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처 모의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linkage system between grid-based hydraulic model and ecological connectivity assessment model (격자기반 수리해석 모형과 생태적 연결성평가 모형의 연동시스템 개발)

  • Kim, Chang Wan;Chegal, Sun Dong;Cho, Gil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3-75
    • /
    • 2018
  • 최근의 하천복원 사업은 제외지 중심의 하천복원에서 벗어나 제내지의 격리 차단된 구하도까지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복원에 따른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 향상이 적절히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량적 평가 수단이 부족한 상태다. 본 연구에서는 구하도 복원에 따른 생태적 연결성 평가수단으로서 복원전 후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대상어종의 서식처적합도지수(HSI)와 식생의 공간분포를 분석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공간분포된 수리특성을 위해서는 2 3차원의 모형이 필요하지만 복잡한 계산과정, 고도의 기술 및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1차원 홍수추적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1차원 수리특성을 2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수치모형도 함께 개발하였다. 다만 개발된 각 모형의 단계별 실행 결과는 개별적인 요소의 평가로서 그 의미가 작으므로 하천복원의 종합적 평가를 위한 수리-물리서식처-식생의 통합적 모의가 필요하다 개발된 모형의 사용성 증대 및 생태적 연결성 평가 통합모형으로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모형을 하나의 연동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며,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해석할 수 있다.

  • PDF

Establishment of Basis Strategy for Health Recovery in Yeongsan River (영산강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 Kim, Seok-Gyu;Kim, Hong-Tae;Ko, Kwang-Yong;Rhew, Doug-Hee;Jing,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44-1747
    • /
    • 2009
  •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수질관리를 통해 모든 생명에 젖줄이 될 수 있는 하천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가용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건천화된 영산강의 유량을 풍부하게 하는 한편, 이상강우에 대비한 고품격 하천설계로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더욱 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고 단절된 하천을 연계하여 BLUE-GREEN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여 많은 동 식물들이 활동하고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건전한 하천으로 조성하는 방안과 마한 및 백제문화의 산물인 영산강 유역의 역사유적과 황금박쥐 서식처 등과 같은 환경자원을 발굴 연계하여 미래지향적인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 인 지역문화를 창조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수질개선을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점을 발굴하고 맑고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안을 설정하여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대안에 따른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loristic Target Species - An Ecological Paradox of Floristic Regions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 Jong-Won Kim;Byeongcheol Eom;Jeong-Seok Park;Yun-Ha Kim;Byoung-Ki Cho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7 no.5
    • /
    • pp.318-326
    • /
    • 2023
  •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FTS) has been widely used as a important tool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Here the floristic district is a key criterion for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F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llectual meaning of the floristic district i.e. a sort of phytogeographical subunit. We reviewed 7 main literatures related to the floristic district. Nakai's 1919 Ulleungdo flora survey report was first to mention a region and/or province in terms of general geographical divisions. In 1977, the floristic district map of the Korea vascular plants was first described by Oh. In 1978, Lee & Yim proposed a new floristic district map dividing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and the district boundaries have been adjusted by many other researchers. In the end, the floristic district map modified slightly from Lee & Yim's map was nationally recognized in 2018. However, the boundaries of floristic districts were inconsistent, both in their setting and adjustment, as well as the indicator species of the district. No basis for this inconsistency could be confirmed. We concluded that all district maps depend on arbitrary lines drawn a priori, and finally proposed the following two ecological strategie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the FTS as a scientific mean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national flora evaluation: (i) designing to achieve the flora list and the floristic district based on nativeness of plant distribution, (ii) constructing a habitat-based floral monitoring system.

