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취정서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hurch Education for the Elderly's Religious Maturity)

  • 박은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77-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된 한국교회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종교적 성숙의 과제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교육의 방향과 과제가 종교적 성숙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인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적 성숙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종교적 성숙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성서적 및 신학적 성숙의 개념과 종교심리학적 성숙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하나님 이미지 개념과 성숙한 인간 삶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맺도록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을 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지적인 차원의 교육으로 성서적 및 신학적 하나님 개념을 교육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으며 성장과 성숙이 필요한 존재로 노인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서적 차원의 교육으로 노인들의 하나님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확인하도록 교육할 것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위한 교육 상담적 접근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행위적 차원의 교육으로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서 부모와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교육할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으로 나타나도록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사용 25~36개월 영아 행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25~36 Months Old Infant's Happiness Scale for Teachers)

  • 민선희;김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3
    • /
    • 2019
  • 이 연구는 25~36개월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영아 행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선행 측정도구 분석내용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을 통해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과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해 D지역 25~36개월 영아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성요인과 문항은 문제행동(4), 몰입을 통한 성취(4), 친구와의 관계(4), 교사와의 관계(4), 물리적 환경(3), 긍정정서(4), 부정정서(3), 건강(3)의 총 8개 구성요인과 29문항이다. 둘째,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문항 적합도 CFI=0.89, TLI=0.88, RMR=0.05로 적합하였으며,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공인타당도는 기존에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는 0.71-0.89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효과를 검증해주는 주요 검사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인초기와 중년후기의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행복증진활동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arly-aged Adult and Late Middle-aged Adult: the Mediation Effects of Happiness Enhancing Activities)

  • 이현서;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615-636
    • /
    • 2018
  • 본 연구는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행복증진활동의 매개효과를 성인초기와 중년후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25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초기 성인 192명과 55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후기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균형적 시간관, 행복증진활동,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을 측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성인초기와 중년후기 모두 균형적 시간관이 행복증진활동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증진활동의 하위 유형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성인초기의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취지향적 활동과 개인적 관계중심 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중년후기에서는 개인적 관계중심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와 중년후기 성인을 대상으로 과거와 현재, 미래의 '균형 잡힌' 시간관이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세대 간에 나타나는 행복증진활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 지위비행의 위험군 탐색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High Risk Group of Adolescent Status Delinquen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roup)

  • 박영미;이혜경;백수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92-90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7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1,979명 중 지위비행 집단은 264명으로 전체의 13.3%로 나타났다.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은 남자이면서 긍정적 양육방식을 낮게 인식하는 군이었다. 긍정적 양육방식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 정서문제, 교사관계, 성취가치 순이었다.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양육방식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남자 청소년에게 특화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공격성에 초점을 두었던 그 동안의 중재에서 더 나아가, 우울, 사회적 위축 등의 정서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중재가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에게 중요한 학교환경에서 교사관계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바,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교육, 상담기법에 대한 훈련을 통한 교사와의 관계 증진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초등과학영재의 정서지능과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임현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16-3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asure and career maturity test were used. Sample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10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98 general students in Y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general students, whereas general students had highest score in type of avoidance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lso,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st score in mastery goal orientation of thos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score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job planning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maturity were impac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whereas independence was low influ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mastery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whereas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Also,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influence on all the subelements of career maturity.

아동과 홈 로봇의 심리적.교육적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Effects in Children and Home Robot Interaction)

  • 김병준;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01-510
    • /
    • 2005
  • 홈 로봇이 인간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 즉 HRI(Human-Robot Interaction)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홈 로봇 'iRobi'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통해 홈 로봇이 아동의 심리적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와 홈 로봇 학습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알아보았다. 심리적 인식 측면에서 홈 로봇과의 상호작용은 아동에게 친근감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대로 인식하도록 하였으며 아동의 불안을 해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 효과 측면에서 홈 로봇을 이용한 경우가 다른 학습 매체(책, WBI)에 비해 학습 집중도와 학습 흥미도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홈 로봇은 아동의 정서적, 교육적 상호작용 도구로서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성별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차이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 임미란;조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008-101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남 여학생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98명으로 이들 중 남학생은 36명, 여학생은 6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수준 측정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성별과 성적으로 분류된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성별로 나누어진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영어 학업성취도로 분류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도구와 연구 대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두 집단 간의 다른 정의적 변수의 차이에 관해서도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뇌파 조절 훈련을 통한 스트레스저항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Brainwave Traing on Students' Acadamic Achievement and Ability of Resisting Stress -for the Primary Student-)

  • 안상균;백기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952-2958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I시 P뇌훈련센타에 정서적 성향이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하여 방문한 내담자 48명(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의 뇌파를 검사하여 뇌파 조절 훈련 전과 훈련 후의 스트레스저항능력의 변화와 스트레스저항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훈련 전과 후의 스트레스저항능력의 비교는 뇌기능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5점 척도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뇌파 조절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항스트레스지수와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뇌파 조절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저항능력을 높여 주었으며 이결과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뇌기능 변화가 학생들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나 저항능력 등의 객관적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 증거의 축적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정신건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중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 방은주;김두형;노법래;유혜승;장지현;하경희;박은진;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73-18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by using longitudinal data. Methods: For this study, 153 high schools were randomly sampled on a nationwide scale. The descriptive data was collected from a school information internet site which is organ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We used the schools' mean scores on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Behavior Questionnaire-II (AMPQ-II) scale which was used for estimating students' mental health in the 2013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test.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llowing year's academic achievement and annual dropout rates. Especially,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tend to increase the school dropout rate in vocational schools.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stat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ICT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 김정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7-56
    • /
    • 2004
  • 이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교육청 관내 중학교 2학년 140명이었다. 학습자들에게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습양식검사, 자아개념검사, 인지양식검사, 학업성취도검사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Ver. 1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ICT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 중 정서적 사회적요인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었다. 둘째, ICT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성성취도와는 관계가 있었다. 셋째, ICT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