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이동

검색결과 1,181건 처리시간 0.04초

노팔 복합물이 II형 당뇨생쥐에서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on Lipid Metabolism in the db/db Mouse)

  • 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61-868
    • /
    • 2013
  •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 db/db 생쥐에 OF를 5% 수준으로 4주간 급여한 결과 지방 대사를 개선시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p<0.05)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총콜레스테롤의 감소는 간에서 HMG-CoA-R의 감소에 의한 콜레스테롤의 생성이 줄어든 것이고, 또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으로 합성하는 CYP7A1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의 형태로 배설시켰기 때문이다. 이 결과 분변 중 담즙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는 LDL-콜레스테롤을 세포로 이동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LDL-R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db/db mice에서는 비만뿐 아니라 심각한 지방간이 유발되는데 OF의 급여로 AST와 ALT를 낮추어 간세포의 파괴를 완화시켰으며, 간 조직의 H&E 염색 소견에서도 지방간의 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C57 생쥐에게 5% 수준으로 OF를 급여한 결과 OF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OF를 급여한 실험군의 혈장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AST와 ALT 함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간조직 관찰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OF는 당뇨병이 유발되지 않은 정상혈당의 생쥐에서는 지질대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제2형 당뇨병인 db/db mice의 당뇨병 합병증인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OF의 어떤 성분이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냈는지 보다 구체적인 성분 분석과 세부적인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베타-1,3-글루칸 생합성에 관여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a Gene Involved in Biosynthesis of ${\beta}-1,3-gluca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진은희;이동원;김진미;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29-138
    • /
    • 1995
  • 비허용온도인 $37^{\circ}C$에서 삼투감수성을 보이며 베타-1,3-글루칸 합성능이 현저히 손상된 Saccharomyces cerevisiae mutant(LP353)를 YCp50으로 제조한 yeast genomic library로 형질전환시킨 후, 콜로니 자기방사법으로 형질전환체의 선별을 시도한 결과, LP353의 베타-1,3-글루칸 합성능을 부분적으로 회복시켜 주는 약 8.5-kb 크기의 DNA 절편을 클로닝하는데 성공하였다. 클로닝된 8.5-kb의 DNA 절편은 copy 수에 무관하게 LP353의 또 다른 표현형질인 온도의존적 삼투감수성은 회복시켜 주지 못하였으나, 세포벽의 베타-1,3-글루칸 함량과 베타-1,3-글루칸 분해효소인 ${\beta}-glucanase$에 대한 내성은 copy수에 무관하게 증가시켜 주었다. 한편, 8.5-kb의 DNA 절편은 $37^{\circ}C$의 삼투안정제가 첨가된 액체배지에서 잘 자라지 못하는 LP353의 돌연변이 형질을 회복시켜 야생형의 수준에 근접하는 생장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클로닝된 8.5-kb 크기의 DNA 절편은 S. cerevisiae의 베타-1,3-글루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하나인 BGS2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subcloning을 통한 기능부위 분석 결과, 4.8-kb 크기의 BglII-KpnI DNA 절편에 BGS2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사람 LDL의 지질과산화에 의한 geraniin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Role of Geraniin in Lipid Peroxidation of Human LDL)

  • Ho, Ryu-Beu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0-187
    • /
    • 2004
  • 본 연구는 동맥 경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사람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geraniin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 LDL을 C $u^{2+}$유도 LDL로 산화 시킬 때 50와 100 $\mu\textrm{g}$/ml 농도의 geraniin를 첨가하여 TBARS을 측정한 결과 LDL에 대한 항산화가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Geraniin를 20-100 $\mu\textrm{g}$/ml의 농도를 조절하여 전기 영동에 의한 이동상을 조사한 결과 100 $\mu\textrm{g}$/ml geraniin의 농도에서 거의 완전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사람 LDL에 C $u^{2+}$로 유도하여 LDL를 산화시킬때 conjugated diene를 보면 geraniin를 100 $\mu\textrm{g}$/ml 첨가하였을 때 억제 효과가 높았다. 또한 geraniin은 동맥의 내피세포에 서도 그 농도에 따라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horbol myristate acetate를 처리한 macrophage 유도활성 산소의 소거 효과는 geraniin의 농도가 100 $\mu\textrm{g}$/ml일때 거의 소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eraniin는 $\alpha$-tocopherol, ascorbir acid 및 합성 항산화제인 probucol과 거의 비슷한 항산화 활성이 있어 동맥 경화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복숭아 Solid Pack 적정(適定) 살균조건(殺菌條件) 구명(究明)을 위(爲)한 선발(選拔) 효모(酵母)의 열저항성(熱抵抗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rmal Resistance of Selected Yeast Strain for Pasteurization of Solid Packed Peach)

