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소 분해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6초

Penicillium verruculosum으로부터 Cellobiohydrolase의 정제 및 특성

  • 조남철;김강화;전순배;정기철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7-199
    • /
    • 1991
  • Penicillium verruculosum 배양액으로부터 소단위체 분자량이 60,000(cellobiohydrolase I)과 66,000(cellobiohydrolase II) 및 76,000(cellobiohydrolase III)인 cellobiohydrolase를 분리 정제하여 그들의 일반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세 효소들은 모두 당단백질로서 cellobiohydrolase I, II 그리고 III는 각각 $8.6\%$, $4.2\%$ 그리고 $8.5\%$의 당함량을 나타냈으며 세 효소 모두 pH 4.5 - 5.0, 온도 $50 - 60^{\circ}C$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냈다.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는 모두 Avicel, cotton, 여지 등의 결정성 섬유소 뿐만 아니라 carboxymethyl cellulose에도 활성도를 나타냈다. 정제된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의 Avicel에 대한 비 활성도는 각각 0.07, 0.10, 그리고 0.07 unit per mg. of protein 이었으며 Avicel 분해 생성물은 거의 cellobiose였다. 또한 p-Nitrophenyl-$\beta$-D-cellobioside를 기질로 하였을 때 이들 세 효소 모두 포도당에 의해 활성도가 저해되지 않은 반면 cellobiose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아미노산조성, 트립신에 의한 펩타이드들의 용출양상 그리고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ting 결과로부터 cellobiohydrolase II와 III는 동일 유전자산물이거나 1차 구조가 거의 유사한 단백질로 추정된다. Cellobiohydrolase II로부터 분리한 2 개의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Trichoderma cellobiohydrolase I과 상동성을 보였으며 또한 이 두 호소의 아미노산조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 PDF

폭쇄처리(爆碎處理)된 목질계(木質系) Biomass의 산소가수분해(酸素加水分解)(I) -리그닌의 함량(含量)과 섬유소(纖維素)의 결정화도(結晶化度)가 산소가수분해(酸素加水分解)에 미치는 영향 (The Enzymatic Hydrolysis of Exploded Woody Biomass(I) -Effects of Lignin Contents and Cellulose Crystallinity on the Enzymatic Hydrolysis-)

  • 박영기;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53-60
    • /
    • 1993
  • Substrates used were hardwood-Suwon poplar-(Populus alba${\times}$glandulosa L.) and softwood-pitch pine-(Pinus rigida M.). And these substrates were steam exploded then treated with sodium chlorite at 75$^{\circ}C$ with occasional stirring in order to obtain samples which had different lignin contents and crystallinity. And then this resulting samples incubated with a commercial cellulase derived from Trichoderma ressei. The contents of Klason lignin were decreased as the increasing of the ratio of sodium chlorite in the two species. The effect of hardwood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softwood in the same ratio of sodium chlorite. The minimum contents of Klason lignin were 0.8% and 5.1% respectively. And the crystallinities of cellulose were increased very little as increasing of the ratio of sodium clorite. The hydrolysis extent of the two species were increased as the increasing of delignification. Especially, the hydrolysis extent of hardwood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softwood. The maximum hydrolysis extent were 89.8% and 71.1%, respectively.

  • PDF

다시마밥 제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ing Cooking Condition of Short Grain Rice Containing Sea-tangle Patch)

