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형하천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iryang River Duration Variation Analysis Study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밀양강본류 유황변동 분석연구)

  • Choi, Young-Don;Shin, Hyun-Suk;Kang, Doo-Kee;Kang, Su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7-141
    • /
    • 2007
  • 우리나라는 지역적 특성상 여름철에 강수량이 편중되어 있어 계절별로 하천유량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계속되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하천에서 다양한 형태의 취수와 이용이 이루어지고, 국민들의 수질향상 등에 대한 기대가 커짐에 따라 하천유량에 대한 양적 질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효율적인 수자원운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자원확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가장 대표적인 댐을 이용하여 운영에 따른 하류 하천에서의 유황개선효과에 대해서 유역 장기분포모의 모형 중 하나인 SWAT모형을 밀양강유역에 적용하여 일 유출량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구축은 $2000{\sim}2005$년의 밀양강유역 기상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건교부에서 운영하는 Wamis를 이용하여 DEM,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취득하였다. 또한 밀양댐, 운문댐 유입량과 밀양2지점의 측정유량을 이용하여, SWAT의 다양한 매개변수 중 SOL_AWC, ESCO, CH_K등을 수정하여 Calibration을 실시하였으며, 밀양강유역 오염총량지점인 밀양A지점과 밀양B지점의 측정유량을 이용하여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댐의 경우 0.9이상의 선형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오염총량지점의 경우 0.6이상의 선형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모형의 적용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과거 39년간의 강수량자료를 이용, 구축된 모형의 유역모의운영을 통해 밀양강 유역의 밀양댐과 운문댐이 있음으로 해서, 댐이 없는 경우와 비교, 하류 지점별 유황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댐의 순기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댐별 방류량을 변동하여 하류 주요지점에 미치는 유황개선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댐의 효율을 최대화한 하류확보가능하천유지유량을 월별평균량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오염총량제 기준유량 및 환경용수의 법제화를 통한 하천유지용수의 증가시 비구조적 대책의 공급가능 최대량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River MEanders in Geum River System. (금강수계의 사행에 관한 연구)

  • 안상진;이재동
    • Water for future
    • /
    • v.15 no.1
    • /
    • pp.33-42
    • /
    • 1982
  • In recent years owing to extensive land reclamation, increased river engineering activites and morer intense flood plain use, river geomorphology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One of outstanding problems has been maintenance of river meanders and nearly all natural river exhibit the tendency to meander. Often the meander geometry was fitted in to various idealized model. COnsequently, both the selection of data and the methods to determine the geometric parameters were highly subject to individual preferences.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in tipifying their shape and analysised meander characteristics by channel model of line generalization algorithm. This method is applied to Geum river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 variance of curvature is a better index to describe the meander intensity and the kurtosis is a good index to characterize the total length of the straight sections for a given reach. The results also show that channel model of line generalization algorithm is a good model in analysis of meander characterisitics.

  • PDF

Flood Forecasting by using Distributed Models with Ensemble Kalman Filter (앙상블 칼만필터 이론을 이용한 분포형모델의 홍수유출예측)

  • Park, Hyo-Gil;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31
    • /
    • 2009
  •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비구조물적인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홍수예경보이다. 이에 합리적인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 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과정의 정확한 해석과 유출예측은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하천의 이수, 치수를 위한 수문학적 해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강우로부터 정도 높은 유출량 예측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하천범람 등의 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홍수예경보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홍수예경보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실시간 홍수예측(Real-time Flood Prediction)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홍수유출모형에 있어 공간적 변화특성과 평균 강우량의 공간분포를 반영할 수 있는 분포형 매개변수 모형(Distributed-Parameter Model)인 분포형 모델을 대상으로 앙상블 칼만필터(Ensemble Kalman Filter, EnKF) 이론을 적용하여 비선형시스템에서 오차를 포함한 반응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감소시켜 홍수유출을 예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천유역특성을 이용한 홍수유출예측을 위하여 비선형시스템에서의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적용한 분포형 모형을 이용하여 더욱 정밀한 홍수유출을 예측하게 되고 향후 홍수예경보모형으로서 적정 유역분할 규모를 결정해주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Changes of Seepage Line on Straight and Curved Levee (하천제방 직선부 및 만곡부의 침윤선 변화 분석)

  • Lee, Seung-Ho;Kang, Hyoo-Tae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5 no.9
    • /
    • pp.101-106
    • /
    • 200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epage characteristics of meandering section of rivers commonly seen in domestic terrain. The seepage analysis is designed to be more realistic by considering a tangent and meandering section of levee. The levee was idealized to reflect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by considering the curved angle of 90 degrees and 130 degrees in the spatial frequencies, water elevation conditions, and hydraulic conductivities. Seepage analysis becomes more detailed and precise with the seepage curve shape which is interpreted to indicate the flow of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program using VisualF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water level in the straight levee was constant, regardless of hydraulic conductivities, and the total head in the meandering section was increased by the overlapping of seepage. Consequently, it is found that the total head wa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90 degrees curved levees than 130 degrees, and the total head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straight levee.

A Comparative Study of Conceptual Models for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 Small to Medium Sized Watershed -Application to Wi Stream Basin- (중수 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관계의개념적 모형 비교연구 -위천유역을 중심으로-)

  • Lee, Jeong-Sik;Lee, Jae-Jun;Son, Gwang-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79-291
    • /
    • 1997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practicality of the existing four conceptual models, two linear models of Clark and Nash model and two nonlinear models of Laruenson and WBN model,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model to simulate the rainfall-runoff process in a given catchment. The variability of parameters for linear models is generally larger than that of nonlinear models. The errors in peak discharge are similar among the four conceptual models buy the errors in time to peak are quite different. Nonlinear models produce better results for time distribution than linear models. A comparison of the conceptual models to predict overall hydrograph using Friedman two-way analysis of variance by rank test indicates that nonlinear models are slightly better than linear models.

