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분화

검색결과 1,668건 처리시간 0.038초

사람 태아 고환에서 간질세포 분화의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Leydig Cells in Human Fetal Testes)

  • 이계일;김대중;김경용;박언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511-522
    • /
    • 1999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공 유산된 사람 태아 17예를 태령 14주에서 27주로 분류한 뒤, 고환간질내에서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람 태아 고환의 간질세포를 형태적으로 방추형간질세포, 밝은 간질세포, 어두운 간질세포 그리고 변성 간질세포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미성숙한 방추형간질세포는 14주에 많이 관찰되었으며 점차 분화되어 밝은 간질세포와 어두운 간질세포로 변하였다. 3. 밝은 간질세포와 어두운 간질세포는 17주와 24주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변성 간질세포는 27주에 많이 관찰되었다. 4. 무과립세포질세망은 밝은 간질세포내에서 현저히 관찰되었으며 점차 내강이 팽대되어 세포질 전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5. 사립체는 밝은 간질세포에 많이 분포하였고 사립체능은 농축되어 진하게 나타났으며, 어두운 간질세포에서 전자밀도가 높은 사립체 함유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6. 지방소적은 태령 14주부터 관찰되어 16주에 가장많은 분포를 보였고 20주 이후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7. 간질세포내에 풍부한 양의 당원과립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사람 태생기 중 고환의 간질세포는 다른 동물에서와 같이 유사한 분화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 PDF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조혈모 줄기세포의 냉동보존에 미치는 항산화제의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s Treatment on the Cryopreservation of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s)

  • 김응배;홍순갑;도병록;김경숙;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67-76
    • /
    • 2008
  • 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산화적 손상은 냉동보존 과정과 체외 배양과정 중 세포 생존률 감소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특히 줄기세포의 경우 냉동보존 후 쉽게 분화하거나 사멸하는 경향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외 배양된 인간 조혈모 줄기세포의 냉동보존 시 선별된 항산화제를 처리하여 항산화제가 줄기세포의 생존 및 자동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해동 후 세포의 생존률은 $\alpha$-tocopherol과 ascorbic acid 처리군이 대조군($62.7{\pm}8.0%$)에 비해 높은 생존률을 보였고, 그 중 150 uM $\alpha$-tocopherol처리군($70.5{\pm}7.0%$)이 가장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세포막 손상은 대조군 및 실험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자동분화율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10.1{\pm}1.6%$)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50 uM $\alpha$-tocopherol ($7.3{\pm}2.6%$) 처리군에서 가장 낮은 자동분화율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결과, 항산화제는 인간 조혈모 줄기세포 냉동보존 시 생존율을 향상시키며, 특히 $\alpha$-tocopherol은 인간 조혈모 줄기세포의 냉동보존 과정 동안 효과적인 항산화제로 작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노랑초파리 난자 형성과정 동안의 경계세포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Border Cells During Oogenesis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계명찬;조경상;이정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45-52
    • /
    • 1998
  • 강화인자 검출법을 이용 X염색체에 P[1ArB]이 형질전환되어 극세포 및 경게세포에서 표시유전자 lacZ를 발현하는 노랑초파리 (EDL 149)를 이용하여 난자형성과정 동안의 경계새포의 분화 및 이동을 조사하였다. 경계세포는 9기 난포의 선단에 위치한 난포 세포로부터 분화하여 9기와 10기에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난소내 \beta -galactosidase의 활성은 우화 후 처음 4일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시기는 난포 내에서 경계세포가 분화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EDL149의 P[1ArB]삽입의 동형접합체의 난포 내에서 일부 경계세포의 불완전한 이동 또는 지연이 관찰되었다. 감수분열을 진행중인 정소내 세포 및 더듬이에서 확인된 lacZ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P[1ArB]의 삽입부위가 난소특이 유전자부위가 아니지만 경계세포 이동의 조절에 역할을 하는 유전자임을 암시한다. 이 형질전환초파리 및 삽입위치 부근의 유전자는 발생중 진행되는 세포이동의 연구에 좋은 모델로 생각된다.

