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재생

Search Result 467, Processing Time 0.531 seconds

지렁이를 모델로 한 재생연구 ((Regeneration Study Using the Earthworm))

  • 박순철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1호
    • /
    • pp.49-54
    • /
    • 2001
  • 재생에 관한 연구는 정상적인 발생 및 분화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연구모델이며 재생의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재생의 능력이 없는 동물에 이를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렁이는 재생연구의 대상동물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데 특히 뇌, 심장 등과 같은 중추기관의 재생을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라고 사료된다. 현재 지렁이에 관한 연구는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재생아세포의 기원, 재생시 발현이 촉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특성, Hox 유전자의 발현양상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

치수/치근단 질환에 이환된 영구치의 치수 조직 재생과 치근 형성 (PULP TISSUE REGENERATION AND ROOT FORMATION OF PERMANENT TEETH WITH PULPAL/PERIAPICAL DISEASES)

  • 유연지;백승호;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4호
    • /
    • pp.238-245
    • /
    • 2010
  • 최근 치수 질환 또는 치근단 질환을 가진 미성숙 영구치에 대한 보존적 치료의 방법으로 여러가지 근관 내 소독 약제를 이용하여 증상 개선은 물론 치근의 성장 및 치수의 재생이 이루어진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여러가지 줄기 세포 또는 미분화 간엽 세포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재생된 조직에서는 대부분 백악질양 또는 골양 물질의 침착이 관찰되고 있다. 이 새롭고 보존적인 치료 접근 방법은 다능성 줄기 세포와 다양한 조직 공학 기술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재생적 근관 치료에 더 밝은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코 안 $ZnSO_4$ 점적으로 손상된 마우스 후각 상피세포의 재생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Regeneration of the Mouse Olfactory Epithelial Cells after Destruction by Intranasal Zinc Sulfate Irrigation)

