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조합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8초

하이브리드 효과를 주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의 최적 조합비 (Optimum Combination of Carbon and Glass Fiber Composite to Obtain the Hybrid Effect)

  • 송형수;민창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05-411
    • /
    • 2011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자주 사용하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대신에 이 두 가지 섬유를 동시에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효과를 얻기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하이브리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탄소 섬유와 유리 섬유를 적절한 비율로 조합해야 되며, 이러한 비율로 제작된 실험체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FRP 직접 인장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FRP 실험체는 직조된 섬유 시트를 이용하는 현장과 다르게, 섬유를 직접 조합해야 하는 이유로 작업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탄소 섬유와 E형 유리 섬유의 조합에 따른 1축 직접 인장 실험체의 제작 방법을 제안하여 실험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이브리드 FRP로 가장 적합한 섬유 조합은 연성 지수, 탄성계수 및 응력-변형률 곡선을 비교한 결과 연성 K형 에폭시를 사용한 유리 섬유 : 탄소 섬유 = 9 : 1(체적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섬유의 종류와 조합이 열중합 의치상 레진의 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ber Type and Combination on the Reinforcement of Heat Polymerized Denture Base Resin)

  • 유상희;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45-4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열중합 의치상 레진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를 2.6%, 5.3% 부피비로 첨가하여 섬유의 종류에 따른 강화효과를 평가하고, 각 섬유를 두 가지로 조합한 hybrid FRC를 제작하여 동일 함량의 단독 섬유 FRC보다 굴곡성질이 더 우수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독 섬유 FRC에서는 5.3% 부피비의 GL, PE 섬유군의 굴곡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굴곡강도는 단독 섬유 FRC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5.3% GL, PE 섬유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독 섬유 FRC의 굴곡계수는 5.3% 부피비의 GL 섬유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굴곡계수는 단독 섬유 FRC의 5.3% GL 섬유군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열중합 의치상 레진의 강화를 위해 섬유를 단독으로 이용할 경우 5.3% 부피비로 첨가한 유리 섬유가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경우 굴곡강도 면에서는 강화효과가 크지 않았지만, 굴곡계수 면에서 볼 때 유리섬유를 하방에 아라미드 섬유를 그 상방에 위치 시킨 조합을 의치상의 강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섬유 조합변화가 HPFRCC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brid Fiber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HPFRCC)

  • 한동엽;한민철;강병희;박용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39-645
    • /
    • 2014
  •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기술발전으로 인간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설산업에서도 재료 및 건축구조물의 발전이 계속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콘크리트 재료의 발전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간편성, 공기단축 및 높은 압축강도 등의 이점이 있는 반면에, 낮은 인장 및 휨강도, 취성파괴 및 건조수축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일부 기업 및 학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 등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섬유의 다량혼입으로 큰 응력에서 넓은 범위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HPFRCC 재료 개발의 경우 섬유의 다량 혼입으로 높은 인성 등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 뭉침 등의 문제로 유동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궁극적으로는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장 및 휨 강도 성능 향상을 확보를 위해 섬유를 활용한 섬유보강 HPFRCC의 시멘트 복합재료에 시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 무기 섬유 조합변화에 따른 HPFRCC의 유동 특성 및 역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므로서 최적의 섬유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1 % 소량 혼입시 유동성 측면에서는 섬유 조합변화한 경우보다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SS섬유의 경우가 가장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공기량이 낮았던 유기섬유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기량이 높았던 강섬유의 비해 강도는 높았지만 인장 및 휨 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 조합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Combination of Fibers)

  • 최정일;고경택;이방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9-56
    • /
    • 2015
  •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유동성을 갖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이다. 그러나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비하여 낮은 연성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마이크로섬유의 조합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현무암섬유 조합에 따라 4가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고,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접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제조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기포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밀도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현무암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균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의도하지 않은 기포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섬유보강 고강도 내화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 분석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ber-Reinforced High-Strength AFR Concrete)

  • 최선미;이범식;배기선;김상연;박수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543-544
    • /
    • 2009
  •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섬유(NY, PP)는 섬유의 길이조합과 혼입율에 따라 유동성에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의 길이조합과 혼입율이 고강도콘크리트의 유동성과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몰탈시험체를 대상으로 미니 슬럼프 플로우(Mini slump-flow), 간이 V-lot 및 회전점도계에 의한 점도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섬유의 길이 조합에 따른 유동특성은 큰 차이가 없으나 섬유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복합섬유의 고속용융방사에 대한 수치모사 - HDPE/PET 복합섬유 -

  • 구본규;김경효;조현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1-105
    • /
    • 1998
  • 복합방사에 의해 복수의 성분을 단섬유내에 함유하고 있는 섬유를 복합섬유라 하며 복합섬유에는 천연섬유인 양모섬유가 있고, 합성섬유로는 sheath/core형, side-by-side형, 해도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섬유가 있다. 최초로 side-by-side형의 비스코스 섬유가 1937년에 발명 되었고, 이후 1960년대부터는 나일론 복합섬유가 양말ㆍ메리야스류, 부직포 제조의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최근에 와서는 극세섬유나 권축섬유 등 특수한 기능을 가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sheath/core형을 비롯한 많은 형태의 복합섬유가 다양한 고분자의 조합으로 제조되고 있다[1].(중략)

  • PDF

집중하중 조합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설계 휨 내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Point Loads on the Design Flexural Capacity for Fiber Reinforced Concrete Floor Slab)

  • 이종한;조백순;김정식;조범구;김한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7-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주요 설계하중인 선반하중과 이동하중에 의한 휨 내력을 평가하였다.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각 하중의 크기와 작용면적을 정의하였으며,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일하중에 의해서는 슬래브 경계면에서 휨 내력이 평가되어야 하며, 슬래브 두께 180mm 이상, 콘크리트 강도 35MPa 이상일 때는 최소 등가 휨강도비로써 휨 내력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조합하중에 의해서는 선반하중간의 조합이 가장 큰 등가 휨강도비를 요구하였으며, 선반하중과 이동하중의 조합은 선반하중간의 조합에 비해서는 작게 평가되었고, 단일 하중에 비해서는 크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휨 설계는 하중 조합에 의한 내력 평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3성분계 복합유기섬유 혼입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Fire 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Depending on Ternary Blended Organic Fiber)

  • 박천진;한상윤;백대현;한민철;양성환;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97-398
    • /
    • 2010
  • 본 연구는 PP, NY, CL의 유기섬유 조합비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PP+NY+CL=0.02+0.01+0.02의 경우가 여타의 섬유 조합보다 내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최적조합비율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