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척일

검색결과 2,183건 처리시간 0.027초

산삼부정근 추출물의 효능${\cdot}$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

  • 유영근;정민석;이윤희;최종완;김중회;백기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7-383
    • /
    • 2004
  • 본 연구는 식물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배양된 산삼부정근의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산삼부정근은 강원도 평창에서 채취한 110년생 천종산삼으로부터 유래된 캘러스에서 부정근을 유도한 후 절취하여 생물 배양기에서 액체 현탁액으로 대량 배양시켰다. 약 5주간의 배양기간을 거쳐 증식된 산삼부정근을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추출하여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얻었다 조직 배양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in vivo에서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직배양된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을 이용한 미백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에서 두드러진 미백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차(p<0.0001)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산삼의 주요 성분인 일부 saponin에 대한 tyrosinase 억제 실험 및 B-16 melanoma를 이용한 미백 실험을 실시한 결과 미백효과가 $10\%$ 이하로 낮게 나왔으며 인삼 및 홍삼 추출물의 경우에서도 산삼부정근 추출물과 같은 농도에서는 거의 미백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DPPH 실험에서는 산삼부정근 추출물이 $0.05\%$ 농도에서 $8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돌나물의 저장 중 미생물 성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cetic acid and UV-C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the quality of sedum during its storage)

  • 성기현;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1-586
    • /
    • 2014
  • 수확 후 돌나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1% acetic acid 침지 세척과 $10kJ/m^2$ UV-C 조사를 병합처리하여 $10^{\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색도, 비타민 C 함량,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돌나물에 병합처리 후 총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28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에서는 4.22 log CFU/g 감균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6일 동안 유지되었다.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돌나물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또한 비타민 C 함량과 항산화능은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와 대조구 모두 감소하였으나,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수확 후 돌나물의 저장, 유통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hurdle technology라고 판단된다.

근관 충전제의 과충전에 의한 하치조 신경손상에 관한 비수술적 치료 증례 (Case Report : Non-surgical Treatment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s a Result of Overinstrumented Root Canal Treatment)

  • 배국진;안종모;윤창륙;조영곤;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99-205
    • /
    • 2011
  • 근관치료 중 수동 또는 엔진구동파일을 사용하다 과도한 기구 조작을 하게 되면, 근관충전제, 드레싱제 그리고 근관세척제가 근관에서 나와 하악관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 때 환자는 통증, 지각과민, 지각감퇴, 무감각, 이상감각 등을 호소하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들은 근관충전제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생체적합성이 떨어지는 물질들에 의한 비가역적인 손상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해결되어야 한다. 비록 근관치료와 관련하여 발생한 하치조신경의 손상을 치료하는 진료지침이 비교연구 되어 있는 것이 없으나, 이 합병증에 대한 통상의 치료는 통증과 염증을 조절하는 것이고, 가능하다면 수술적인 치료로 근원을 처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수술적인 치료로 통증을 완전히 개선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감각이상을 치료하는 것이 보고되어왔다. 가바펜틴(gabapentin) 또는 프리가발린(pregabalin) 같은 항간질제는 신경병증 통증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이번 논문에서는 하악 우측 제 2대구치의 근관치료 후의 하치조신경의 손상과 이에 대해 프레드니솔론과 가바펜틴으로 비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것과 임상적으로 신경감각검사와 신경전류인지역치검사(Neurometer)를 통해 경과관찰을 시행하였다.

생리식염수 세척이 구강 소독제의 타액 내 세균 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e irrigation used in combination with antimicrobial agent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 김동주;유경환;임형섭;이성규;김수관;김학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3호
    • /
    • pp.202-205
    • /
    • 2010
  • Introduc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chanical irrigation in combination with mouthwash of antimicrobial agent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randomized study employing a panel of 40 healthy volunteers (20 males and 20 females) between the age of 26 and 32 years. Volunteers were randomly put in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In the first group, 0.2 mL of non-stimulatory saliva was collected from every subjective person. Then, saliva was collected after rinsing with chlorhexidine (CHX) for 1 minute. In the second group, non-stimulatory saliva was collected, and then saliva was collected after rinsing with CHX and irrigation with saline. In the third and fourth groups, the same procedures a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were performed with povidone iodine (PVI) instead of CHX. All of these samples were cultured for 48 hours aerobically. The reduction rates of colony-forming units (CFU)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The reduction rate between each group was tested statistically using student t-test. Results: Using CHX in combination with saline irriga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salivary bacterial CFU when compared with only using CHX.(P<0.01) And using PVI with saline irrigation showed a little decrease of the CFU when compared with only using PVI,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CHX or PVI used with saline irrigation made the salivary bacterial counts reduced more than when CHX or PVI was used alone as an oral antiseptic agent.

