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각영향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asure of incineration plant by 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소각시설의 환경영향평가 및 개선방안)

  • Kim, Hyeong-Woo;Kim, Kyeong-Ho;Park, Hung-Suck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1 no.4
    • /
    • pp.88-100
    • /
    • 2013
  • This study evaluated the direct and indirect environmental impacts of various unit operations of a industrial waste incineration plant by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tool and reviewed the improvement plan. During the incineration process, the direct environmental impact was decreased with decrease in emission of various air pollutants by incorporating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However, an increase in indirect environmental impacts was observed as a consequence of resources and energy of consumption at the various operational facilities. Consequently, quantitative direct and indirect impact were 89.1%, 10.9%, respectively. The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f system revealed the highest impact of incineration followed by the impacts of other unit processes such as semidry reactor, and bag-filter. The various air pollutants and ashes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process caused the most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Among the various categories of environmental impact, global warming accounted the highest impact(more than 85%) followed by eutrophication, and abiotic depletion. As a result of the avoided impact by the utilizat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waste incineration process, using an incineration heat for steam and electricity obtained the impact reduction of 45.5%, 19.8%. So, during siting of new incineration plant, the utilization of steam generated from the waste combustion is highly consider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Life Cycle Assessments of Long-term and Short-term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Incineration of Spent Li-ion Batteries (LIBs)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폐리튬이온전지의 소각에 대한 장/단기 환경영향 평가)

  • Jeong, Soo-Jeong;Lee, Ji-yong;Sohn, Jeong-soo;Hur, Ta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7 no.2
    • /
    • pp.163-169
    • /
    • 2006
  • A Life Cycle Assessment (LCA)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nd improve the environment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cineration system of spent Li-ion batteries (LIBs) in Korea. The environmental impact associated with the landfill of the incineration ash was also assessed in this study, while so far it was excluded in most studies. It was found out that the $CO_{2}$ emission from the electricity generation as well as the incineration process and heavy metals emissions to air and water accounted for about 90% of total environmental impact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emission of heavy metals were dominant. In oder to improve the current incineration system environmentally, it is needed to incinerate the wastes like spent LIBs which contained relatively high portion of heavy metals separately from other combustible wast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landfill of ash after incineration was insignificant since the ash from the incineration process was chemically stable.

Biomass Burning Aerosols after Harvest and Their Impact on Air Quality in Kwangju, Korea (추수 후 생체 소각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 류성윤;김정은;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3-194
    • /
    • 2002
  • 최근 복사적, 화학적 활성 가스 및 원소 탄소(EC)의 전 지구적 규모의 양에 생체 소각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이 발표되고 있다. 지난 100년 동안의 생체 소각은 인간의 산업활동으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고, 이제는 심각한 주요 배출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요한 생체 소각으로는 산불,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의 불, 경작지의 추수 후의 소각 그리고 생활을 위한 목재의 소각 및 연탄의 사용이 있다. 생체 소각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스들은 환경적으로도 매우 심각하다. (중략)

  • PDF

Analysis of Waste Incinerator and Its Selection (폐기물 소각시설분석과 소각로 선정)

  • 임계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2
    • /
    • pp.107-117
    • /
    • 1995
  • 최근 몇년전 부터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소각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전, 경제활동의 팽창 및 다양화 등에 의하여 폐기물의 질적 변화가 적정처리에도 영향을 미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또한 폐기물의 단순 매립처리가 사후 관리에 여러가지의 어려움과 매립지 선정 자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각기술이 아직도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현재 가동중인 소각시설에도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들의 문제해결이 시급한 것이 현재의 현실이다. 심한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목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여도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적정 처리시설을 선정하지 않아 소각로 가동 시운전 단계에서도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반면 적은 투자로도 만족할 만한 처리효과를 내며 가동하는 경우도 있어 당초 계획단계 부터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소각로는 외부로 보기에는 거의 비슷하나 상세히 검토하면 소각로에 대한 선택적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소각로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소각로의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두어 현재의 소각기술을 분석하고 선정과정을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 PDF

Effect of Prescribed Burning to Avian Community in Sihwa Grassland, Korea (시화호 초지대의 계획소각에 의한 조류군집의 영향)

  • Yoo, Seung-Hwa;Kang, Tae-Han;Paik, In-Hwan;Kim, Ho-Joon;Lee, Han-Soo;Kim, In-Ky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4
    • /
    • pp.317-325
    • /
    • 2009
  • This study was presented to effect of prescribed burning to the avian fauna and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07 in Sihwa grassland, Gyeonggi-do, Korea. Prescribed burning was conducted at Sihwa grassland of Songjeong-ri Mado-myeon, Hwaseong city from 28th February to 1 st March 2007. Thirty birds species were observed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was 181 individuals at the prescribed burning area for all survey time. Observed species was 24 species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was 154 individuals on the unburned area. Number of species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at the prescribed burning area was greater than unburned area. There is no differences in the dominant species between prescribed and unburned area. Average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the prescribed burning area were greater than unburned area in early stage (from March to June) after prescribed burning. Community indices in burned area during early season were different with unburned area by prediscribed burning. However, the indices had became similar between burned and unburned area as time goes by. Disturbance by prescribed burning created new habitat and feeding site temporarily for the avian species in grassland. We would suggest that prescribed burning is most effective method to maintain grassland ecosystem from the invading bush or tree and periodical prescribed burning is a good method to preserve and manage the grassland ecosystem.

