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이식

Search Result 8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GF-$\alpha$로 분화 유도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파킨슨 동물 모델 생쥐의 행동 개선

  • 이금실;김용식;신현아;조황윤;김은영;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1-271
    • /
    • 2004
  • 본 실험은 TGF-a를 처리하여 분화가 유도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파킨슨 동물모델에 이식하여 숙주세포에서의 생존 및 이식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TGF-a로 분화된 세포의 이식효과를 판정하고자 배양시 TGF-a처리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화를 유도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hoechst33342로 표지 하여 병변 유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측 선조체내에 4×10⁴개/2ul가 되도록 이식하고(이식 위치: AP 0.7, ML 2.0, DV3.4) 이식 후 2, 4주에서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4주에 동물을 희생시켜 4% PFA를 이용하여 뇌 조직을 고정하고 뇌 조직은 40㎛ 두께로 동결 절편을 만들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로의 분화 및 TH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고 분화의 표지물질로 nestin, NF200, GFAP, TH를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중략)

  • PDF

Studies on Nuclear Transplantation in Mouse Embryos III. Production of Cloned Mice from 2nd Generation Nuclear Transplant Embryos (생쥐 수정란의 핵이식에 관한 연구 III. 제2세대 핵이식에 의한 복제생쥐의 생산)

  • 박충생;최상용;이효종;박희성;박성재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8 no.1
    • /
    • pp.9-12
    • /
    • 1993
  • 포유동물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핵의 분화와 전능성을 규명하고 제2세대 핵이시 기법을 개발하고자 생쥐를 모델로 하여 공핵란은 2-세포기에 있는 수정란의 핵을 사용하였으며, 수핵란은 zygote 및 2-세포기에 있는 수정란을 탈핵하여 제2세대 핵이식을 실시하여 electrofusion system으로 핵융합을 실시하고 cloned embryo를 작출하여 이를 24-48시간동안 체외에서 배양을 시킨 다음 위임신이 유기된 수란생쥐의 난관에 체내 이식을 실시하여 개체로의 발생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핵이식후의 융합율은 zygote 및 2-세포기의 수정란을 수핵란으로 사용하였을 때 각각 84.7 및 84.0%으로서 차이가 없었으며, 제1세대의 86.8 마ㅊ 85.4%로서 세대간에 차이가 없었다. 4-세포기 이상으로 발달한 제2세대 핵이식 수정란의 체외배양율은 수핵란을 zygote 및 2-세포기 수정란을 사용하였을때 각각 36.2 및 43.7%로서 제1세대 핵이식의 44.3 및 50.4% 보다는 다소 낮았다. 제2세대 핵이식 수정라늘 위임신이 유기된 수란생쥐의 난관에 이식을 실시하여 얻은 산자생산율은 수핵란을 zygote 및 2-세포기 수정란을 사용하였을때 각각 23.0 및 25.0%로서 모두 25마리의 산자를 생산하였다.

  • PDF

Transplantation of Marrow Stromal Cells into the Developing Mammal Retina (발생 중인 포유류 망막으로 골수기질세포의 이식)

  • Lee, Eun-Shil;Kwon, Oh-Ju;Ye, Eun-Ah;Jeon, Chang-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8 no.4
    • /
    • pp.541-548
    • /
    • 2013
  • Purpose: Marrow stromal cells (MSCs) have been known for their potential to trans-differentiate into neural and glial cells in vitro and in vivo.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eveloping host environment on the survival an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ifferentiation, murine MSCs transplanted into the eye of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Methods: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 expressing MSCs were transplanted into developing Brazilian opossums. Animals were allowed to survive for up to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at which time the eyes were prepared for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sults: Some transplanted MSCs survived and showe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into neural cells with some processes within the host vitreous chamber. Some transplanted cells expressed class III ${\beta}$-tubulin (TuJ1, a marker for neuronal cells) or glial fibrillary acid protein (GFAP, a marker for glial cells) or Nestin (a marker for neural stem cells). In addition, some transplanted cells were located in ganglion cell layer but did not show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ifferentiation. Conclusions: Our result show that the most effective stage of development for transplantation into the retina was postnatal day 16, which retinas developmentally corresponded to postnatal day 4-5 days mouse retina based on cell differentiation and lamination pattern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age of the host appears to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cell fate in vivo.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한다?