A study abou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iver, downstream of damand establishing a river management plan (댐 직하류 하천조사분석 및 관리방안 수립 연구)

  • Su Yeon Kim;Kyoung Won Park;Young Ho Lee;Yong Kyu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4-514
    • /
    • 2023
  • 댐 건설은 하천의 유황, 유사량을 변화시켜 이·치수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댐 운영에 사용하고 있는 하천 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고 있어 하천 지형 측량자료, 식생 및 수생태를 고려한 하천 관리 계획은 대부분 과거자료이다. 또한 홍수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하도식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홍수 등 물재해에 적극적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최신의 하천 기초조사 자료 기반, '20년 댐 하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한 4개 댐(대청, 합천, 용담,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하상변동, 식생 영향 등을 고려한 댐 직하류 하천관리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신 하천 기초조사 자료 확보를 위해 하천기본계획 등 문헌정보를 수집하고 댐 직하류의 수중부·육상부 측량, 유사량·하상재료 조사, 식생조사, 홍수흔적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확보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상변동 분석 모델 및 물리적 서식처 모의 모델을 통해 이수, 치수, 생태 측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수 분석으로 HEC-RAS의 유사이송 분석을 통해 현재부터 20년 뒤의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치수 분석으로 HEC-RAS 2D 등의 유사이송 분석을 사용하여 한 개의 홍수기 사상 발생 시 하상변동을 분석하였으며, 식생의 유무가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생태 분석으로는 PHABSIM을 사용하여 대상어종에 대한 하상변동 및 식생 유무에 따른 환경생태영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각 대상 댐 직하류에 이수, 치수, 생태 측면의 하천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수 분석을 통해 20년 뒤의 취양수장의 제약수위를 예측, 검토하고 취약구간 모니터링 구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침식과 퇴적이 크게 일어나는 구간을 산정하여 장·단기 하상변동 모니터링 구간을 제시하였다. 치수 분석을 통해 식생이 댐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식생 저감 구간을 선정하는 등 적정 식생 밀도 조절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상변동량이 큰 구간은 하상 안정 유지를 위한 수제 설치를 모델 결과를 통해 검토하였으며 제방 정비가 필요한 구간은 드론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제안하였다. 생태 분석을 통해 대상 어종이 서식하기 가장 적합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 댐 하류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증가방류, 유사환원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Impact Analysis of Discharging Water Temperature from Water Heat Energy System on Dwonstream of the River (방류수 수온이 하류 하천 수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Nam, Jisu;Jung, Jaewon;Joo, Hongjun;Jung, Sun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1-131
    • /
    • 2018
  • 하천의 생태계는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그 중 수온은 수질 및 수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하천의 수온은 인간의 활동과 도시화에 의해 인위적인 교란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온변화의 원인 중 자연에서 취수한 물에 인위적으로 열에너지를 첨가하여 수온이 높은 상태에서 다시 자연으로 방류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온배수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온배수는 하류 하천의 수질 및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서식처와 같은 다양한 수환경에 직접적으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천 생태계의 보호를 위한 방류수 수온의 관리를 위해서는 변화된 수온의 영향 범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방류되는 온배수의 평균 수온과 기존 하천 수온의 온도차를 이용해 물질수지식과 3차원 모형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활용하여 방류수로 인한 하류 하천의 수온 변화를 모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절한 수온의 관리를 위해 방류수 수온 및 유량의 인자를 변화시켜가면서 하류하천의 수온변화 모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류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류수의 수온 기준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ed Habitats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에 관한 연구)

  • 신현탁;김용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2
    • /
    • pp.147-15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1997 to decide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ary habitats. The thirty one sites and one hundred and eighteen plots were plotted in the areas including Yangpyong, Yoju, Pyongtaek and Ansong in Kyonggi-do, Chomchon and Sangju in Kyongsangbuk-do, Nonsan in Chungchongnam-do and Iksan in Chollapuk-do. The area and number of woody species by correlation analysis were recorded as the highest value as 0.716. In order to apply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o the fragmented habitats in Korea, the four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regression model. The four variables such as number of woody species, number of woody individuals,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and number of herbaceous individuals were recorded as significant with area at the level of 0.05 and R square was 0.71. The one function was selected between number of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from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 square was 0.8876. Both canonical function and squared canonical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not increased from the condition that was the size of plant community of 400$m^2$, 30 for number of species and 4,000 for number of individuals. Th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management, especially the fragmented ecosystems or the biotop creation in the landscaping.

