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회암층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기초, 굴착

  • 정교철;오대열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24001-24056
    • /
    • 2004
  • 암반 기초에서 발생 가능한 파괴형태로는 $\circled1$전단파괴(Shear failure) $\circled2$관입파괴(punch failure) $\circled3$붕락(Collapse) $\circled4$균열파괴 (cracking) $\circled5$분쇄상파괴 (crushing) $\circled6$쐐기상파괴 (wedging)를 들 수 있다. 그림 2.4-1에서 (a)는 연암층 내에서의 전형적인 전단파괴를 나타내고, (b)는 소성암반 상부에 강성암반이 놓였을 때의 전단파괴를 보여준다. (c)는 2층으로 구성된 지반에서의 전단파괴 양상이며, (d)는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의 전단파괴이다. (e)는 사면 상에서의 활동에 의한 파괴유형이다. (f)는 절리가 발달한 풍화된 암반내로 진행되는 관입파괴를 보여주고 있다. (e)는 연암지반 내부로 강성암반이 관입되어 파괴된 모습이다. (h)는 풍화된 화강암에서의 관입파괴 유형이다. (i)는 석회암층 내부의 지하공동에 의한 붕락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j)는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형성된 공동으로 인한 붕락파괴를 나타낸다. (k)는 균열파괴, (l)은 분쇄상 파괴, (m) 쐐기상 파괴, (n)은 단층선을 따른 파괴 유형이다. (중략)

  • PDF

New Occurrence of Haengmae Formation in Taebaeksan Basin (태백산분지 내 새로운 행매층 분포 확인)

  • Song, Yungoo;Park, Chaewon;Kim, Namsoo;Choi, Sung-Ja;Chwae, Ueechan;Kwon, Sanghoon;Jang, Yira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3
    • /
    • pp.365-372
    • /
    • 2021
  • Pebble-bearing clastic carbonate rock which has been found in and around the Jeongseon and Okgye through the field survey was studied in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We define the clastic carbonate rocks as '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dolomite single grains and Mg-phengite, and by the subsequent formation of secondary calcite cements. These attributes correspond well with those of the typical Haengmae Formation from Haengmae-dong, Mitan-myeon, Jeongseon-gun, thus the carbonate rocks in the Jeongseon and Okgye areas must belong to the Haengmae Forma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aengmae Formation is an independent unit among the Paleozoic lithostratigraphic units in Taebaek basin and lies in the upper part of Jeongseon and Sukbyungsan Formations under the Hongjeom Formation of Pyeongan Supergroup.

Ground Subsidenc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Karstic Networks in Limestone Terrain, Taebag City Korea (석회암 분포지에서 터널시공에 따른 지표침하 원인 분석)

  • Lee, Byung-Joo;Park, SungWook;Kim, Dea-Hong;Song, Young-Karb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6 no.1
    • /
    • pp.63-70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safety and an accident prevention in limestone terrain by the underground tunneling. The geology of the study area consists of a Paleozoic sedimentary sequence dominated by limestone, sandstone, shale, and carbonaceous shale. The sequence gently dips to the northeast but the joint contains steep with variable trend. A significant fracture zone is developed in the limestone and shale beds, sub-parallel to bedding, and follows in part the limestone-sandstone contact. Monitoring of groundwater levels in the area shows marked fluctuations in the water table, which repeatedly rose to a level of -4 m before sinking to -15 m. These cycles occurred in mid-May, 2007 and in early and middle June. The data indicate that these fluctuations were unrelated to rainfall that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We infer that the fluctu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karstic networks along the deep fracture zone, and overlying ground subsidence is likely related to the rapid sinking of groundwater and the associated strong downward suction force.

Problems in Construction of Tunnel and Rock . Slope at Mudstone and Shale Resion (이암/셰일 지역에서의 터널 및 사면 시공시의 문제점)

  • 이내용;김용일;정한중;김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15-140
    • /
    • 2002
  • 이암층, 함탄층, 석회암층과 같은 특수지질불량구간에서 터널과 암반사면의 합리적인 시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지질에 대한 지질특성, 암반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보대책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전형적인 퇴적암지층으로 알려진 포항지역중 중생대 퇴적암류로부터 신생대 제 3기의 미고결 퇴적암류에 이르는 다양하고 복잡한 지질구조를 이루고 있는 지역에서의 터널 및 암반사면의 시공사례를 통하여 시공중의 제반문제점을 검토하여 이암층에서의 안전하고 합리적인 터널/암반사면의 시공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Geographic Distribution of Giant Caves in China (중국 대형동굴의 지리적 분포)

