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하중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6초

50m급 비행선 구조하중 해석

  • 강왕구;김동민;이진우;염찬홍
    • 항공우주기술
    • /
    • 제1권2호
    • /
    • pp.11-18
    • /
    • 2002
  • 50m급 비행선의 구조설계를 위한 하중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해석을 위한 비행선 기동 조건을 정의하였다. 비행선의 공기력 모델링, 중량 모델링, 부력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기동조건을 만족하는 조종면 거동을 산출하였다. 각 기동에 대한 비행선의 하중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하중계수에 대한 하중분포를 산출하고,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 분포를 산출하였다. 꼬리날개 및 곤돌라 설계하중을 산출하였다.

  • PDF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구조체의 제한교통하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xle Load Limits of Asphalt Concrete Pavements)

  • 김수일;최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7-7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구조체의 제한교통하중 산정과정을 제안하였다. 제한교통하중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구조체의 파괴기준이 되는 노상상단의 연직변형율과 아스팔트 안정처리 기층 최하단에서의 인장변형용을 포장구조체 모델에 따른 바퀴의 영향선을 고려하여 산정한 후 포장 구조체의 변형율과 축하중과의 관계에 설계한계치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속도로중 경부선, 경인선, 영동선 확장구간 모델의 제한교통하중을 산정하기 위하여 바퀴의 영향선을 고려하여 변형율을 산정하였다. 제한교통하중의 기준은 세계 여러 관계기관에서 제안한 파괴기준식으로부터 설계한계치를 산정하여 이용하였다. 축구성(단축, 탄뎀축, 트라이뎀축)에 따른 제한교통하중을 분석한 결과 제한교통하중은 포장구조체의 두께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탄뎀축과 트라이뎀축의 제한교통하중은 단축의 제한교통하중에 축 수를 곱하여 구한 값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한교통하중을 단축기준의 제한교통하중으로 제안하였다. 단축기준의 제한교통하중은 우리나라 고속도로중 경부선, 경인선, 영동선 확장구간을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인장변형율에 의한 제한교통하중이 연직변형율에 의한 제한교통하중보다 포장구조체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힘측정판과 레이저 광을 이용한 정적 의족정렬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tic Prosthesis-Alignment Device Using a Force Plate and a Laser Light)

  • 이기원;김기완;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5-390
    • /
    • 2000
  • 의족착용자의 보행에 있어서 의족의 정렬은 매우 중요하나, 정량적이고 다양한 의족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렬방법이 아직 소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load cell, 레이저, 이송 가이드로 구성되는 정적 의족정렬시스템을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을 24명의 남자성인과 4명의 하퇴의족착용자에게 적용하여 직립자세와 전방, 후방ㅇ로 기운 자세에서 족관절, 슬관절, 대전자, 어깨관절등과 하중선과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였다. 정상인의 중립자세에서 하중선의 위치는 외과, 슬관절, 견관절에서는 앞쪽에 그러나 대전자에서는 뒤쪽에 있었다. 정상인이 앞쪽으로 최대한 기운 자세에서 외과와 슬관절, 대전자는 하중선의 뒤쪽에 위치하였으나 견관절은 앞쪽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뒤쪽으로 기운 자세의 경우, 하중선은 견관절을 제외한 모든 곳의 뒤쪽에 위치하였다. 의족착용자의 환측의 하중선은 족관절, 슬관절, 대전자, 견관절 모두의 전방에 위치하였으며, 의족착용자의 건측에서의 하중선의 위치는 정상인의 경우와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정적 의족정렬시스템은 의족 착용자는 물론, 정상인들의 하중선과 주요 관절과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구조물의 계류선 손상 시 과도 응답 해석 (Transient Effects of Wind-wave Hybrid Platform in Mooring Line Broken Condition)

  • 배윤혁;이혜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36
    • /
    • 2016
  •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계류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환경하중에 따른 표류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신뢰성 있는 계류선의 설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해양의 하중 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계류선이라 하더라도 극한 조건의 하중이나 오랜시간 반복된 피로 하중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부 계류선의 파손은 잔여 계류선의 장력 변화를 야기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구조물의 점진적인 파손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10 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구조물에 연결된 12개의 계류선 중 일부가 손상된 경우의 구조물의 과도 응답을 시간 영역의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부 계류선 손상 시 전체적인 구조물의 거동 변화 및 잔여 계류선의 장력 변화를 확인하였다.