  • 구영조;이동선;신동화;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52
    • /
    • 1981
  • 복숭아 solid pack을 변패시키는 내열성 효모의 열저항성 및 최적살균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원료복숭아의 초기 효모오염도를 조사하고 61균주를 분리보관하였다. 이중 내열성이 가장 강한 효모 No.15 균주에 대한 환경요인별 내열성 및 최적살균조건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펩톤수와 복숭아쥬스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대수기의 생장이 활발한 세포가 90시간 진탕배양후 10일간 유지한 것보다 내열성이 약했다. 2. 열매체로 펩톤수를 사용하여 열처리한 것이 복숭아쥬스에서 열처리한 것보다 내열성이 강했다. 3. 열처리후 회복배지에 있어서 YM 한천보다 복숭아쥬스 한천에서 회복시킨 것이 약했다. 4. 열매체나 회복배지에서의 pH에 따른 내열성은 pH 4.0에서가 pH 3.5에서 보다 내열성이 강했다 5. 일정한 온도로 가열할 때 생잔곡선은 초기의 열에 민감한 부분과 다음의 열에 안정한 부분의 broken curve를 나타내어 D 값을 구할 수 없었다. 6. 복숭아쥬스(pH 3.5)에서 열처리하여 복숭아쥬스 한천(pH 3.5)에 회복시켰을 때의 TDT 곡선에서 직선을 얻었으며 z값은 $4.8^{\circ}C$이었다. 7. 선발된 내열성 효모의 균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Torulopsis candida로 추정되었으며 복숭아 solid pack에서의 변패성도 확인하였다. 8. 실제 4 oz 복숭아 solid pack에서의 inoculated pack test 결과 최적살균치 P.U. 70/5는 168(Z값$5^{\circ}C$, 기준온도 $70^{\circ}C$, 살균시간 18분, 관내 중심 온도 $78.5^{\circ}C$)이었다.

  • PDF

칼륨 대사 장애 (Disorders of Potassium Metabolism)

  • 이주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32-142
    • /
    • 2010
  • 저칼륨혈증의 경우 약제 또는 백혈구 증가증 등에 의해서 칼륨이 일시적으로 세포내로 이동하는 재분포에 의해서 생기는 저칼륨혈증을 먼저 감별한다. 칼륨소실에 의한 결핍의 경우 소변 칼륨 농도 또는 TTKG를 구하고,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는 칼륨의 신외성 손실, 칼륨 섭취의 부족 등을 감별한다. 증가되어 있는 경우 신장을 통한 칼륨의 소실을 생각하고,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산증과 관련된 경우, 구토에 의한 경우, 세뇨관에서의 칼륨 재흡수 장애 또는 칼륨의 분비가 증가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을 경우 혈장 레닌과 알도스테론을 측정하여 레닌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 혈장 레닌이 정상 또는 낮으면서 혈장 알도스테론만 증가한 경우, 혈장 알도스테론은 증가되어 있지 않지만 알도스테론 이외에 광물부신겉질호르몬의 작용이 증가하는 경우를 감별한다. 증상은 무기력, 경련, 근육통, 횡문근 융해증, 변비, 장폐쇄, 부정맥, 지각이상 등이 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 및 칼륨공급이다. 고칼륨혈증은 재분포에 의한 경우, 가성 고칼륨혈증, 진성 고칼륨혈증을 감별해야 한다. 진성 고칼륨혈증이면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 신부전 또는 체내 칼륨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를 감별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15 mL/min/$1.73m^2$ 이상인 경우에는 혈장 레닌과 알도스테론을 검사한다. 모두 낮을 경우, 혈장 레닌은 정상이지만 알도스테론만 낮은 경우, 혈장 알도스테론의 농도는 정상이지만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저해되는 경우 등을 감별해야 한다. 증상은 부정맥, 감각 이상, 허약 등이 있다. 치료는 calcium gluconate, 인슐린, 베타2작용제, 중탄산염, furosemide, resin, 투석 등이 있으며, 칼륨을 제한하고 원인 약물이 있을 경우 이를 중단해야 한다.

국산 항 백혈병 항체(항 CALLA, 항 JL-1)의 동위원소 표지 및 면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Radiolabeling and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house Anti-Leukemic Monoclonal Antibodies(Anti-CALLA, Anti-JL-1 Antibodies))

  • 소영;정준기;정재민;이동수;이명철;고창순;박성회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8-104
    • /
    • 1995
  • 필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에서 만든 항 백혈병 항체(항 CALLA 항체, 항 JL-1 항체)에 대해 $^{99m}Tc$$^{125}I$의 표지 방법 및 면역학적 성상을 연구하여 임상 응용의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다. $^{99m}Tc$은 pretargeting transchelation법으로 $^{125}I$는 lodogen법으로 표지하였다. 각 항체에 대해 결합 반응검사, Scatchard 분석, 변조 현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125}I$는 두 항체 모두에서 90%전후의 높은 표지율을 보인 반면, $^{99m}Tc$ 경우 70%이하의 표지율을 보여 개선점이 요구되었다. 결합반응검사에서도 $^{99m}Tc$을 표지한 항체는 30%정도의 낮은 면역 반응성을 보였다. Scatchard 분석 결과 결합상수 모두가 $10^9$으로 좋은 친화력을 보였고, 세포당 항체 결합 수는 $10^4$으로 비교적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변조 현상은 모든 경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항 CALLA 항체, 항 JL-1 항체는 향후 림프종과 백혈병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