  • 강화선;문영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19-230
    • /
    • 2007
  • 마우스의 코 안으로 5% $ZnSO_4$용액을 점적하는 것이 코중격 후각상피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이후 후각수용세포가 재생되는 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형태학적으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 $ZnSO_4$용액을 점적한 후 6시간에서 24시간 사이에 코중격 후각상피층은 일부의 기저세포들을 제외하고는 완전하게 탈락되었다. 2. $ZnSO_4$처리 후 3일군에서는 코중격 후각상피세포들 중 부분적으로 남아 있던 기저세포들의 세포분열로 형성된 새로운 후각상피세포들로 후각상피층은 2층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롭게 형성된 후각상피세포들의 상부 세포막에는 미세응모가 돌출되었다. 3. 5% $ZnSO_4$용액을 점적하고 5일이 경과된 코중격 후각수용세포들에서는 다수의 중심소체와 기저소체가 관찰되었고, 상부 세포막에는 미세응모들 사이에 섬모들이 줄지어 나타났다. 또한 새롭게 형성된 코중격 후각수용세포들에서 처음으로 후각소포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으며, 1주가 경과된 후각상피층에는 전형적인 형태의 후각소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5% $ZnSO_4$용액 점적 후 2주가 경과된 경우, 성숙한 형태의 후각소포를 가지고 있는 후각수용세포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5% $ZnSO_4$용액의 처리가 마우스 코중격의 후각상피층을 완전하게 박리시킬 수 있으므로 포유류 신경조직의 재생연구를 위해 유용한 실험적 모델임을 뒷받침한다, 또한 새롭게 재생되는 후각수용세포의 상부 세포막이 처음에는 미세응모로 표면적을 넓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섬모들로 대치되며, 그 후 섬모를 포함한 상부세포막이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마지막으로 전형적인 후각소포로 발달한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증식 및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release of growth factors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겨운;방은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3-209
    • /
    • 2016
  • 목적: 치주조직재생을 위해서는 치주인대세포의 증식 및 이주를 촉진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재까지 이것을 만족시키는 재생술식은 없다. 최근 법랑기질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s)가 치주조직 재생 술식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건강한 성인의 제 3 대구치로부터 치주인대세포를 추출한 후, 법랑기질유도체(Emdogain (Biora, Malmo, Sweden))의 농도가 각각 0, 12.5, 25, 50, 100, and $200{\mu}g/mL$인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치주인대 세포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고, 발현되는 성장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은 $25{\mu}g/mL$이상의 농도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는 $50{\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0{\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치주인대세포의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법랑기질 유도체는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을 증진시키고, VEGF와 TGF-${\beta}$등 성장인자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치주조직 재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체 섬유아세포 및 케라티노사이트에 대한 지방줄기세포 분비물의 세포생물학적 기능 (Cell Biological Function of Secretome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 이재설;이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7-127
    • /
    • 2012
  • 피부재생에 대한 지방줄기세포 배양상등액(ADSC-CM)의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ADSC-CM이 피부재생에 기여하는 기작은 명확하지 못하지만, ADSC-CM은 다양한 분비물을 포함하고 있고 따라서 피부트러블 처리를 위한 훌륭한 재료이다. 저 산소 상태에서 생산된 ADSC-CM, 즉 advanced adipose-derived stem cell protein extract (AAPE)는 피부재생에 보다 좋은 재료이다. 본 연구는 피부 재생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인체 primary 세포인 섬유아세포(HDF)와 케라티노사이트(HK)를 이용하여 AAPE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0.32 ${\mu}g/ml$ AAPE에서 콜라겐 합성이 관찰 되었으며 AAPE는 stress fiber 형성을 강화하였다. DNA microarray 결과에서는 세포증식, 세포이동, 세포부착, 상처반응에 관여하는 133개의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알았다. Antibody array를 통해 CD54, FGF-2, GM-CSF, IL-4, IL-6, VEGF, TGF-${\beta}2$, TGF-${\beta}3$, MMP-1, MMP-10, 그리고 MMP-19와 같은 MMP, 성장인자, 사이토카인등 25개의 알려진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AAPE는 HK의 세포생물학적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HDF에서는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APE가 피부재생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멕시코산 엑소로틀 다리 재생조직의 탈분화와 리소솜 산성탈인산화효소의 발현 (Dedifferentiation Correlates with the Expression of Lysosomal Acid Phosphatase in the Limb Regenerates of Mexican Axolotl)

  • 서광석;박숙경;주공건;전상학;김원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53-62
    • /
    • 1998
  • 리소솜 acid phosphatase(LAP)를 포함하는 리소솜 산성 가수 분해 효소는 세포 내,외 성분의 분해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미 양서류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LAP의 효소 활성도는 탈분화시기에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산 도룡뇽의 일종인 axolotl(Ambystoma mexicanum)의 다리 재생 가정에서 정상적인 다리 재생 조직과 retinoic acid (RA)가 처리된 다리 재생 조직에서 LAP의 분포 및 발현을 면역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xolotl의 다리 재생 조직에서 한국산 도룡뇽(Hynobius leechii)의 LAP에 대한 단일 항체를 이용한 면역 반응도는 줄 탈분화시기에 있는 wound epidermis와 미분화된 중배엽성 세포인 blastema 세포, 탈분화 상태의 근육과 연골 부위 세포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LAP의 면역 반응도는 재생단게의 초기에 점차 증가하여 탈분화시기 동안 최대치에 도달하였으며, 재분화가 시작되면서 basal level 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ulcorner. 유미 양서류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골격 패턴의 복제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RA 처리는 LAP의 면역 반응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ulcorner. 즉, RA가 처리된 다리 재생 조직에서 LAP의 면역 반응도는 정상적인 다리 재생 조직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면역 반응도가 나타나는 시기 또한 연장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리 재생 조직에서 RA 처리가 탈분화시기의 연장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재생중인 흰쥐 간의 메탈로사이오닌에 대한 면역-금 표지 및 발현에 관한 연구 (Immunogold Labellings and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 in Regenerating Rat Liver)