  • PDF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Real-time PCR에 의한 계대간 상아질모세포 발현 특성 (Characterization of Odontoblasts in Supernumerary Tooth-derived Dental Pulp Stem Cells between Passages by Real-Time PCR)

  • 지상은;송솔;이준행;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1-3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발거 된 매복 상악 과잉치에서 얻은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초기 계대와 후기 계대의 상아질모세포 유전자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전신 의과 병력이 없는 6 - 9세 사이의 남녀아이 12명에게서 서면동의를 얻고 모두 상악에 위치한 과잉치를 발거하여 당일 발거된 과잉치의 치수세포를 채취하였다. 12개의 세포를 각각 3계대와 10계대에서 골형성 유도 분화제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나누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사용된 유전자는 osteonectin (ONT), alkaline phosphatase (ALP), osteocalcin (OCN),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그리고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였다. 유전자 발현양은,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3계대에서는 ONT, ALP, OCN, DMP-1, DSPP순서로 많이 발현하였다.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10계대에서는 ONT, DMP-1, OCN, ALP, DSPP순으로 ONT, OCN, DSPP의 순서에는 변화가 없지만 ALP, DMP-1의 순서는 서로 바뀌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LP와 DMP-1은 3계대와 10계대 세포의 분화를 위한 중요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다.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가지며, 또한 과잉치가 어린 나이에 발거되고 10계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것을 고려하면, 과잉치는 치아 유래 줄기세포의 공여부로서 훌륭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Dichloroacetate의 p53 비의존적 경로를 통한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 (Dichloroacetat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a Human Anaplastic Thyroid Cancer Cell Line via a p53-independent Pathway)

  • 얌 바하더 케이씨;수닐 포우델;전언주;손호상;변승준;정남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69-1476
    • /
    • 2018
  • Warburg 효과의 발생은 고형암에서 화학적 항암제의 내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호기성 해당과정과 같은 에너지 대사과정은 암 치료의 중요한 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PDK) 활성 억제물질로 알려진 dichloroacetate (DCA)는 많은 암세포에서 포도당의 호기성 해당과정을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치료가 매우 어렵다고 알려진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인 8505C의 성장에 미치는 DCA효과를 조사하였다. DCA는 정상 갑상선 세포주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8505C 세포주의 성장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였다. DCA의 처리에 의해 8505C 세포주는 $HIF1{\alpha}$, PDK1, Bcl-2와 같은 항-세포자살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감소하고, Bax와 p21과 같은 세포자살 유도 단백질과 세포주기 억제 단백질의 증가로 인하여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살 유도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런 세포의 변화는 DCA 처리에 의한 활성산소족의 생산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가 호기성 해당과정에서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란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DCA는 포도당 대사과정의 변화뿐만 아니라 sodium/iodine symporter (NIS)의 발현양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PDK 활성 저해제는 치료하기 힘든 역분화 갑상선 암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역분화 갑상선 암에 대한 방사능 치료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포 배양시 닭 골수세포로부터 파골세포앙 세포형성에 지질다당류와 인터페론 감마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POPOLYSACCHARIDE AND INTERFERON-${\gamma}$ ON THE FORMATION OF OSTEOCLAST-LIKE MULTINUCLEATED CELL FROM CHICKEN BONE MARROW CELLS IN VITRO)