신구저수지의 1차 생산 및 지방산 생성속도 결정을 위한 $^{13}C$ 추적자 활용 연구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and Fatty Acid Production Rate in Shingu Reservoir)

  • 이연정;김민섭;신경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신구저수지 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속도를 계산하고, $^{13}C$-GC/MS 기법을 사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지방산의 생성속도를 분석하였다. 유광층 내의 SPM중 POM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6%였으며, 엽록소$-{\alpha}$의 평균 농도는 약 $89{\mu}g\;L^{-1}$이었다. 유광층 단위면적당 엽록소$-{\alpha}$ 총량, 1차 생산력, 엽록소$-{\alpha}$에 의한 탄소 고정 능력은 각각 112mg Chl-${\alpha}m^{-2}$, 3.53g C $m^{-2}\;d^{-1}$, 32mg C mg Chl-${\alpha}^{-1}\;d^{-1}$이었다. 수층 내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과 식물플랑크톤 광합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기간 동안 수층의 입자성유기물은 대부분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유기물은 세포외배출 등의 과정을 통해 용존유기물 pool로 이동된 후 박테리아에게까지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 소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벼의 잎 조직에서 발현되는 저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of Cold Stress-related Proteins in Rice Leaf Tissue)

  • 이동기;이상훈;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7-296
    • /
    • 2005
  •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벼 저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저온 처리한 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로부터 Rubisco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5\%$ PEG fractionation을 실시한 후 $15\%$ PEG 상등액과 pellet 분획을 각각 이차원전기 영동으로 단백질을 분석하였고, MALDI-TOF MS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15\%$ PEG 상등액에서 8개의 단백질 spot이 증가하였고 10개의 spot 이 감소하였다. 증가한 8개 단백질 spot 중에서 epimerase/dehydratase, fructokinase, ribose-5-phosphate isomerase (Rpi), chaperonin 21 precursor, photosystem II oxygen-envolving complex (PS II OEC) protien 2 precursor, thioredoxin h-type (Trx-h) 등 6개의 단백질이 확인되어졌다. $15\%$ PEG pellet 분획에서 13개의 단백질 spot이 증가하였고 14 spot이 감소하였으며, 증가한 13개 단백질 spot중에서 OSJNB b059K02.15, hypothetical protein,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MAPKK), 20S proteasome beta 7 subunit, Rubisco small subunit 등 5개의 단백질이 확인되어졌다. 확인되어진 단백질들은 기능별로 분류해 본 결과, 세포대사관련 단백질, energy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산화환원 조절관련 단백질, 식물 병 방어관련, 단백질 합성 및 신호전달 관련 단백질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중 RPi와 MAPKK가 저온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 본 실험의 프로테옴 분석을 통하여 최초로 동정되었다.

개불, Urechis unicinctus 치충의 저질선택성 및 성장 (Sediment Preference and Growth of the Young Urechis unicinctus)

  • 강경호;김재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4-30
    • /
    • 2003
  • 수정된 난은 분리침성란으로 저면에 침하하였으나, 해수의 유동에 의하여 쉽게 부상하는 성질이 있었다. 또 난의 모양은 완전한 구형으로 구경은 평균 150 $\mu\textrm{m}$ 정도였다. 각 발생 단계의 소요시간을 보면 8세포기까지 1.9시간, 상실기까지 7.9시간, 낭배기까지 27시간이 소요되었다. 담륜자 유생까지의 발생소요시간은 68시간이었는데 이 기간에는 섭이를 위해 활발하게 유영운동을 하였으며, 이때 유생의 체장은 평균63 $\mu\textrm{m}$였다. 평균체장 163 $\mu\textrm{m}$인 담륜자 유생이 7체절기로 성장하는데는 18일이 걸렸고, 13체절기까지의 소요시간은 29일었으며, 이 시기부터는 저면에서 연동운동에 의한 이동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32일 경과시에는 평균체장은 768 $\mu\textrm{m}$인 치충으로 저질에 굴을 파고 잠입하였다. 60일 후 개불 치충의 평균체장은 1,108 $\mu\textrm{m}$였고, 90일 후에는 1.835 $\mu\textrm{m}$였으며, 체색은 투명하였다. 또한 120일 이후에는 평균체장이 3.7cm로 성장하였고, 체색은 적황색이었으며, 입 주위에 강모가 생성되어 완전한 성체의 모습을 갖추었다. 사육일수와 체장에 관한 상대성장식은 BL=0.2097 $e^{0.048}$4RD/ ($r^2$=0.9299)이었고(Fig. 2), 체장과 체폭의 상대성장식은 BB=0.2033BL-383.21($r^2$=0.9518)이었다. 저질선택성 실험개시 30일 경과 후, 펄에서 31마리, 조개껍질과 모래의 혼합구에서 23마리, 펄과 모래의 혼합구에서 21마리, 펄과 모래와 조개껍질의 혼합구에서 32마리가 관찰된 것에 반해 모래구에서는 한 마리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개불의 잠입깊이 실험 결과, 2.5~5cm, 5~7.5cm구간에서 각각 10마리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