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요소

검색결과 2,037건 처리시간 0.035초

지도 주기의 위치 할당 자동화에 관한 연구

  • 김혜진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1-214
    • /
    • 2003
  • 지도는 기호, 주기, 색상, 경위선, 축척 등과 같은 여러 요소들을 사용하여 지도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지리적 사상들(geographic features)의 존재와 그들의 상관관계를 전달하는 일종의 의사소통 수단이다(황철수, 2002). 주기(label)는 $\ulcorner$지역, 인공물, 자연물의 고유명칭 및 고유명이 없는 것의 종류 또는 상태 등을 표시하는 설명 및 표고와 등고선수치 등을 문자 또는 숫자로서 표기하는 것1)$\lrcorner$, 즉 지도에 나타나는 사상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도의 여러 가지 요소들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사상을 표현할 수 있는 요소이다. (중략)

  • PDF

표정변화에 따른 얼굴 표정요소의 특징점 추적 (Tracking of Facial Feature Points related to Facial Expressions)

  • 최명근;정현숙;신영숙;이일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425-427
    • /
    • 2000
  • 얼굴 표정은 사람의 감정을 표현함과 동시에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최근 이러한 얼굴 표정의 자동인식과 추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략적인 얼굴영역을 설정하여 얼굴의 표정을 나타내는 표정요소들을 찾아낸 후, 각 요소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개요는 입력영상의 첫 프레임에서 얼굴영역 및 특징점을 찾고,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이를 추적한다. 특징점 추출과 추적에는 템플릿 매칭과 Canny 경계선 검출기, Gabor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하였다.

  • PDF

블록단위 영역분할을 이용한 얼굴 특징 요소 추출 (Extraction of Facial Feature Component using Section Segmentation of Block-units)

  • 김승업;이우범;김욱현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97-10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처리한 후, 얼굴 요소 후보 블록의 면적, 둘레, 원형도, 종횡비를 이용하여 불변하는 눈, 코, 입의 특징 요소를 추출한다. 사람의 얼굴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우선 이진 영상을 생성한다. 하나 하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화소 레이블링을 한 후 만들어진 얼굴 요소 후보 블록 단위로 면적을 구하고, 윤곽선 추적 방법에 의하여 둘레를 구한 다음 면적, 둘레, 원형도 및 종횡비의 유사도를 구한다 블록의 종합 유사도, 대칭적 거리, 위치의 유사도를 활용하여 눈, 코, 입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 특징 요소간의 거리와 각도를 이용하여 12개의 특징 인수를 구하는 제안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특징 인수들을 추출한다. 각 특징점 사이의 거리와 각 거리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100명으로부터 획득한 297개의 원 영상을 대상으로 12개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한 결과 92.93%의 추출 성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눈, 코, 입의 위치 관계의 블록을 근거로 특징 요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제안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영상에서 물체 추적을 위한 시각적 기본 요소의 동일성 판단 (The Identification of Visual Primitives for Object Tracking in Image Sequence)

  • 장세인;박충식;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5-288
    • /
    • 2009
  • 동영상에서 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은 각 방법마다 다양한 요소들을 이용한다. 하지만 다양한 요소들은 그 관계를 명확히 나타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에서 물체 추적을 위해 시각적 기본 요소의 동일성을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적 기본 요소란 이미지에서 얻을 수 있는 순수한 시각적 기본 요소들인 색상, 명암, 윤곽선 정보를 말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된 프레임을 비교해 동일한 물체인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판단된 정보를 가지고 추적에 사용되는 요소들의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대상을 모델 없이 추적하고 인식 과정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 PDF

항성풍의 속도변수가 32 Cyg의 선윤곽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ELOCITY PARAMETERS OF THE WIND ON THE LINE FORMATION FOR 32 CYG)

  • 김경미;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55-264
    • /
    • 1999
  • 이론적으로 선윤곽을 계산할 때 항성풍의 속도변수들이 선윤곽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계산하였다. 속도함수를 2개의 가속영역으로 나누어 계산함으로써 항성풍 초기의 급격한 가속과정을 고려하였고 궤도위상 0.70과 0.06의 두 경우에 대해 32 Cyg의 선윤곽을 계산하였다. 질량손실률의 변화와 거성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의 속도분포 차이는 선윤곽의 형태와 세기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거성 가까이에서 항성풍이 급격히 가속됨에 따라 선윤곽의 세기가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거성주위의 속도분포가 선윤곽 계산에 중요한 변수임을 의미하며 관측된 선윤곽이 이론적으로 계산된 선윤곽에 비해 비대칭적으로 강한 방출요소를 보이는 것은 32 Cyg의 거성 대기가 불균질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Block Modeling에 의한 SPOT DEM의 접합선 제거 (Seam-line Removal in DEM Mosaicking by Use of Block Modelling)