  • PDF

A Study on the Cartographic Generalization of Stream Networks by Rule-based Modelling (규칙기반 모델링에 의한 하계망 일반화에 관한 연구)

  • Kim Nam-Sh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4
    • /
    • pp.633-642
    • /
    • 2004
  • This study tries to generalize the stream network by constructing rule-based modelling. A study on the map generalization tends to be concentrated on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modification of linear features and evaluations to the limited cartographic elements. Rule-based modelling can help to improve previous algorithms by application of generalization process with the results that analyzing mapping principle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geographical phenomena. Rule-based modelling can be applied to generalize various cartographic elements, and make an effective on multi-scaling mapp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s. In this research, nile-based modelling for stream network is composed of generalization rule, algorithm for centerline extraction and linear features. Before generalization, drainage pattern was analyzed by the connectivity with lake to minimize logical errors. As a result, 17 streams with centerline are extracted from 108 double-lined streams. Total length of stream networks is reduced as 17% in 1:25,000 scale, and as 29% in 1:50,000. Simoo algorithm, which is developed to generalize linear features, is compared to Douglas-Peucker(D-P) algorithm. D-P made linear features rough due to the increase of data point distance and widening of external angle. But in Simoo, linear features are smoothed with the decrease of scale.

Development of Stereoscopic Surface Image Velocimetry using Photogrammetric Techniques (사진 측정 기법을 이용한 스테레오 표면영상유속계의 개발)

  • Yu, Kwon-Kyu;Kim, Dae-Go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99-1803
    • /
    • 2008
  • 표면영상유속계는 하천 표면의 영상을 분석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매우 실용적이며 간편한 장비이다. 그러나,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자 할 경우, 하천 표면의 평면 측량 자료와 하천의 단면 측량 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표면영상유속계의 간편성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이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는 그릇된 인식을 줄 수 있다. 만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하천의 단면을 추정할 수 있다면, 표면영상유속계를 마치 일반적인 프로펠러 유속계처럼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일반적인 평면 측량없이, 두 대의 비디오 카메라로 이루어진 표면 영상 유속계를 이용하여 하천 평면을 계측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표면 영상 분석 과정을 반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평면 측량은 사진 측량 분야이나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오랫 동안 연구되어 왔다. 이 기법을 표면영상유속계에 적용함으로써 간단하게 하천의 평면 좌표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대의 카메라에 대해서는 직접 선형 변환법을 이용하여 내부 표정과 외부 표정을 수행하여 변환의 매개 변수들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변수들과 공간 전방 교회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고정된 기준점들의 좌표를 측정한다. 측정된 좌표점들은 기울어진 영상을 연직으로 사영된 평면으로 변환하는 데 이용되며, 이 과정을 통하여 번거로운 하천의 평면 측량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온천천에 실제 적용하여 본 결과, 결과는 아직은 만족할 만한 정도는 아니나, 보다 정밀한 카메라의 보정 등을 통하여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ing and geometric correction for precise river environment investigation (정밀 하천환경조사를 위한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보정)

  • Lee, Yun Ho;Yoon, Byeong Man;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9-159
    • /
    • 2020
  • 하천환경조사는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 하천환경 조사결과는 하천관련사업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하천환경조사의 기초조사에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하천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판단하고 하천 전구간의 물리적 구조와 식생의 분포, 중요 서식처 정보를 포함하는 RCS 지도(River Corridor Survey)를 작성한다. 기초조사를 위해서는 하천 전 구간에 대한 현장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그리고 인력이 필요하고, 육안 또는 사진을 통한 스케치로 이루어져 조사 결과가 정성적이고 작업자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천환경조사를 좀 더 간편하고 과학적이며 경제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최근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사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을 이용한 하천환경조사의 대부분은 RGB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밀한 하천환경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영역 뿐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하천환경의 특성을 세밀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하천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ne scan 방식의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초분광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드론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하나의 사진과 같이 초분광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기하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기하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분광영상의 기하보정은 각각의 초분광영상의 GCP와 대응점을 이용한 2차원 변환 방법 및 비선형 변환 방법을 적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각 방법에 따른 정사보정 영상의 위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하천환경조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원격탐사에 초분광영상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Changes in Bed Roughness of Selected Alluvial Rivers (충적하천(沖積河川)의 하상마찰(河床摩擦) 변화(變化)에 대한 조사(調査)·분석(分析))

  • Yu, Kwon Kyu;Kim, Hyoung Seop;Kim, Hoal Gon;Woo, Hyo Seop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4
    • /
    • pp.111-121
    • /
    • 1993
  • Changes in bed forms and subsequent changes in channel roughness by changes in water discharge are discussed with the field data collected from some alluvial rivers in Korea.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following condition of river flow: (1) Medium size alluvial rivers with their widths of 100 m more or less, (2) Straight and prismatic river reach with no additional causes for energy loss but bed friction, (3) Lower-flow regime with Froude number less than 0.5. Major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the channels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bed roughness expressed by Manning's n increases from 0.02 for the plane beds with no sediment motion to 0.05 for the dune beds, (2) The roughness coefficient for alluvial channels should not be estimated from Strickler-type equations developed for the fixed beds, (3)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channel roughness suggested in the present guideline for river works, River Structure Standard, appears to be lack of generality. More research based on the field data collected in Korea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