  • 오홍균;김정근;이재현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659-667
    • /
    • 1995
  • 파골세포는 조혈기관 단핵의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골 홉수에 중요한 역할올 담당하며, 지질다당류는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을 이루는 성분으로서 치주질환시 치조골 홉수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왔다. 활성화된 림프구, 대식세포와 단핵세포로부터 생성되는 당단백질인 인터페론 감마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홉수를 억제한다고 밝혀졌다. 이 연구 논문의 목적은 지질다당류와 인터페론 감마가 닭 골수의 미분화세포가 파골양세포로 전환되는데 어떠한 영향올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16${\sim}$18 일째의 닭의 배 (chick embryo) 에서 경골을 분리하고 횡절개하여 혈청없는 M-199 배양액에 보관했다. 이것을 9${\mu}m$ filter로 여과시켜서 이미 분화된 파골세포와 기타 다른 분화 세포를 분리했다. 여기에서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를 얻어 LPS와 IFN-${\gamma}$를 단독 또는 복합처리 하고나서 4일 후에 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을 시행하고 TRAP 양성이며 핵이 세개 이상인 다핵의 세포형성을 관찰하여 세포를 계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닭에서 분리해낸 미분화세포에 0.1. 0.5. 1.0 ${\mu}/ml$ 의 LPS 농도를 처리하고 1 주일간 배양한 결과. 0.1 ${\mu}/ml$ 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TRAP 양성인 파골양세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에 LPS는 0.5 와 1.0 ${\mu}/ml$ 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였다.(P<0.05) 2. IFN-${\gamma}$는 50. 500U/ml 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TRAP 양성인 파골양세포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올 보였다 .3. INF-${\gamma}$는 LPS 에의해 유도된 TRAP 양성인 파골양세포의 형성을 감소시켰고 특히 . 250.500U/ml 의 농도에서 유의 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LPS는 닭의 골수세포로부터 파골양세포의 형성을 증가시키며 IFN-${\gamma}$는 LPS에의해 유도된 파골양세포수를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Comparison of Diglyceride,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Diglyceride-Conjugated Linoleic Acid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Jeong, Jae-Hwang;Lee, Sang-Hwa;Hue, Jin-Joo;Lee, Yea-Eun;Lee, Young-Ho;Hong, Soon-Ki;Jeong, Seong-Woon;Nam, Sang-Yoon;Yun, Young-Won;Lee, Beom-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5-150
    • /
    • 2007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므로서 포유동물에서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 연구의 목적은 diglyceride(DG), CLA, 및 DG-CLA가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세포생존측정,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활성측정, 지방축적에 대한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DG, CLA, 및 DG-CLA의 처치는 전지방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러한 효과는 CLA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이들 시험물질의 $100 {\mu}g/ml$ 농도에서 DG, CLA, DG-CLA는 유의적으로 GPDH의 활성을 낮추었으며(p<0.05), 이러한 결과는 전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이들 시험물질은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더욱이 DG-CLA가 DG 혹은 CLA보다 분화 및 지방축적에 대해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G-CLA의 섭취는 사람에서 체중조절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포스파티딜세린의 각질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피부장벽 기능 강화 (Phosphatidylserine Enhances Skin Barrier Function Through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 정소영;남상준;최왕근;서미영;김진욱;이승헌;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2
    • /
    • 2006
  •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PS)은 생체막에서 구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인지질로서, 생체 내 다양한 세포작용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효소의 보조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PS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피부에서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모생쥐의 피부에 tape-stripping으로 경표피수분손실(TEWL)의 증가를 유도한 후, PS를 도포함으로써 그 손실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PS 도포군의 피부에서 세라마이드 함량이 증가된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PS 도포군에서 non-hydroxyl 세라마이드와 glucosyl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각각 1.4배와 1.6배로 증가하였다. PS는 또한 피부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다. 피부각질세포에 PS를 처리함으로써 세포 형태가 분화상을 띄고 있음을 현미경 상에서 확인하였고, 표피분화의 특이적 표지 단백질인 Involucrin (INV)과 Transglutaminase 1 (TG'ase 1)의 발현이 각각 3.5배와 3배로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무모생쥐 피부에 PS를 도포한 결과 INV와 loricrin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PS가 피부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최초의 증거를 제시하며, 구체적으로는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세라마이드 함량을 증가시키고 경표피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해마 신경전구세포의 분화 증가 (Ginsenosides Rb1 and Rg1 Decrease Proliferation but Increas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Hippocampal Neural Progenitor Cells)

  • 윤영주;이준석;김영숙;양병환;손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3호
    • /
    • pp.169-175
    • /
    • 2006
  • 전세계적으로 널리 복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삼이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세포수준에서의 증거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보고된 30여종 이상의 ginsenosides 중에서 인삼 효과의 주된 활성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b1과 Rg1을 이용해 해마신경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증식실험결과 Rb1과 Rg1을 3일 동안 해마신경전구세포에 처리하면 대조군에 비해 BrdU(+)세포수가 상당히 감소한 반면에 분화조건에서 Rb1과 Rg1을 처리했을 때는 신경세포특이적인 MAP2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전구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 결정에 관여한다고 잘 알려져 있는 proneural 전사인자인 Ngn1과 Hes1 유전자의 발현양상도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insenoside Rb1과 Rg1은 해마신경전구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대신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해마신경발생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