  • PDF

Notes on Three Marine Algal Species from Korea (한국산 해조 3종에 대한 주해)

  • Kang, Pil Joon;Nam, Ki Wan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5 no.4
    • /
    • pp.775-780
    • /
    • 2013
  • 한국산 해조 3종, Umbraulva olivascens (P.J.L. Dangeard) G. Furnari, Bryopsis minor Womersley, Sargassum polycystum C. Agardh에 대한 형태학적 및 분류학적 주해가 제시된다. Umbraulva olivascens는 뚜렷한 올리브 체색, 파상형 연변, 엽체의 구멍 및 조하대 서식처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Bryopsis minor는 작은 조체, 모든 방향에서 많은 분지, 기부에 잘록함이 없는 선형의 소지, 두드러진 가지 흔적을 결여하는 축, 뚜렷한 중심 피레노이드를 갖는 엽록체, 주축과 비슷한 길이의 가지 및 뚜렷하지 않은 주축을 갖는 것이 특징적이다. Sargassum polycystum은 조체 모든 부분에서 나는 원통형 내지난형의 돌기, 가시가 있는 뚜렷한 중륵을 갖는 전연 내지 다소 거치연의 잎과 드물게 나는 기낭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3종은 여기서 한국 해조상에 처음 기록된다.

Estimation of Ecological Instream Flow Considering the River Characteristics and Fish Habitat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용담댐 하류의 어류서식처를 고려한 생태학적 유지유량 산정)

  • Jang, Chang-Lae;Shin, Jae-K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2 no.3
    • /
    • pp.374-381
    • /
    • 2009
  • Ecological instream flow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based on the river characteristics and fish habitat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The river bed and width did not change from 1988 before the am construction to 2004 after the dam construction, but the bed sediment size was attenuated a little in 2004. According to result that investigate fishes, 4 family 11 species including Acheilognathus koreensis were collected. Among them, Zacceo koreanus of cyprinidae was dominant,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did sub-dominant.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es were estimated for two fish species Zacco koreanus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considering the river characteristics. In Gamdong and Daeti sites, the optimal ecological flow for Z. koreanus and C. splendidus were $13.90\sim12.60\;m^3\;s^{-1}$ and $15.50\sim11.60\;m^3\;s^{-1}$,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optimal flow for the two species in Bunam site were $7.00\;m^3\;s^{-1}$. The ecological instream flow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was between normal and high flow rate.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Habitat Sui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able Channel Design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서식처 특성 분석)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의 변동과 그에 따른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구간별 안정경사관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현재 하도의 구간별 경사와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을 판단하였다. 원주천 대상구간은 총 20개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한 하상경사로 나타났으며, 하류부 2개 지점과 상류부 1개 지점에서 불안정 경사로 나타났다. 불안정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하상변동의 유도로 안정경사를 설계하는 방법과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경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개의 구간에서 추가적인 안정하도의 설계로 총 19개 구간이 안정하도로 설계되었으며,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0개 구간 전부에서 안정경사로 설계되었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와 물리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대상으로 평수량에 대한 서식적합도 (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 (WUA, weighted usable are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상태와 5년의 하상변동 모의 후의 평가 분석결과를 하천시설물 도입과 하도의 준설에 따른 5년경과 후의 예측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현재상태보다 소폭 개선되었으며,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 보다는 감소하나, 현재의 5년경과 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도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5년경과 후 보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및 물리서식처 분석을 통한 하천의 안정성과 건강성 증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Actual Vegetation of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 (Scenic Site no. 45) in Danyang-gun (단양군 도담삼봉과 단양석문 일대의 현존식생)

  • Choi, B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2
    • /
    • pp.116-123
    • /
    • 2014
  • The description of vegetation cover and floral composition was undertaken in terms of phytosociological study in Dodamsambong(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no. 45). In this study a total of 17 $relev{\acute{e}}s$ containing 144 tax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ight plant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grouped into 4 physiognomic types: forest type(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Cynanchum wilfor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mantle type(Cardamine leucantha-Neillia uekii community), secondary meadow type(Galium kinuta-Spodiopogon sibiricus community, Diarthron linifolium-Zoysia japonica community), and crevice type(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ommunity). The vegetation of Dodamsambong and Danyangseokmoon is characterized by local flora, such as calciphilous plants, geological distribution-limit species, and endemic species. The soil depth, slope, and human impac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ting ecological factor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were evaluated highly by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order to restore the value of specific landscape for scenic site, we should improve the problems of protected area such as wrong management on habitat, forest fragmentation by facilities and decline in vegetation by lack of growing the next succ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