에 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Students' Perception of Tablet Computer-based Mobile Learning)

  • 이영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63-47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인식을 학습 효과 측면, 태도 변화 측면, 학습 활동 측면, 컴퓨터 활용 측면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타블렛 컴퓨터가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태도 변화에 있어서도 동기 향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응답하였다. 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은 타블렛 컴퓨터를 주로 퀴즈나 시험 등 평가나 소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컴퓨터 활용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은 타블렛 컴퓨터를 주로 노트 필기나 숙제 제출에 활용하였다.

  • PDF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동료 송환을 활용한 나 자신의 평가 활동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to the myself evaluation using the peer-evaluation feedback in in-group team teaching)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1-14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Disposition to the myself evaluation using the peer-evaluation feedback in in-group team teaching.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experimental class and then analyse the students' change in those aspects after applying peer-evaluation feedback made some significant changes on the students attitude in mathematics and Disposition. First,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on regarding the enhancement of mathematical attitude are effective. Second, the results on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Disposition are effective.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규칙의 효율적 발견 (An Efficient Discovery of Rules for Database Table)

  • 석현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55-159
    • /
    • 2003
  • 데이터마이닝 작업의 대표적 방법 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목의 자료 단편화 및 소집단 자료에 대한 경시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관규칙 알고리즘을 활용한 기술적 규칙집합을 찾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연관규칙 발견 알고리즘의 원리를 다루고 이를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아울러 이러한 방법은 원 연관규칙 알고리즘을 이용할 때보다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을 실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 PDF

실습과제 수행에서의 웹 기반 소집단 토론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b-Based Small Group Discussion on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practical Learning Tasks)

  • 주미숙;양현호;이성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5-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Web-based small group discussion on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practice-planning phase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y.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68 students of a middle school. The 7r7up is divided into two subgroup. the Web-based discussion croup and the face-to-face discussion grouts. each of which has 34 students. The achievement is estimated by individual reports. practice plans and the overall evaluation sheets. To estim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test sheets were used. together with the interviews of sampled students from both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practi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significant level of 0.05(p<0.05). There is also som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