서울시 치과의원의 진료실 감염관리 및 폐기물 처리 실태 조사연구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 강재경;김은숙;김경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2002
  • 치과 진료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근원이 되는 곳은 환자의 구강이다. 구강 내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진료행위는 타액과 혈액에 노출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성 질환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치과 종사자들의 감염방지를 위해 주위를 환기시키고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치과의원 100곳을 추출하여 진료실 감염관리와 폐기물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멸균준비를 위한 기구세척시 대부분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나(95%), 기구건조(56%), 기구포장(57%), 멸균지시테이프를 부착(24%)하는 기관은 적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멸균기(가압증기멸균기 또는 불포화화학증기멸균기 또는 건열멸균기)를 보유하고 있으나(97%), 멸균기의 성능점검이 나 관리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mirror, pincette, explorer 등의 기본기구, 외과기구, 그리고 치주기구는 90% 이상 멸균하였다. 3 표면관리에 있어서 표면소독제로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94.0% 이었다. 4. 폐기물 처리의 경우 사용한 주사바늘, 수술용 칼, 봉합용 바늘은 97~98%가 별도의 밀폐용기에 모아서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아말감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65% 수은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74% 이었다. 5. scaling 시(수술용 고무장갑+구강 마스크+보안경)을 착용하거나(수술용 고무장갑+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37% 이었고, 보철물 연마시(구강 마스트+보안경)을 착용하거나 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25% 이었다. 6. 간염예방주사를 맞았거나 면역되어 있는 사람은 90% 이었다. 7. 마취주사바늘 제거시 손으로 뚜껑을 닫고 제거하는 경우(84%)와 주사바늘에 찔린 경험(62%)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많은 사람이 부주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환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에게 납방어복을 입히는 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환자의 안전관리를 주의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98%) 실제로 환자를 보호(37%)하는 것은 아니며, 본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술자의 방어방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주의한다고 인식(95%)하는 만큼 술자의 보호(88%)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기구의 소독과 멸균의 단계와 절차를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과 표면소독제로 알콜 대체재료의 보급이 필요하고, 폐기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더욱 확산시켜야 하며, 개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이 부족하므로 특히 환자보호와 더불어 술자 등 개인보호를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검토되었다.

  • PDF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관리 실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actice of the Industrial Workers)

  • 윤미숙;권현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35-544
    • /
    • 2012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인식수준에서 충치나 치주질환 예방 인지도는 높았지만, 잇솔 외 구강위생용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강보건관리 실천 수준의 경우, 잇솔질 시 혀 세척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이고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평균 소득이 200~300만원인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동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최근 2년 내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자,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자,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자, 구강보건 교육 경험이 있는 자가 구강보건인식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은 잇솔질을 3회 이상 하는 근로자와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구강건강 에 대한 관심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구강보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라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인식과 구강보건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구강보건 인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흰쥐규폐증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내 세포변화 (Changes of the Cellularitie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the Experimental Silicosis)

  • 임영;윤임중;오민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43-154
    • /
    • 1991
  • Pneumconiosis is a sort of pulmonary fibrosis consequent to the inhalation of the respirable dusts. Thus, the pathogenesis of silicosis have concentrated largely on the early response of alveolar macrophage and the later fibroblastic stimulation. But the role of the other cells and continuing cell injury in the pathogenesis has not been fully studied. And the chemical factors such as prostaglandin, fibroblast stimulating factor and inhibiting factor and chemotaxin are also participated in the mechanism of pulmonary fibrosis in silicosis. In order to clarify the role of alveolar cells and prostaglandi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cellularitie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tissue pathology in the experimental silicosis with the time sequence.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received only intratracheal injection of 0.5 ml saline, silica group received the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40 mg silica with the same amount saline, and aspirin group received 450 mg/kg of aspirin after silica instil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cell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the silica group marked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ilica and aspirin groups. 2) The percentages of alveolar macrophage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silica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also lower than those in the aspirin group at the 1st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3) The percentages of neutrophil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silic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also higher than those in the aspirin group at the 3rd day after silica instillation. 4) In the silica group, the percentages of lymphocyte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were increased 143 progressively with the time course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3rd week after silica administration.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of lymphocyte percentages between the silica and aspirin groups at the 1st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5) The inflammatory change was observed in the rat lung at the 1st day after silica instillation. Also the silicotic nodule appeared in the silica group at the 1st week but we could not find out that nodule in the aspirin group at that time. The fibrotic changes in the rat lung tended to be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the time course, therefore, the diffuse fibrotic pattern appeared in the whole field at the 20th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6) By the electron microscopy, there were gradual increases of phagosomes and vacuoles in the alveolar macrophage in the silica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trophils and the lymphocytes have also participated in the pulmonary fibrosis even though the alveolar macrophage has a major role, and prostaglandin mediate the inflammation and pulmanary fibrosis in the experimental silicosis.