  • 신은수;이진화;박경태;류홍수;장대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26-1734
    • /
    • 2004
  • 백미밥에 비하여 기능성과 기호성이 향상된 다시마밥의 최적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응표면 분석하여 다시마편 첨가비율, 가수량과 침지시간 등의 최적 수준을 정하고, 최적수준으로 제조한 다시마밥과 백미밥의 물성검사와 영양적 품질평가를 비교하였다.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2차 회귀 방정식에서 맛, 찰기, 색상, 전반적기호도의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p<0.03), 예측되는 최적조건은 다시마편 첨가비율 14%, 가수량 1.67배, 침지시간 47분이었다. 이 최적조건으로 지은 다시마밥의 경도는 압력솥으로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경도는 상압에서 지은 백미밥과 비슷하였다. 부착성은 상온에서 지은 백미밥보다는 낮았고 압력솥에서 지은 백미밥과는 큰 차이 없었다. 씹힘성은 상온에서 지은 백미밥에 비해 2배 높았으나 압력솥에서 지은 백미밥보다는 약간 낮았다. 밥을 지은 뒤 30분 경과 후의 물성의 변화는 백미밥보다 다시마밥의 변화가 더 적었다. 다시마밥의 식이섬유소 함량은 5.4%이었고, 백미밥에 비해 식이성 섬유소, 회분, 단백질의 보강효과는 현저하였다. 다시마밥의 단백질 소화율(in vitro), 단백질 효율비 (C-PER)과 전분호화도는 백미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시마밥은 열량섭취량이 높고, 섬유소 섭취량이 낮은 현대인의 식생활에 이을 보완해주는 저열량 고섬유소의 기능적 식품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식이섬유 소재의 생산기술

  • 김종태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심포지엄
    • /
    • pp.5-7
    • /
    • 2000
  • 국내에서의 식이섬유의 이용은 대부분 저분자량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음료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밀기울, 귀리, 옥수수 껍질 등으로 부터 얻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과 및 제빵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예방과 장기능 증진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장암과 변비같은 장질환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산 미이용 자원으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성 향상과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식품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폴리덱스트로스와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당류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큰 외화지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산 미곡 부산물인 밀기울 식이섬유 세포벽의 불용성 구조를 수용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기술과 얻어진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즉, 밀기울 세포벽의 수용화를 위한 가공처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용화가 수반되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식이섬유 소재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용화가 일어난 세포벽 성분의 분해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의 산업적 생산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효소처리, 산성하에서의 감압가열, 고점도 원료물질의 이송, 생물공학적 공정제어, 반응시간, 잔여 효소의 불활성화 및 재활용, 제조원가 상승 등과 같은 것을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압출반응공정의 조건과 생산된 소재 gluc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등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기로 한다.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vestigation can be separated into sa

  • PDF

인삼 종자의 성숙과 후숙 과정에서 배유세포내 섬유소 가수분해효소의 분포 및 기능 (Localization and Function of Cellulase in Endosperm Cells of Panax ginseng Seeds during Maturation and After-ripening)

  • 유성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27-335
    • /
    • 1993
  • The active sites, intracellular transport, function of cellulase in association with the disintegration of the storage materials of the endosperm cells during seed maturation and after-ripening of Panax ginseng C.A. Meyer seeds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Cytochemical activities of the cellulase occurred in protein bodies and vesicles of endosperm cells in seed with red seed coat. In after-ripening seed, the activities were strongly found in the cell wall of endosperm near the umbiliform layer and on neighbouring vesicles, so it is assumed that these cells begin to be decomposed. Cellulase activities were initiated before the decomposition of storage materials. But, no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umbiliform layer, so it is suggested that cellulase lose its activity after the completion of lysis process.

  • PDF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위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Cytochemical and Immunocytolog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stomach of the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정계헌;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73
    • /
    • 1997
  •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에서 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여부를 화확인하기 위해 세포화학적 방법과 immunogold labeoling mithod를 수행되었다. Nesiohelix samarangae의 위에선 3가지 종류의 원주상피가 관찰되었다. 이 중 TYpe1세포는 microvilli가 발달하고 매우 많은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Type2세포는 위로 치우친 핵과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에 rER이 매우 발달해 있었다. Type3 세포는 섬모와 미세융모를 함께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분비과립을 약간 함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위 상피에서의 cellulase의 활성을 시험해본 결과 상피세포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Type 1세포들과 Type3 세포들의 분비과립들의 주변에서 cellulase활성이 높았고, immunogold staining결과는 황금입자가 위 상피의 분비과립 주위의 세포질과 rER의 막과 주변세포질, 그리고 상피세포들의 상단부 세포질 등에서 표지되었다. 이상의 모든 실험 결과는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세포에서 cellulase가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면역화학적 방법에 의한 Cellobiohydrolase 정량 (Assay of Cellobiohydrolnse by Column Single Immunodiffusion and Enzyme tinted Immunosorbent Assay)