  • 강준묵;최선용;신대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187-19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SPOT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의 DEM을 제작할 경우 DEM 모자이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합선(seam-line)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지상의 60km$\times$60km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SPOT 위성의 입체 영상으로부터 구성한 단일 모델은 일반적으로 관심 있는 지역의 DEM을 제작하기에 충분히 넓은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지역의 DEM 제작을 위해서는, 각각의 입체영상을 통해 제작된 DEM들을 접합해야 하며, 이 때 발생되는 접합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SPOT 위성영상의 블록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종횡접합모델을 구성하고 중복되는 인접한 SPOT DEM간의 표고값을 일치시키므로써 DEM 접합선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모자이크시 작업량을 줄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상기준점과 추가로 관측한 영상접합점을 이용하여 종횡접합 블록을 구성하고 광속조정 방법을 적용하여 블록에 포함된 위성영상의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하였다. 블록모델을 이용하여 DEM을 제작할 경우 접합선 탐색 및 blending 작업 없이 단순중첩 방법으로도 DEM 모자이크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송전선 투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line investment)

  • 박성완;강동주;홍희정;김발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573_574
    • /
    • 2009
  • 전력산업에서 전원설비계획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원설비계획중 발전소 설립에 대한 연구만큼 송전선 증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송전선 증설시 고려해야 될 사항이 많이 있으며,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쉽게 모형화해서 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좀 더 최적화된 송전선 증설을 위한 모형을 만들어 가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적전력조류계산(OPF)에 송전선 증설에 따른 비용을 포함하는 모형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 PDF

감마선은 어떻게 소멸하게 되는가\ulcorner (How does Gamma - Radiation Disappear within a Matter)

  • 주승환;제원목
    • 기술사
    • /
    • 제30권1호
    • /
    • pp.5-15
    • /
    • 1997
  • 방사선들 중에서 감마선은 우리의 몸 속을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런 감마선이 우리 몸을 투과할 때, 체세표를 이룬 원자들의 궤도전자들과 충돌하면서 소멸된다. 우리는 그런 현상들을 물질과의 상호작용 이라 부른다.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은 원자의 단위에서 일어난다. 감마선이 물질과의 상호작용들은 물리적으로는 광전자 산란 효과, 컴프턴 산란 효과 그리고 전자쌍 생성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된다. 방사선이 우리의 몸 속에서 체세포의 원자와 충돌하여 생기는 자유전자들은 몸 속에 남게 되고, 그들은 몸 속을 상당 기간 동안 배회하면서 인체의 생명 현상을 유지시킬 생화학 작용의 기능들을 약화시키기도 하고, 악성인 암세포들을 만들어내기도 하므로 건강 유지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감마선에 쪼여 생긴 자유전자들은 우리의 정상적인 건강 조건들을 해치는 주된 요소가 된다.

  • PDF

Sparse 표현을 이용한 X 선 흡수 영상 개선 (X-ray Absorptiometry Image Enhancement using Sparse Representation)

  • 김형일;엄원용;노용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33
    • /
    • 2012
  • 대사성 골 질환인 골다공증(Osteoporosis)의 조기 진단을 위해 X 선 영상에서 골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 골 밀도는 X 선 영상에서 뼈가 분리되고, 분리된 영역에서의 픽셀에 의해 BMD가 측정되는데, 개선된 영상에서의 정밀한 뼈 추출이 주요한 요소이므로 X 선 영상의 개선은 골다공증의 조기 진단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sparse 표현법을 도입하여 X 선 영상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결과가 기존의 방법인 웨이블릿 BayesShrink에 비해 개선됨을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미래의 선박에 대하여

  • 박태인
    • 기계저널
    • /
    • 제32권9호
    • /
    • pp.777-787
    • /
    • 1992
  • 21세기를 향한 여객선의 추세는 초고속화, 대형화(국제화), 성에너지화, 우수한 내항성능, 저진동 및 저소음 등을 갖춘 선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초고속선으로 속력에 한계가 있는 단동선 (monohull), 쌍동배수량형(catamaran), 최소수면 쌍동선(SWATH)의 선형과 대형화가 곤란한 수중익선 (hydrofoil)보다는 속력면에서 유리하고 대형화가 가능한 표면 효과선 또는 앞 에서 언급한 고속 선형의 장점을 복합시킨 각종 복합선형이 개발되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복 합선형이 실용화되기까지는 경제적인 건조비, 운항자세 제어 시스템, 신소재를 이용한 경구조화, 진동과 소음, 추진 시스템 등에 대한 요소 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선박의 속력이 50노트가 넘는 초고속선을 설계, 제작, 운항을 하는데 있어 그 개념이 조선공학에서 다루어지는 통상 선박기술의 연장이라고 그 영역을 정리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을 정리하면서 느낀 것이 지만 해상교통 수단의 초고속화가 이루어질수록 그 지지기술 및 자세제어기술 등에 있어서는 항공기 기술에 가까워짐을 알게 되었다. 그러한 뜻에서 초고속선 개발에는 항공기 기술에서 얻 어진 노하우를 잘 활용하는 일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