  • PDF

지르코니아 코어의 표면처리가 비니어링 세라믹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zirconia core to veneering ceramic)

  • 최미선;김영수;서규원;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9-205
    • /
    • 2009
  • 연구목적: 지르코니아 코어의 표면처리가 비니어링 세라믹과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블록(IPS e. max ZirCAD; Ivoclar vivadent, N=40, n=10, $10mm{\times}10mm{\times}3mm$)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소성한 후 세척하였다. 대조군, 샌드블라스팅(4기압하 $50{\mu}m$ 알루미늄옥사이드) 처리군, 라이너(Zirliner; Ivoclar vivadent) 처리군, 샌드블라스팅과 라이너 처리군 네 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각 표면처리한 후 3 mm 두께로 세라믹(IPS e. max Ceram; Ivoclar vivadent)을 축조한다. 인스트론 만능시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일원변량 분산분석(One way ANOVA)과 $Scheff{\acute{e}}$검정법(P<.05)를 시행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코어와 세라믹 간 평균 전단결합강도는 샌드블라스팅과 라이너 동시 처리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르코니아 코어에 샌드블라스팅과 라이너 단독 표면처리는 결합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5), 샌드블라스팅과 라이너 동시 표면처리는 두 재료 간 결합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지르코니아 코어에 샌드블라스팅과 라이너 동시 처리시 전단결합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치근단 형성술(Apexification)에 있어서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의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FOR APEXIFICATION)

  • 백병주;전소희;김영신;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00-708
    • /
    • 2001
  • 소아환자에 있어 외상성 손상은 미완성된 치근의 발육을 방해할 수 있다. 미완성된 치아의치수가 괴사된 경우 근관은 완전히 세척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apical stop이 부족하고 얇고 부서지기 쉬운 치수벽 때문에 적절한 apical seal을 얻기 위해서는 치근단 형성술을 시행해야 한다. 지금까지 수산화 칼슘이 치근단 형성술의 선택약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은 치료시기가 다양하고, apical closure도 불확실하며, 환자 follow up이 어렵고, 치료가 늦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인공적인 apical barrier를 형성시켜 근관의 즉각적인 충전을 할 수 있는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DENTSPLY Tulsa Dental, U.S.A)를 이용하였다. MTA는 tricalcium silicate, tricalcium aluminate, tricalcium oxide와 silicate oxide와 같은 친수성 입자로 구성된다. 또한 소량의 mineral oxide와 bismuth oxide powder를 포함한다. MTA는 경화후 pH가 수산화칼슘 또는 $Ca(OH)_2$와 유사한 12.5로 항균작용을 지닌다. 용해도가 낮고, 상아질보다 약간 더 큰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인다. 또한 다른 재료들보다 미세누출이 상당히 적고 다른 재료들보다 경조직 형성 능력이 뛰어나다. 본 증례는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외상으로 인해 치근단이 미완성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단 형성술을 위해 내원한 환아에 대해 MTA를 적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근관내 약제가 규산칼슘 기반 재료의 압출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canal Medicaments on Push-out Bond Strength of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 정현태;양선미;김선미;최남기;김재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55-46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근관 내 약제가 규산칼슘 재료의 압출 강도(Push-out bond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단일 근관을 가진 40개의 인간 하악 소구치들은 대조군과 수산화칼슘, 이중 항생제, 삼중 항생제를 사용한 군 중 하나로 나뉘어졌다. 근관 세척을 통해 약제를 제거 후, 1 mm 두께로 시편들을 제작하였다. 그 후 ProRoot MTA$^{(R)}$와 Biodentine$^{(R)}$을 근관 내에 적용하였고, 압출 강도 실험과 파절 양상 관찰을 수행하였다. 삼중 항생제와 이중 항생제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두 종류의 규산칼슘 기반 재료의 상아질 결합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산화칼슘을 사용한 군은 유의한 결합력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각각의 실험군 내에서 치근 상아질에 대한 Biodentine$^{(R)}$의 탈락 저항은 ProRoot MTA$^{(R)}$보다 크게 나타났다. 파절 양상에 따라 응집 파절, 혼합 파절, 접착 파절의 순서로 압출 강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산화칼슘을 사용한 군에서는 응집 파절이, 항생제를 사용한 군에서는 접착 파절이 우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