  • 오태광;고영희;김정일;박관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0
    • /
    • 1988
  • Trichoderma viride가 분비하는 cellobiohydrolase를 항원으로 사용하여 이 섬유소 분해효소에만 특이적인 항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항체를 이용하여 column single immunodiffusion 방법에 의해서 cellobiohydrolase의 농도 2-10 $\mu\textrm{g}$ 범위 내에서는 직선적으로 정량 할 수 있었고, ELISA 방법을 사용할 때는 $10^6$의 항체 희석시는 40-110ng, $10^5$ 항체 희석시는 100-1,200pg 농도범위의 cellobiohydrolase 를 정량 할 수 있었다.

  • PDF

셀룰라아제와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혼합효소를 사용한 섬유소-가수분해반응의 최적조건 (Optimum Conditions of Cellulose-Hydrolysis Reaction with Mixed Enzymes of Cellulase and $\beta$-Glucosidase)

  • 손민일;김태옥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20-25
    • /
    • 1998
  • Optimum conditions of the cellulose-hydrolysis reaction with mixed enzymes(cellulase extracted from Penicellium funiculosum mixed with $\beta$-glucosidase extracted from Almod) were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glucose from cellulos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optimum conditions fro pH, activity ratio of $\beta$-glucosidase to cellulase, concentration of mixed enzymes, concentration of cellulose as a substrate, and temperature range were 4.2, 0.4, 0.8, U/mL, 40 g/L, and 37$\pm$3$^\circ C$, respectively. In these conditions, quantities of glucose productions by using mixed enzymes were larger than those by using cellulase at optimum conditions.

  • PDF

사슴사료에서의 알팔파 효과

  • 권찬호
    • 월간한국양록
    • /
    • 21호
    • /
    • pp.19-25
    • /
    • 1995
  • 우리나라의 사슴에 공급되는 조사료는 대부분 중국산 갈잎건초, 옥수수 사일리지 및 일부 자가 생산된 조사료이다. 우리나라에서 녹용생산을 위해 사육되고 있는 사슴은 6개의 사슴아과중 진사슴아과(Cervinae)에 속하는 꽃사슴, 붉은사슴, 엘크, 다마 사슴들로 이들은 거친사료에 가장 잘 적응되어 있는 종류들이다. 특히 사슴은 타 동물과는 달리 난틴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갈잎이나 어린새싹등을 소화하는데 잘 길들여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수입하고 있는 갈잎은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가 있고 사슴의 사육기간에 따라 고단백사료를 필요로 하므로 대체 사료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가격만 적당하다면 다양한 무기물과 미지성장인자가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알팔파도 좋은 사료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알팔파를 사슴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소와 에너지 단백질의 적정요구량을 결정하고 여러가지 가공알팔파를 적절히 이용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카나다의 알버타 대학에서 실시한 사슴사료로써 알팔파의 효과와 각종 가공 알팔파의 올바른 이용방법에 대해 연구한 것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Trichoderma reesei QM 9414를 이용한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ellulase Production by Trichoderma reesei (QM 9414))

  • 김종민;류두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1-147
    • /
    • 1978
  •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ellulolytic enzymes,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were studied. When cellulose powder (Avicel) supplemented with rice straw was used as carbon source, productivity of ${\beta}-glucosidase$ was increased by about 3 times compared with the runs with only cellulose powder as a carbon source. In this case no negative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CMC enzyme activity and filter paper activity was found. For the production of celulolytic enzymes using T. reesei QM 9414, casitone was found to be a good nitrogen source compared with other sources studied, such as peptone, yeast extract, tryptone, and casein. The highest cellulase activity was attained when 0.3% glucose and 0.01% Tween 80 were supplemented to the standard medium of Rese. An adequate oxygen transfer rate was also found to be important to the cellulase fermentation and about 50 mmole of oxygen/liter/hour supported good cellulase biosynthesis during cellulase fer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