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하는 맛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들의 정서에 따른 컴포트 푸드의 차이: 성차를 중심으로 (The differences of comfort food depending on various emotions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 김지예;이상희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15-28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컴포트 푸드(comfort food)의 구성요인과 종류, 그리고 희노애락의 4개 정서에 따른 컴포트 푸드의 섭취에 성차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25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따뜻함과 위안을 주는 음식, 즐거운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음식, 맛있는 음식을 컴포트 푸드의 개념으로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음식 외적 요소에서 부담 없는 음식, 편리한 음식을 컴포트 푸드의 개념으로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건강을 고려한 음식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컴포트 푸드로 더 적합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포트 푸드의 종류로 남자는 고기류, 찌개 및 백반, 술을 보고하였고, 여자는 찌개 및 백반, 과일 및 야채, 고기류를 보고하였다. 남자가 음식종류를 선호하고 여자가 스낵 종류를 선호한다는 가설을 지지되지 않았다. 셋째, 제시된 4개의 정서에 따라 섭취하는 컴포트 푸드의 종류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상황에서는 남녀 모두 주로 술, 초콜릿, 매운 음식 그리고 음료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상황에서는 남녀 모두 치킨이 공통적으로 선호되었으며 여학생들은 다양한 음식들을 컴포트 푸드로 선택한 것에 반해 남학생들은 술을 주요 상위권의 음식으로 선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청국장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 문성원;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33-639
    • /
    • 2008
  • 청국장가루의 첨가가 식빵의 맛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밀가루 양에 대한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을 0, 0.5, 1.0, 1.5%로 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2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식빵의 부피, pH, 색도, 총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식빵의 부피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식빵의 pH는 저장일 동안 첨가구간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식빵의 명도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첨가구별로 모두 감소하였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첨가구에서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 하였다. 총균수는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는 증가하였고, 청국장가루 첨가구는 모두 초기 총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기호도 특성에서 색, 기공 상태, 냄새와 부드러운 정도가 청국장가루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도 특성에서 색과 냄새 모두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아 상대적으로 색은 진하고, 냄새는 강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빵에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은 0.5%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로즈마리 추출물로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Marinade Mackerel with Rosemary Extract)

  • 주형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1-230
    • /
    • 2011
  •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의식수준과 소득 증가로 건강 기능성 식품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건조 로즈마리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마리네이드한 고등어의 품질 평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등어 특유의 버린 냄새를 감소시키며, 고둥어의 DHA 등 건강에 유용한 성분의 섭취 증진하고자 하였다. 로즈마리 첨가량을 달리하여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염도 측정 결과 기존의 유통되는 안동 간고등어의 소금 5% 이라보다는 건조로즈마리 추출물로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염도가 2%로 소금섭취를 낮출 수 있었다. 저장 중 pH의 변화는 pH 6.2-6.3으로 적색육 어류의 초기 부패점인 pH 6.2-6.4의 범위 안에 들어가 제품 품질 특성에 적합하였고, 특성 차이 검사 중 견고성, 탄력성, 촉촉함 등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이 별다른 거부감이 없었으며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은 차이가 없었으나 풍미에서는 건조 로즈마리를 많이 첨가한 R 4보다는 R 2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는 건조 로즈마리 추출물 많이 들어간 R 4 보다는 일정수준 첨가한 R 2가 최적의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국과 숙주나물에 사용된 간장의 기호도 조사 (Sensory Preference of Soy Sauces used for Seasoning Soups and Cooked Mungbean Sprouts)

  • 이영춘;송주호;이승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7-511
    • /
    • 1994
  • 재래식 간장과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양조간장을 미역국, 무우국, 북어국, 숙주나물에 조미료로 사용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소비자들이 국을 조미하는데 소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하여, 기호도 조사에 소금도 포함하였다. 관능검사는 일차적으로 차이식별검사를 실시하여 두 조미료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면, 소비자의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차이식별검사는 약 30명의 훈련된 패널을 이용하여 삼점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는 약 100명의 소비자 패널을 이용하여 기호척도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미역국, 무우국, 북어국에 재래간장, 시판 국간장 및 소금을 조미료로 사용한 경우 조미료간에 현저한 맛의 차이가 있었으며, 소비자 패널은 시판 국간장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소금을 선호하였다. 재래간장과 시판 진간장을 이용하여 각각의 sauces를 만들어 숙주나물 무침에 사용하여 차이식별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용한 sauces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소비자 검사결과 sauces간에 기호도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에스닉(Ethnic)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Ethnic Restaurant Customers)

  • 김학주;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46-557
    • /
    • 2019
  • 본 연구는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 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지역 이태원 중심의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주관적 구조를 유형화 하며,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4) : 에스닉 푸드 선호형 (Ethnic Food Preferred Type), 제 2유형(N=5) : 본토 맛 추구형(Mainland flavor Seeking Type), 제 3유형(N=3) : 식재료 위생 중점형(Food Material Sanitary Concentration), 제 4유형(N=6) : 레스토랑의 서비스 선호형(Restaurant Service preference Type), 제 5유형(N=2) : 분위기 감성 추구형(Mood sensibility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홍화종실분말 첨가 유과의 관능적.기계적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Yukwa Added Safflower Seed Powder)

