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셜 검색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5초

안드로이드기반 근거리 SNS (Android based Local SNS)

  • 이충렬;안병구;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3-98
    • /
    • 2010
  • 최근들어 급격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거리 SNS 시스템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 개발된 SNS 시스템은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를 주변검색을 하며, 친구추가가 되면 웹/DB로 SNS 서비스를 할 수 있게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한다. 둘째, 안드로이드 전체의 기본적인 UI를 변경하지 않는 선에서 제작을 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고, 최대한 직관적이면서 사용하기 쉬운 접근 방법을 가지고 디자인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는 OPTIMUS-Q/ANDROID 2.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 결과 안드로이드 기반 블루투스로 주변검색을 함으로써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접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재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적인 성능 향상 지원을 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의 오토페어링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전자무역 해외마케팅 교육과 연구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scheme and the education of e-trade marketing in Korea)

  • 강효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411-430
    • /
    • 2013
  • 전자무역의 단계별 성과를 볼 때 계약체결 이전 단계의 해외마케팅은 해외시장진출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면서 가장 많은 역량이 투여되는 부문으로 이에 대한 교육 및 연구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전자무역은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파생적 수요성격이 강한 학문적 영역으로 무역실무와 더불어 무역학의 핵심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이후 전자무역 관련분야 연구와 교육교재개발 등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자무역 중 해외마케팅의 측면에서 교육 및 학문적 연구체계와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해외마케팅 부문 교육과 연구체계 수립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전자무역관련 교육 및 연구 중 산업계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검색엔진마케팅, 검색엔진최적화, 소셜네트워크분석 등에 대한 교육 및 연구체계를 확립해 나가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론과 실무가 접목되어 병행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K개의 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소MBR 탐색 (Finding the Minimum MBRs Embedding K Points)

  • 김건우;김영훈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호
    • /
    • pp.71-77
    • /
    • 2017
  • 스마트폰과 같은 GPS센서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GEO태그가 된 메시지 (즉, GPS 위치를 갖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게 되었고 게시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간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데이터에서 항상 위치 정보와 게시글 내용이 명시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지는 않다. 때문에 키워드와 위치정보 분포의 관련성에 따라 검색결과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크기가 가장 작은 k개의 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소경계사각형(MBR)을 찾음으로써 데이터가 가장 밀집된 사각형을 찾으며, 이는 위치 검색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최소경계사각형과 같이 거리가 가까운 2차원 공간데이터의 묶음을 찾기 위해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합성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트위터의 검색네트워크 (Marketing Strateg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Twitter's Search Network)

  • 유병국;김순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96-407
    • /
    • 2013
  • 입소문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유력자의 역할은 트위터 네트워크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마케팅의 관점에서 트위터 유력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마케팅 메시지가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위해서는 특정인의 팔로어 수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리트윗을 통해 입소문이 많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즉, 팔로어 수는 많은데 리트윗되지 않거나 리트윗은 많이 되는데 소수자에게 주로 리트윗된다면 전체적인 노출의 정도는 미약하게 될 것이다. 트위터의 특정 검색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리트윗이 없는 팔로어 유력자에 비하여 팔로어 유력자의 리트윗을 받는 상대적인 소수자들의 노출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트윗 유력자중에서도 팔로어 유력자에 의하여 리트윗을 받지 못하는 사용자의 노출도는 매우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사실은 노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유력자도 중요하지만 그런 유력자의 리트윗을 유도하는 사용자의 파악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노출도의 경우 대부분의 중앙성 척도와 고른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노출도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네트워크구조상에서도 중심적인 위상을 차지한다는 점도 살펴볼 수 있었다.

주제 접근의 다양성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 표목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eties of Subject Access and Usabilit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85
    • /
    • 2014
  • 본 연구는 급격히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접근 방식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표목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주제 접근의 미래에 관해 제시하였다. 먼저 주제 접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주제명 표목인 미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의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주제명 표목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관해 다루었다. 소셜북마킹, 폭소노미, 태깅, 패싯 적용, 저자부여 키워드, 시소러스, 분류표, 자동완성기능 부여로 주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 표목의 현황과 향후 주제 접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둡 환경에 적합한 클러스터 그룹 기반 속성 정보를 이용한 빅 데이터 관리 기법 (Big Data Management Scheme using Property Information based on Cluster Group in adopt to Hadoop Environment)

  • 한군희;정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35-242
    • /
    • 2015
  • 소셜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빅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 서버가 아닌 분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손쉽게 검색 및 추출하기 위한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와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처리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빅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제안하다. 제안 기법은 빅 데이터의 종류, 기능,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으로 분류한 후 분류된 그룹내 데이터를 속성정보와 연계하여 해쉬체인에 적용한다. 또한, 분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최단 시간에 추출하기 위해서 데이터 인덱스 정보(DII, Data Index Information)를 그룹화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다중의 속성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클러스터 그룹 수에 따른 데이터의 평균 검색 시간은 평균 14.6% 향상되었고, 키워드 수에 따른 데이터 처리시간은 평균 13% 단축되었다.