  • 유순집
    • The Monthly Diabetes
    • /
    • s.166
    • /
    • pp.64-67
    • /
    • 2003
  • 인슐린 치료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환자에서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합병증이 진행된 경우에는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워 이상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태이다. 특히 췌도이식 대상자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 가능한 췌장은 한정되어 있어 이식에 필요한 췌도는 절대적인 부족 상태로 오직 일부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만 제한적으로 췌도이식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충분한 췌도 이식원을 확보할 수 있는 췌도 이식원의 개발은 췌도이식의 가장 큰 목표라 할 수 있다. 본 난에서는 당뇨병 치료에서 시험관내 및 생체실험에서 줄기세포의 현황과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의 성과와 이에 따른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최근 내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화제의연구(3) - 쥐 뇌에 배아줄기세포 이식, 신경세포 생성실험 성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4 s.395
    • /
    • pp.20-21
    • /
    • 2002
  • 포천중문의대 차병원 세포유전자연구소의 연구팀은 국내 처음으로 쥐의 배아 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쥐의 뇌에 이식하여 손상된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뇌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팀은 쥐실험과 같은 연구과정을 사람에게 적용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오는 5월 '줄기세포치료이식센터'를 완공할 계획이다.

  • PDF

The Effects of Muscle Cell Transplantation into the Hearts of the Hamsters with a Dilated Cardiomyopathy (배양한 근육세포를 확장성 심근증을 가진 햄스터 심장에 이식 후 심장기능의 변화연구)

  • 유경종;임상현;송석원;홍유선;박현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5 no.5
    • /
    • pp.336-342
    • /
    • 2002
  • Background: Recently, cell transplantation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o improve heart function in dysfunctional hear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mooth muscle cells (SMC) and heart cells (HC) transplantation in dilated cardiomyopathic hamsters. Material and Method: HC and SMC were isolated from heart and ductus deferens of BIO 53.58 hamsters, and cultured for transplantation. HC and SMC or culture medium were transplanted into the left ventricle of 17 weeks old adult hamsters in HC transplanted (HCTx), SMC transplantation (SMCTX), and control groups (Con) (N = 10 each). Cyclosporine (5 mg/Kg)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for HCTx. Sham operated hamsters (N=10) underwent the surgery but did not receive an injection.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heart function was evaluated in all groups using a Langendorff perfusion apparatus. Result: Histology showed severe focal myocardial necrosis in all groups. HCTx and SMCTx formed huge muscle tissue in dilated myocardium. SMCTx and HCTx had better heart function than Con and sham (p<0.01). And SMCTx had better peak systolic pressure (p<0.05) antral developed pressure (p<0.05) than HCTx. But sham and Con did not any statistical make difference. Conclusion: SMCTx and HCTx formed muscle tissue and improved ventricular function in hamsters with dilated cardiomyopathy And SMCTx showed better heart function in peak systolic pressure and developed pressure than HCTx.

Distribution of CD4+CD25+ T cells and graft-versus-host disease in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 Lee, Dae Hyoung;Chung, Nak Gyun;Jeong, Dae Chul;Cho, Bin;Kim, Hack 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1 no.12
    • /
    • pp.1336-1341
    • /
    • 2008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 and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recipient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 their association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Methods : Seventeen children who underwent HSCT were investigated. $CD4^+CD25^+$ T cells in samples from donor grafts and recipient peripheral blood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at 1 and 3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s : $CD4^+CD25^+$ T cell frequencies in the graf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cute GVHD (0.90% vs. 1.06%, P=0.62). Absolute $CD4^+CD25^+$ T cell number in graft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than in those without acute GVHD ($6.18{\times}10^5/kg$ vs. $25.85{\times}10^5/kg$, P=0.09). Patients without acute GVH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compared to those at 1 month after HSCT (2.11% vs. 1.43%, P=0.028). Howev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percentage at 1 month after HSCT (2.47% vs. 2.30%, P=0.5). Conclusion : The effect of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s on acute GVHD after HSCT could not be identified, and the majority of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patients who underwent HSCT may be activated T cells related to acute GVHD rather than regulatory T cells. Further studies with additional markers for regulatory T cells are needed to validate our results.

