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지역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5초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김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05-513
    • /
    • 2017
  • 최근,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공간회귀모형 (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웃 (spatial neighbor)의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도로네 삼각망 (Delaunay triangulation; DT)을 소개하고 k-최근접 (k-nearest neighbor; KNN)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두 가지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이웃을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지가 (land price)데이터를 이용하여 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시군구 실업자 추정에서 분산 추정

  • 이계오;김규영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2
    • /
    • 2002
  •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시군구의 실업자를 추정하는데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 추정법과 복합 추정법을 이용한 시군구 실업통계 작성법을 소개하였고 추정량이 편향이므로 잭나이프 방법을 이용한 추정량의 정도를 계산하는 절차를 설명하였으며, 광주광역시의 구별 실업통계작성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 PDF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기반한 마이크로타겟의 2000 구축

  • 최종후;서문택;박정윤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5
    • /
    • 2003
  • 본 연구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기반하여, 국내 3,516개 읍면동 단위의 소지역을 마케팅 의사 결정 활용의 관점에서 유사한 인구 사회 경제 소비행태를 가지는 26개의 마이크로타겟(Micro Target) 군집을 구축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마이크로타겟 군집은 마케팅 의사결정과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핵심적 요건으로 기능하게 된다.

  • PDF

마이크로타겟의 구축과 그 활용

  • 최종후;서문택;박정윤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9-222
    • /
    • 2003
  • 본 연구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기반하여, 국내 3,516개 읍면동 단위의 소지역을 마케팅 의사결정 활용의 관점에서, 유사한 인구${\cdot}$사회${\cdot}$경제${\cdot}$소비행태를 가지는 26개의 마이크로타겟(Micro Target) 군집으로 구축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마이크로타겟 군집은 고객분류, 상권분석, 광고전략 수립, 타겟마케팅(Target Marketing)등의 마케팅 의사결정과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핵심적 요건으로 기능하게 된다.

  • PDF

손상으로 인한 사망자의 지역별 차이에 대한 HGLM을 이용한 연구 (A study using HGLM on regional difference of the dead due to injuries)

  • 김길훈;노맹석;하일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137-1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손상으로 인한 사망 중 운수사고, 자살, 낙상사고에 의한 사망률에 대한 시 군 구 별 차이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2008년 사망원인통계 원시 자료 중 19세 이상이면서, 국제사인분류에 따른 사인이 운수사고, 자살, 낙상사고에 의한 자료만을 추출하여 분석대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모형으로 성별, 연령, 1인당 주민세를 고정효과로 보정하고, 사망자수가 포아송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지역효과를 변량효과로 둔 포아송 HGLM 모형을 고려하여 시 군 구 소지역별 효과의 차이를 질병지도로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운수사고, 자살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시 군 구 소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낙상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시 군 구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암발생 및 암사망 추정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estimations in Busan by using spatial multi-level model)

  • 고영규;한준희;윤태호;김창훈;노맹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169-1182
    • /
    • 2016
  • 한국인의 전형적인 사망 원인인 암은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통계청이 제시한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에 따르면, 7대 광역시 중 부산의 표준화 사망률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암센터의 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암발생률과 암사망률의 정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2003~2009년 자료를 대상으로 구/동과 같은 소지역 단위를 고려하였으며, 전체 암과 4대 주요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공간 다수준 모형을 통해 모형 선택과 모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공간 효과에 대해서는 조건부 자기회귀 (conditional autoregressive; CAR)를 가정하였으며 WinBUGS를 이용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각 지역에서의 공간 효과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는지 제시하였다.