로타리 킬른형 소각로 개발을 위한 3차원 난류반응장 수치해석

  • 엄태인;장동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11a
    • /
    • pp.82-87
    • /
    • 1993
  • 산업폐기물 소각시스템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형 로타리 킬른형 소각로를 모델로 선정하여 소각로 설계에 필요한 제반변수에 대한 영향을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화염억제 작용이 있으며 소각처리시 유독물질을 배출하는 $CCl_4$를 폐기물로 주입하는 경우 비평형 난류반응모델을 도입하여 반응장 해석을 한 결과 실험결과와 정성적으로 일치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program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ir pollutants emitted from municipal waste incinerator (소각장 주변 환경영향 및 위해성 평가 PROGRAM 개발)

  • 구윤서;최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3-284
    • /
    • 2002
  • 투명하고, 과학적으로 소각장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기여 영향도를 정확히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기환경 영향평가용 software는 미국환경청에서 제작된 software로써 DOS상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국내 지형 및 기상조건에 부적합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국내 여건에 적합하고, 사용하기 용이한 Windows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공동되는 평가용 software개발이 필요하다. (중략)

  • PDF

Source Estimation of Dioxin in Soil Using a Congener Pattern (이성체 정보를 이용한 토양 중 다이옥신 오염원 해석)

  • Kim, Jong-Guk;Kim, Kyoung-Soo;Kim, Jae-Sik;Shin, Sun-Kyoung;Chung, Young-Hee;Chung, Il-R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3
    • /
    • pp.316-322
    • /
    • 2005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17 dioxin congeners in the soil samples near a waste incinerator with respect to distance from incinerator and wind direction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CB source was investigated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The total concentration and I-TEQ concentration of dioxin ranged from 31.065 to 7,257.499 pg/g(dry weight) and from 0.099 to 35.191 pg I-TEQ/g(dry weight.), respectively. There was a weak correlation(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bserved between soil concentration and wind direc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incinerator. The reason may be due to the presence of the local combustion sources other than the target incinerator. The fraction of PCDFs and PCDDs was also examined to study the effect of incinerator. The fraction of PCDFs was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incinerator. The influence of target incinerator was found within a 500-meter radius.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for site was due to small incinerators and the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such as PCP.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near the incinerator and the source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ngener pattern. As a result soil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were qualitatively estimated the influence of sources such as incinerator and PCP by comparing the congener pattern of each roups. It was thought that a cluster analysis was a useful statistical method for the source estimation of dioxin.

원전 가연성폐기물 열처리시 방사선 피폭평가

  • 서용칠;이규성;조승호;이병수;이승행;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29-434
    • /
    • 1996
  • 소각 또는 고온용융 등의 열처리 설비의 운전시 이로부터 예상되는 작업자 및 인근주민의 방사선 피폭을 보수적인 개념과 단순화시킨 피폭예측 식을 이용하여 산출해 보았다. 200kg/hr 용량의 소각로에 대해 발전소의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 작업자의 피폭이 인근주민보다 훨씬 우려해야 하는 영향인자였으며 소각대상물 중의 핵종농도의 제한, 소각재 취급시 차폐의 증대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최대 피폭허용기준치를 기초로 폐기물내 핵종의 최대 허용 비방사능치를 계산해 보았고 각 핵종의 영향도를 제시해 보았다. 적용된 식은 각종처리 및 처분시설의 설계 및 운전전에 안전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PDF

방사성폐기물 소각시설의 현황 및 안전지침

  • 박원재;이병수;이승행;김준형;서용칠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4
    • /
    • pp.603-618
    • /
    • 1995
  • 원자력 발전소 및 동위원소 사용기관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고체 폐기물 및 유기폐액의 소각기술의 활용에 있어서 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적 기준의 설정을 위한 고려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국내외의 소각기술 활용현황을 알아보았고 본 기술의 국내 도입시 필요한 기술적 안전지침에 관한 외국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관련 규정도 검토, 비교, 분석하여 주요 고려항목을 도출하였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려 항목을 크게 일반산업시설 적용항목, 원자력시설 상 안전조건, 소각시설의 기술적 요구사항, 기타 제반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었다. 이들 내용은 기존 원자력 및 환경시설에 적용되는 안전성분석보고서 및 환경영향평가서로 작성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시설의 개요, 시설의 기술적 사항과 이에 따르는 안전을 위한 조건, 폐기물의 인수조건 등이 포함되며 기존 관련 법규의 적용 및 확인이 필요하였다. 기술적 사항에는 공정의 제염계수, 연소효율, 소각재의 형상, 배기가스의 방출농도, 작업자 및 인근주민의 피폭등이 확인되어야 하며 소각재의 처리방법 및 조건이 제시되어야 하고 소각재의 침출특성 등이 주요한 인자라고 보았다. 아울러 소각대상폐기물의 인수조건이 명시되어 소각성능에 따른 이의 안전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허가 후 건설된 시설에서의 사용전 시험소각절차의 제시 및 이에 대한 관련 규제기관의 검사제도가 있어야 하며 품질보증절차 역시 관련지침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안전기술지침의 설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본 연구조사 결과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