  • 안영모;오승한;김호진;이미영;이종화;신길상;김완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1호
    • /
    • pp.15-22
    • /
    • 2005
  • 진핵세포 내에 존재하는 metallothionein (MT)은 시스테인 함량이 높은 저분자량의 단백질로서 2가 금속이온들과의 친화력이 높아 중금속에 대한 해독작용, 금속이온의 대사 및 세포분열 등과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자들은 간 재생능력이 우수한 흰쥐를 실험모델로 하여, 간의 70% 정도를 실험적으로 제거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간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와 더불어 MT 유전자 발현 및 이 단백질의 세포내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분 간 절제 후 간 조직이 증식되고 재구성되어 간이 원래의 크기로 재생되는 시간은 1주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재생중인 간세포는 핵대 세포질의 비가 크고, 핵내에 인이 크게 발달하고 크기가 작은 미토콘드리아가 다수 나타났으며, 조면소포체가 잘 발달하고 있었다. MT mRNA는 간 절제 직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시간 경과 후에 최대치에 이르렀고, 12시간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재생중인 간세포에서 MT에 대한 면역반응은 간 절제 후 12시간이 경과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8일이 경과한 실험군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간 재생 초기에는 항-MT 금 입자들이 주로 세포질쪽에 분포하다가 점차 핵내에 존재하는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간 절제 후 보상작용으로 일어나는 세포분열 단계에서 MT가 이 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연꽃잎 모사를 통한 생체모방 계층적 표면 구조 제작 (Fabrication of a biomimetic hierarchical surface structure replicated from a lotus leaf)

  • 이형진;김민성;김근형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08
    • /
    • 2017
  • 다양한 생체 재료들을 이용한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표면 구조 모사는 조직공학에서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이크로-나노 구조가 공존하는 계층적 표면 구조는 골 아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탁월하여 뼈 조직 재생에 응용되어 왔다. 기존에는 화학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표면 구조가 제작 되었으나 미세 거칠기 및 계층적 표면 구조의 제어가 어려웠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애칭 기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높은 온도 공정 환경에 의한 재료 선택의 한계점 및 오랜 공정 시간에 의한 플라즈마 처리 효율이 감소되어 원하는 표면구조 및 거칠기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나노 주조 기법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합성고분자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위에 연꽃잎 구조를 모사한 후 플라즈마 애칭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3.01-3.07{\mu}m$)와 나노크기 ($97{\pm}16nm$)를 동시에 갖는 계층적 구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구조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조골세포를 배양한 결과 평평한 PCL 구조보다 제작된 계층적 구조가 높은 세포성장률 (>2.9배)및 세포 분화도(>2.1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표면 공학적 모델로서 손상된 뼈 및 치아조직 재생을 위한 적합한 거칠기 및 표면적인 환경을 제공해 빠른 재생 능력과 더불어 치료기간의 단축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혈관내에 배양한 신경줄기세포의 이식이 말초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ation of Intravascular Cultured Neural Stem Cell upo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 양영철;김우일;박중규;배기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6-316
    • /
    • 2002
  • 흰쥐의 좌골신경을 절단한 후 혈관내에서 배양한 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하여 말초신경에서도 수초의 재생이 일어나는지를 형태 학적으로 규명하고 배양한 신경줄기 세포들로부터 분화한 Schwann cell들이 회복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식한 20일 후 동맥내 배양한 신경줄기세포는 Schwann cell로 분화하여 신경섬유의 재생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Schwann cell은 증식 후 재수초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Schwann cell들로부터 여러 가지를 자극을 받고 있었으며 NGF 소견으로 볼 때 신경외막으로부터 기존의 Schwann cell로부터 신경줄기세포의 분화가 유도되었으며 PCNA 반응으로 볼 때도 기존의 신경섬유의 Schwann cell주위에서부터 증식이 일어났다. 미세구조적으로는 Schwann cell의 재수초화, 축삭내 사립체와 미세소관의 수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