순환표본의 결합을 위한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eights for Combined Rolling Samples)

  • 송종호;박진우;변종석;박민규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41
    • /
    • 2010
  • 순환표본조사를 시행할 경우 매 순환주기별로 적절한 통계적 신뢰도를 가진 전체 모집단 특성이 추정될 수 있는 반면에, 작은 표본크기로 인하여 통계적 신뢰도가 높은 소지역 추정량의 산출은 어렵다. 따라서 소지역 추정량은 일반적으로 일정 주기 후 혹은 전체조사가 마무리된 후 독립적인 순환표본들을 결합하여 얻어진 최종표본을 통해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 는 순환표본을 결합하여 추정량을 만들 때 필요한 가중치 산출의 문제를 고려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각 조사에 따른 경험을 바탕으로 조사별로 가능한 순환표본 결합 가중치를 정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가능한 관심변수에 적용 가능하도록 표본설계변수에만 의존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주어진 모형하에서의 최량선형불편예측치(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 BLUP)를 고려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각 모형 하에서 정의되는 여러 BLUP을 비교하여 모형변화에 강건한 추정량을 제안하고 그 결과를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하였다.

  • PDF

서울시 소지역 건강불평등에 관한 연구 : 지역박탈에 대한 재해석 (Health Inequality of Local Area in Seoul : Reinterpretation of Neighborhood Deprivation)

  • 김형용;최진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7-229
    • /
    • 2014
  • 본 연구는 건강을 설명하는 지역 박탈 지표를 선별하고 이러한 지표들이 근린사회의 인구구성효과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맥락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행정동 단위의 표준화사망비를 산출하여 소지역 건강불평등 실태를 분석하였고, 표준화사망비 격차를 설명하는 지역박탈 지표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수 준 모형을 통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통제한 후 지역박탈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건강불평등의 지역 격차가 대부분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을 반영할 뿐이며, 거주지 지역사회의 독립된 맥락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서 행정동별 표준화사망비 분포가 취약근린지수의 분포와 유사하고 더 나아가 공시지가, 하위교육수준, 복지수급자 비율, 여성가구주 가구의 개별 지표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인구집단의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빈곤 지역이 내생적으로 형성하는 건강문화나 보건의료접근성 등의 가능한 매개 요인들의 가능성은 인구 구성에 따른 빈곤과 결핍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즉 건강의 지역별 격차는 다름 아닌 계층간 격차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지리학적 연구주제의 탐색- (Regional Identity and Community Paper: A Search for Subject and Method of Geographical Research)

  • 이영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4
    • /
    • 1999
  • 한국의 지역사회는 근대화 및 세계화시대를 거치면서 중앙에의 종속성 심화와 세계자본에의 식민화 가능성 증대라는 위기의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상생활과 생활공간에 있어서의 대응 전략이 요망되며, 그러한 전략 개발의 바탕이 되는것이 바로 지역정체성의 확립이다. 최근 지리학계에서 소지역, 즉 일상생활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소지역연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은 많이 있어 왔으나, 구체적인 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데, 이는 연구를 위한 자료와 방법의 제한성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지역신문은 대체로 행정구역상 군, 중소도시, 대도시의 구 단위의 소지역에서 발간되는 신문으로, 지역에 밀착된 작은 뉴스들이나 생활정보 등을 주요 기사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지역신문은 지역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형성 메카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지역신문에 관한 지리학적 관심은 우선 지역신문의 지리적 분포 현황과 그 시기별 변천을 추적, 정리하는 작업으로부터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의 성격을 밝히기 위한 정보원으로써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신문을 통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통합 과정과 이를 배경으로 한 지역의 중심성, 흑은 자생력의 확보 여부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남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성숙과 산란

  • 곽오열;정의영;김봉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8-519
    • /
    • 2000
  • 재첩류는 담수와 기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식용 패류로서, 일본재첩은 우리 나라 기수역에서 다량 서식하는 유용패류이다. 일본재첩에 관한 연구는 생식생태학적연구 (조비,1941: 조등, 1997; 조 등,1998)와 생장(宇藤, 1981)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국내에 서식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생식생태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식생태에 관한 계수학적 정량분석조사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재첩의 생식생물학적연구의 일환으로 생식소의 구조, 생식주기, 생식소지수의 월별변화, 생식세포발달과정, 성비를 조사하였고 계수학적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