  • 심혜숙;김석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0
    • /
    • pp.10-12
    • /
    • 1994
  • 중국에 있는 대형동굴로서는 주로 용식동굴이다. 용식동굴의 지리적 분포는 지질상황과 기후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지질상황은 용식동굴이 이루어 질수 있는 토대이고 기후상황은 용식동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력적 인소이며 지질구조는 용식동굴이 형성될수 있는 조건이다. 중국 지질사에서 보면 원생대로부터 고생대 중생대에 이르면서 여러차례의 해침, 해퇴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고생대의 해침에 의하여 형성된 석희암이 많다. 중생대에도 해침현상은 있었으나 이때의 퇴적상중에는 석회암상이 매우 적었다. 원생대 시기의 퇴적상중에는 석회암이 적지 않으나 그후의 침식작용을 받아 암층이 엷어졌고 또 내려작용을 받아 변성되어 대리암으로 되었거나 상승된데서 지하수위가 떨어져 용식동형성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중국에 있는 대형동굴은 일반적으로 고생대의 석회암층에 많이 분포되었다.(중략)

  • PDF

A Process Study on Korean Peninsula Karst by Geologic Structures (지질구조(地質構造)에 의한 한반도(韓半島) Karst의 발달과정(發達過程)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6
    • /
    • pp.1-7
    • /
    • 2008
  • 지질구조는 카르스트의 층위와 구조상의 배열에 있어서 다양한 카르스트의 지형을 결정한다. 카르스트의 발달은 조산 및 조륙운동, 석회암층의 두께, 구성물질의 유형, 단층 및 습곡의 다양성, 주향 및 절리면의 빈도, 기후변화 및 기상환경, 수문 및 유수의 유형, 토지이용 현황 외 환경오염 등에 따라서 차별성을 나타낸다. 특히 지질구조에 따른 카르스트의 발달은 석회암 등이 유수의 작용에 커다란 용해작용의 영향을 받으므로 지질구조의 요인인 단층과 습곡현황과 절리와 균열 등에 의한 카르스트의 발달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 지질구조에 의하여 카르스트 지표지형에는 karren과 hum, mogotes, doline와 uvala, towers, springs, 구조적 유역, Closed Systems 등이 형성되고, 지하지형에는 Phreatic 동굴, Vados 동굴, Chambers, Multileveling cavities, Vertical shafts 등이 형성되는 다양성을 가진다. 한반도에서는 습곡구조에 의한 동공의 발달이 탁월하며, 다단계 및 급사면형 동굴의 유형이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 관광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15
    • /
    • pp.9-41
    • /
    • 1987
  • 우리나라에는 1,000여개에 달하는 동굴이 있다. 그 중에서도 규모가 큰 동굴만도 300여개에 달하고 있다. 그 대부분이 고생대 대석회암통에 속하는 지질층에 발달하고 있어 대체로 구조지질의 생성년대는 약 4~5억년 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Preliminary Report of Archaeological Survey in Limestone Caves at Gangwon and GyeongBuk provinces (강원 및 경북지역의 석회암동굴 고고학조사 예보)

  • Bae, Ki-Dong;Bae, Christopher;Lee, Chul-Min;Kim, Ki-Ryong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5 no.1
    • /
    • pp.41-49
    • /
    • 2011
  • Archaeological survey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some evidence of human occupation in 31 caves in Pyeoungchang, Danyang, Jincheon, Goesan, Munkyoung, Boeun, Sangju in central limeston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ose caves, some archaeological evidences were observed in 11 caves. Various types of potteries, animal bones and stone artifacts were collected on surface of sediments in caves. Among them, the Mosan cave in Munkyoung and the Kwangcheonseongul in Pyeoungchang are very likely to yield important archaeological remains in the well preserved deposits in the caves. Further researches are expected to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for explaining human living from prehistoric time to historical periods.

  • PDF

Paleostress Inferred from Calcite Twins in the Pungchon Limestone, Joseon Supergroup (조선누층군 풍촌석회암 방해석 쌍정에서 유추된 고응력장)

  • Kang, Seong-Seung;Jang, Bo-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1
    • /
    • pp.13-26
    • /
    • 2022
  • Calcite twins were analyzed in six oriented samples of the Pungchon limestone, Joseon Supergroup, to reconstruct the paleostress field. The orientations of c-axis of calcite and e twin plane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average thickness and numbers of twins, and the widths of calcite grains. Twin strain, mean width, and intensity of twinning, and the relative magnitude and orientations of principal stresses were calculated using Calcite Strain Gauge program. Twin strain, mean width, and intensity of twinning showed ranges of 1.09-15.36%, 0.53-3.72 ㎛ and 21.0-53.1 twim/mm, respectively. Metamorphic temperatures calculated from the twins were 170-200℃, indicating that the twins developed after the Pungchon limestone was uplifted to at least half of the maximum burial depth. Results for five of the samples indicate that the calcite twins formed during two events with principal stress axes of different orientations, while the remaining sample recorded only one event that produced calcite twins. The axis of maximum compressive stress was oriented mainly WNW-ESE to ENE-WSW, and to a lesser degree NW-SE and NE-SW. Comparison of paleostress orientations measured here and in other studies indicates that most twins were produced during the Songrim orogeny. However, the Daebo orogeny and the Bulguksa orogeny also produced calcite twins in the Punchon limes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