  • 박금순;이계순;신영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88-1094
    • /
    • 2001
  • 유과의 팽화도는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기름흡수율은 반면에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유과의 수분함량은 홍화종실 분말 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흥화종실 분말의 섬유소가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기호도 측정에서 외관의 기호도와 맛의 기호도는 홍화종실 분말 1% 첨가군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홍화분말 1%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이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측정 결과 명도 L값은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 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1%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경도와 부서짐성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는 팽화도가 높을수록 응집성과 탄력성이 높았고. 지방흡수율과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껌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흥화분말 1% 첨가군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어 유과 제조시 홍화종실 분말의 첨가량은 1%정도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복숭아 유통개선을 위한 단계별 등급화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New Peach Graching System in Stages for Efficint Marketing)

  • 이기우;박재홍;이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49-356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와 생산자는 물론이고 유통종사자까지도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등급화 방안의 모색을 위해 복숭아 생산자, 유통종사자, 소비자의 등급화에 대한 실태 및 의향을 조사 분석하여 각 주체의 입장차이를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에 걸쳐 생산농가, 소비자 및 유통종사자를 대상으로 면접청취조사와 질문지법을 병행하여 복숭아 농가 등급화실태, 소비실태 및 소비의향,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현행 등급 기준으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생산농가에서는 무게를, 유통종사자 및 소비자는 색깔로 나타났으며, 무게와 색깔은 복숭아를 먹어보기 전에 맛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향후 비파괴 당도선별이 가능할 경우에는 생산농가, 유통종사자, 소비자 모두가 당도를 1순위로 선택하였다. 특히 소비자는 당도를 가장 중요시하며 소량구입 및 소포장 상자규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비자를 비롯하여 생산자 및 유통종사자들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바람직한 복숭아 표준화, 등급화를 이룰 수 있는 세부포장규격을 신설하고 등급을 당도와 무게 범위로 표시하는 이원적인 체계가 시행될 수 있도록 등급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PDF

부산 지역 전통음식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 이복섭;박헌진;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4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중학생, 고등학교, 대학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2008년 8월 1일부터 30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전통음식을 선호하는 빈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찾을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전통음식을 좋아하였으며, 반대로 젊은 층에서 전통음식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든 세대에서 가장 좋아하는 식사 형태는 한식이며, 셋째,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아버지를 위주로 하여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는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좀 더 단순화시키고 표준화하여 조리하기 쉽게 하는 조리법이 필요하다. 부산 지역 한국음식의 세대별 차이의 개선점으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음식의 맛 개발에서 전통음식은 발효음식의 냄새는 허브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모던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한 전통적인 방식도 식품의 재료를 현대식으로 교체와 조리 방법을 변화를 주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역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좀 더 균형 있는 표본의 선정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우렁쉥이(멍게) 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기능성 딸기잼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Strawberry Jam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 변명우;육홍선;안현주;이경행;이현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68-1072
    • /
    • 2000
  • 폐자원의 이용방안으로 우렁쉥이(멍게) 껍질로부터 정제한 섬유소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잼류보다 기능성을 강화한 딸기잼의 제품개발을 위해 우렁쉥이 껍질 섬유소를 각각 1% 및 2% 첨가한 기능성 딸기잼의 기계적 물성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평가를 하였다. Back extrusion test에 의해 측정한 4가지 물성치인 견고성, 점조성, 응집성 및 점도는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잼의 점성은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섬유소의 첨가가 점도저하의 원인이 되었고, 조직감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점도의 수치와 일치하였다. 색도의 경우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 및 a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섬유소를 첨가한 잼이 밝은 적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1% 섬유소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섬유소를 첨가한 딸기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탕·찌개류 HMR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기호도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umer Preference of the Soup·Stew HMR New Products)

  • 이승민;최은경;조미숙;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23-136
    • /
    • 2019
  •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한 HMR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HMR 시장 세분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탕 찌개류 3종 제품을 개발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경쟁 제품들과 함께 소비자 기호도 분석을 통해 개발 제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사용된 시료는 탕(들깨탕), 찌개(된장, 짜글이)이며, 개발된 3종과 각 종류별로 경쟁제품군 2가지씩을 각각 선정하여 총 9개 제품을 30~50대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소비자 기호도는 외관, 색, 향, 맛, 전반적 기호도로 구성되었고, 강도는 점도, 단맛, 짠맛, 신맛, 감칠맛을 조사하였으며, 친숙함, 건강도, 구매의도, 추천의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개발제품들은 기존 제품들 사이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완이 필요한 비선호 요인을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한 후 제품을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