한국형 PS정착구의 하중전달성능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PS Anchorage System in terms of Load Transfer Test)

  • 김진국;이필구;장석윤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37-38
    • /
    • 2009
  • 이 논문은 한국형 PS정착구의 하중전달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1860MPa 강연선과 포스코, 고려제강등을 통해 새로 개발되는 2200MPa급 강연선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하중전달성능은 ETAG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실험결과 1860MPa 강연선이 적용되는 구조물의 경우 모든 시험체가 실험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2200MPa급 강연선이 적용될 경우 일부 정착구의 경우 허용기준을 만족하였지만 대부분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200MPa급 이상의 강연선에 대해서는 전용 정착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다축모멘트 영향선과 밀도추정함수를 사용한 이동하중식별 알고리듬의 개발 (Development of Moving Force Identification Algorithm Using Moment Influence Lines at Multiple-Axes and Density Estimation Function)

  • 정지원;신수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7-94
    • /
    • 2006
  • 교량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적절한 설계하중을 산정하기 위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중에 대해 다축의 모멘트 영향선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하중을 식별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또한 2개 이상의 하중을 식별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하중 식별 결과가 심한 진동을 하기 때문에 밀도추정함수를 통해 최종 식별하중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단경간 판형교에 대한 수치예제를 수행하여 제안한 알고리듬 및 방법들을 검증하였다. 수치예제에서는 계측오차와 속도오차에 대한 오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듬을 6m 길이의 강재 모형교량을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해 재검증하였다. 속도와 하중의 종류에 따라 하중식별 능력이 달랐으나 개발한 알고리듬이 최대 10% 수준의 오차 내에서 하중을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좁은 공간 되메움 지반에서의 상재하 영향에 의한 토압 (The Earth Pressure on the Effect of Surcharge Load at the Narrowly Backfilled Soil)

  • 문창열;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6호
    • /
    • pp.165-180
    • /
    • 1997
  • 건물의 지하외벽 또는 암거나 박스 칼버트와 같은 지하구조물은 되메움한 흙의 자중에 의한 하중 이외에 되메움이 완료된 후 주차장을 신설하거나 도로를 건설하면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표면에 작용하는 점하중, 띠하중, 선하중 등의 외부 하중을 지자하게 된다. 이러한 상재하중에 의한 지중응력은 구조물에 영향을 받아 수평압력 및 연직압력을 증가시킨다. 상재하중에 의해 증가하는 지중응력을 계산하는 방법은 지반이 반무한 탄성체이며 등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하의 Boussinesq(1885)의 탄성론에 의한 지중응력 산정법과 지반은 등향적(imtropic)이고 균질하며 활동선이 Coulomb의 기준에 맞는다라는 가정하에 Krey(1936), Ohde(1952) 등의 소성론에 따른 산정법 및 이를 조합한 Schmitt(1992) 등이 제시한 탄소성론에 의한 산정 법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봉으로 지반을 조성한 후 되메움 공간의 크기가 다른 경우 그 표면에 등분포 띠 하중으로서 상재하중이 작용할 때 증가되는 수평토압의 크기,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수직압력 및 굴착면 하부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을 측정하여 상재하중과토압의 관계를규명하였다. 또한, Mohr-Coulomb의 지반구성모델을 이용한 유한차분법 (FDM)으로 해석하여 그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선하중(先荷重)을 받은 RC보의 CFRP-Rod 휨보강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loaded RC Beams Strengthened with CFRP-Rod)

  • 예상민;천우철;강주원;박성무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9-85
    • /
    • 2007
  • FRP를 이용한 보강법 중에서도 기존에 일반적으로 행해진 보강법은 Plate 또는 Sheet의 형태로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여 추가적인 강도를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기 박락파괴, 부착면의 정리, 보강 단부의 앵커시공, 부착면에 대한 내화처리 등의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방안으로 막대(Rod) 형태인 CFRP-Rod를 보강모체에 홈을 파고 매립하는 NSMR(Near Surface Mounted Reinforcement)공법이 제안되었고, CFRP-Rod의 보강량, 길이, 간격 등의 변수에 의한 휨보강 능력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구조물에서 CFRP-Rod의 보강은 어느 정도의 하중이 보강부위에 계속 재하된 상태로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강전에 가해지는 선하중(Pre-loading)의 크기를 주요변수로 선하중의 크기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선하중의 크기의 결정은 무보강 시험체의 공칭모멘트와의 비로 결정하였다.

  • PDF

깊은 나사선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상악 구치부 조기 하중: 증례보고 (Early loading on a maxillary posterior single implant with deepened threads: a case report)

  • 한창훈;김현승;박상원;윤귀덕;주한성;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53-258
    • /
    • 2014
  • 본 증례는 상악 구치부에서 실패한 임플란트 제거 후 깊은 나사선을 갖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식립 후 조기하중을 가한 증례이다. 1년 경과 후,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본 임상증례는 상악 구치부에서 깊은 나사선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조기하중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교량 하중 모형화

  • 황의승;홍영균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1호
    • /
    • pp.4-10
    • /
    • 1992
  • 이 글에서는 교량하중모델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사하중, 적재하중 및 충격하중에 대한 확률론적 모형이 제시되었다. 적재하중의 경우 트럭 Data Base를 기초로 하여 일차선 교량 또는 단경간(지간 약 40m까지)에서는 한대의 트럭이, 2차선 교량의 경우는 완전상관된 두대의 평행트럭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현재의 AASHTO의 보분배계수는 안전측이 된다.(특히 보간격이 긴 경우) 충격하중계수는 노면 요척 및 교량과 트럭의 동적특성을 고려한 모의해석을 통하여 구해지는데 두대의 차량을 고려한 경우가 한대의 트럭을 고려할 경우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