한우 성체 귀세포의 핵이식에 의한 복제 송아지의 생산

  • 이상영;유재숙;박영호;정대석;양병철;임석기;박수봉;장원경;박춘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5-135
    • /
    • 2003
  • 본 연구는 체세포 핵이식 복제 수정란의 이식에 의한 고능력 한우를 다량 증식하기 위한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 공여된 체세포는 육질과 육량 등급이 국내에서 100위 이내의 암소 귀세포를 채취하여 동결 및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핵이식 수정란의 준비를 위하여 도축장에서 채취한 난소에서 난자를 회수하여 22시간 성숙배양 후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극체가 존재하는 난자만을 선별하여 recipient cytoplasm으로 이용하였다. 난자의 제핵, 체세포 핵이식, 전기융합 및 활성화 처리는 본 실험실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핵이식란은 CR1aa 배양액 내에서 5% $CO_2$, 95% Air 및 39$^{\circ}C$의 기상조건하에서 7일간 배양 후 이식에 이용되었다. 한편, 수란축은 2회 이상 정상 발정주기가 확인된 경산우와 미경산우에 25mg의 PG $F_{2}$$\alpha$/를 투여하여 발정을 유기하거나 자연발정우를 선발하여 수란축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배반포기배를 이식한 경우 14두중 5두에서 임신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4두에서 유산되었고, 1두는 임신 6개월령으로 정상 발육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상실배기단계에서 이식된 경우는 임신이 되지 않았다. (중략)

  • PDF

Bee Venom Inhibits Prostate Cancer Growth in LNCaP Xenografts via Apoptosis (Bee venom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LNCaP의 이종이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Chang-Yeol;Song, Ho-Sueb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13 no.1
    • /
    • pp.15-35
    • /
    • 2010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이 NF-${\kappa}B$ 활성억제와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를 이식한 쥐에서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봉약침의 봉독이 생체 내에서도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전립선암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API, TUNEL staining assay 결과 봉독 및 melittin을 처리한 LNCaP 세포 모두에서 세포자멸사 유도율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melittin을 처리한 결과,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중 p-Akt, COX-2, calpain은 봉독과 melittin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Akt는 melittin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봉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MP-9은 증가하였다. 3. 생체 내에서의 봉독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후 암세포의 부피와 무게, 쥐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봉독을 처리한 군에서 암 세포 부피비율 및 무게는 감소하였고, 쥐의 체중은 증가하였다. 4.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NF-${\kappa}B$ 활성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 중 Bax/Bcl-2, p53, caspase-3, caspase-9, calpain은 유의한 증가를, COX-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MMP-9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시험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도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하고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조절을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암 세포 증식억제 효과 및 호르몬 비의존적인 전립선암으로의 전이를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봉독이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mecolcine 처리 및 난자의 세포주기가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 백진주;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53-253
    • /
    • 2004
  • 본 연구는 소를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에 있어서 탈핵전 demecolcine 처리 및 난자의 세포주기가 재구축배의 생산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축장에서 회수한 난소로부터 채취한 미성숙란을 각 실험에 따라 성숙배양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난구세포 제거 후 일부 난자를 0.4 ㎍/㎖의 demecolcine이 함유된 배양액으로 40분간 처리하여 핵이식에 이용하였으며, 극체 미방출란 및 MI기 난자에 demecolcine을 처리하여 미성숙난자의 핵이식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