지식서비스를 위한 개인경험지식 분석 평가 모델 연구 (A Study on Personal Experience Knowledge Evaluation Model for Knowledge Service)

  • 김유두;주인학;박윤경;문일영;권오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65-1872
    • /
    • 2013
  • 스마트 디바이스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률도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웹에 대한 접근성도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엄청난 양의 빅 데이터를 통해 획일적인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이 아닌, 사용자 맞춤형 지식 제공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4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동정보와 장소를 추측 하고, 정답 셋을 구성하여 데이터의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학술 문헌 기반 효율적인 전문가 판별 기법 (An Efficient Expert Discrimination Scheme Based on Academic Documents)

  • 최도진;오영호;편도웅;방민주;전종우;이현병;박득배;임종태;복경수;유효근;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12
    • /
    • 2021
  • 특정 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를 찾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전문가 판별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전문가 판별을 위해 인용 그래프 기반의 판별 기법과 수식 기반의 판별 기법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수식 기반 판별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특성들을 반영한 효율적인 전문가 판별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자의 전문성을 판별하기 위해 품질, 생산성, 기여도, 최신성, 정확성, 지속성을 고려한 전문성 지수를 제안한다. 또한, 학술 검색 사이트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소셜 인용 수를 추가로 고려한다. 다양한 학술 사이트 기반의 논문 수집 및 성능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제안하는 기법의 타당성과 실현성을 입증한다.

스토리 기반의 정보 검색 연구 (Story-based Information Retrieval)

  • 유은순;박승보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81-96
    • /
    • 2013
  • 웹의 발전과 콘텐츠 산업의 팽창으로 비디오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정보 검색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동안 비디오 데이터의 정보 검색과 브라우징을 위해 비디오의 프레임(frame)이나 숏(shot)으로부터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모양(shape)과 같은 시각적 특징(features)들을 추출하여 비디오의 내용을 표현하고 유사도를 측정하는 내용 기반(content-based)방식의 비디오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영화는 하위 레벨의 시청각적 정보와 상위 레벨의 스토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저차원의 시각적 특징을 통해 내용을 표현하는 내용 기반 분석을 영화에 적용할 경우 내용 기반 분석과 인간이 인지하는 영화의 내용 사이에는 의미적 격차(semantic gap)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영화의 스토리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고, 관점에 따라 주관적 해석이 가능한 고차원의 의미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리 차원의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스토리를 모델링하는 정형화된 모형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를 표현하는 이 방법들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등장인물들의 관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스토리 진행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관계 변화를 역동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둘째, 등장인물의 정체성과 심리상태를 보여주는 감정(emotion)과 같은 심층적 정보를 간과하고 있다. 셋째, 등장인물 이외에 스토리를 구성하는 사건과 배경에 대한 정보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문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사 구조에 근거하여 스토리 모델링에 필요한 요소들을 인물, 배경, 사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개별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과 주가변동성의 관계: 국내 코스닥시장에서의 산업별 실증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Search Volumes and Stock Price Changes: An Empirical Study on KOSDAQ Market)

  • 전새미;정여진;이동엽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81-96
    • /
    • 2016
  • 최근 인터넷의 보편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이 일상화 됨에 따라 주식에 관한 정보 역시 검색엔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획득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특정 단어에 대한 키워드 검색량은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에서 개별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은 투자자의 관심도에 대한 척도로서의 사용가능성을 각광받았다. 특정 주식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증가할 때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였다가 회복하는 반전현상은 여러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왔지만 그 동안 투자자의 관심도는 주로 주식거래량, 광고 비용 등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을 투자자의 관심의 척도로 사용하여 투자자의 관심에 근거한 주가변동성의 변화를 전체 시장 측면과 산업별 측면에서 관찰한다. 또한 투자자 관심이 야기한 가격압박에 의한 주가 반전현상의 존재를 코스닥 시장에서 검증하고 산업 간의 반전정도의 차이를 비교한다. 실증분석 결과 비정상적인 인터넷 검색량 증가는 주가변동성의 유의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이러한 현상은 IT S/W, 건설, 유통 산업군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비정상적인 인터넷 검색량의 증가 이후 2주 간 주가변동성이 증가하였고 3~4주 후에는 오히려 변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가 반전현상 역시 IT S/W, 건설, 유통 산업군에서 보다 극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