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공간 디자인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Basic Study on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in Apartm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Do, Sang-Rae;Lertlakkhanakul, Jumpho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71-178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가 IT 업계가 제공한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서비스가 개발되고, 공급자 위주의 기능의 편리성을 위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선 시공 후, 서비스를 끼워 맞추기식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공동 주택의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여 부합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 PDF

Study of the Enhancement of Pedestrian Safety based on Service Design (서비스 디자인에 기초한 신도시 보행안전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Cheon-Bo;Jeong, Tae-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2
    • /
    • pp.1507-1515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nhancement of pedestrian safety through a service design process regarding urban design in new-town area. For this study, the concept, process and touchpoint, and survey design area, of the service design are reviewed as a theoretical study. According to this study, traffic signals, pedestrian environment, pedestrian overpass, and access traffic road were surveyed as touchpoints and a problem search, concept design, design building, institutional implement were analyzed as a service design proces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the planning method for pedestrian safety based on service design process in terms of the external space design in a new-town area are suggested.

A Study on the Interactive Space Design of Ubiquitous Street (u-Street 의 인터렉티브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광복로 사례를 중심으로 -)

  • Do, Sang-Rae;Han, Soo-Yeo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9-47
    • /
    • 2006
  •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 도입으로 인해 제품개발, 주거, 상업시설 등에서 시작하여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의 일환으로 u-City 구현에 중점을 두고 많은 연구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가로환경 디자인은 공공 시설로서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가로 공간은 그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을 뿐 각각의 특색에 맞게 조성되고 있지는 못하며, 물리적 환경개선에 중점을 두어 단순한 가로정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과 이용자 중심의 참여에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여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 참여적인 공간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u-Street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서비스가 이용자들과 어떠한 인터렉티브 커뮤니케이션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공간이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고 감성적인 공간 디자인이 될 수 있도록 u-Service 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 광복로를 사례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대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첫째, u-City 의 기반 시설로서의 u-Street는 수평적이고 친환경적인 가로 경험을 통해 사람이 직접 여러 서비스와 인터렉션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제안된 u-Service 는 이전 광복로의 침체되고 비활동적인 공간을 활동적이고 생동감있는 공간으로 재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셋째, 주민과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지속적인 공간을 만들어 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User Experience Design for future workplace based on IoT (IoT기반의 미래 Workplace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Park, Namchoon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57-64
    • /
    • 2017
  • The user-centered design paradigm shift and the emergence of user-experience design have also increased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with products and services in specific space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IoT services, new changes in the future work environment are expect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user experience design considering the context of future work space.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concept and nature of IoT, and define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future work environment and grasped the relation of each element. Next, user research in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text that affects the behavior of users in various types of work environments, and to insight the possibility of a new user experience in the future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d insights, various context models for a new future work environment were constructed, and UX models and UX scenarios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UX design research by expanding the viewpoint of UX design from device to space and context,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collaborative research with space design and service design,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IoT service related field.

A Study on Interior Design of Compound Bookstore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 Pan, Ying-Ying;Kim, M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97-108
    • /
    • 2020
  • Nowadays, '1+N' is the operation model of compound bookstores. This study firstl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and needs of customers and analyzed 4 basic behaviors of customers in 10 functional space of bookstore. Secondly, a preliminary analysis framework of interior design of compound bookstore was established, by applying 3 research tools of service design to 3 design elements of interior design. Thirdly, the case was analyzed in the preliminary analysis framework to find out the detailed proces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bookstore, the touchpoint and the interior design project, to find out the blind spots in design, and put forward the solutions. Finally, after being refined, a compound bookstore interior design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was established. This model can be used to test the design content and service quality of the interior functional area of the compound bookstore, and to find out the design blank points.

A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method for the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한 디자인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정도성;장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8-9
    • /
    • 1999
  • 현대사회의 정보화 발전은 우리 사회의 많은 서비스를 발전 시켰으며 이 서비스의 발전추세는 개인 중심적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업무나 교육의 과정 중에 시ㆍ공간의 공존성에 따른 요소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략)

  • PDF

Ubiquitous Context-aware Modeling and Multi-Modal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유비쿼터스 환경의 상황인지 모델과 이를 활용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un-Jeong;Lee, Hyun-J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2 s.60
    • /
    • pp.273-282
    • /
    • 2005
  • In this study, we proposed Context Cube as a conceptual model of user context, and a Multi-modal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 through understanding user context a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ontext awareness and multi-modality, which are to help infer the meaning of context and offer services to meet user needs. And we developed a case study to verify Context Cube's validity and proposed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to derive personalized ubiquitous service. We could understand context awareness as information properties which consists of basic activity, location of a user and devices(environment), time, and daily schedule of a user. And it enables us to construct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Context Cube. Also, we developed ubiquitous interaction design process which encloses multi-modal interaction design by studying the features of user interaction presented on Context Cube.

  • PDF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사용자 만족 결정요인 연구

  • 전동진;김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11a
    • /
    • pp.465-475
    • /
    • 2004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저장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것은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유형을 창출시켰다. 사이버 저장 공간 및 자료를 상호 공유 할 수 있는 점과 고가의 저장 매체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정보 저장 공간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라는 개념하에, 사용자 만족을 이끌 수 있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특성에 대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과 신뢰성, 대응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서비스에 대한 시각적인 디자인과 사이트의 기술수준을 높이고, 사이트 구조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및 공유 자료의 보안성 및 보유정보의 체계화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전달 채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PDF

Issues for the Design of Visual Navigation System (실감 내비게이션 개발을 위한 디자인 고려사항)

  • Joo, In-Hak;Kim, Kyong-Ho;Cho, Seong-I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24-328
    • /
    • 2007
  • 텔레매틱스 분야에서 가장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최신 동향은 주행중 운전자의 정보 인지를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감 내비게이션 기술은 운전자의 시야와 동일한 전방 영상을 카메라로부터 획득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그 위에 오버레이하여 직접 전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실감 내비게이션을 위하여 기존 방식과는 다른 빠르고 효과적인 정보전달 방식이 필요하며, 어떤 정보를 사용자에게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 내비게이션에서의 정보 표현을 위한 화면 배치, 가상객체의 디자인 안, 정보량의 적정수준 등 디자인 방향과 고려사항을 논의하고 사용자 평가에 의한 디자인 최적 대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 for Welfare Centers of the Aged with Regard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 Focusing on welfare centers for elderly People in Gwangju - (노인의 행태를 고려한 노인복지시설의 실내환경 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노인복지회관을 중심으로 -)

  • Yoo, Eun-Young;Kim, Moon-Duck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3 s.61
    • /
    • pp.181-190
    • /
    • 2005
  • Although the national government prepares and implements planning for securing various service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needs of welfare centers for leisure of the ag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These efforts are still beyond the satisfaction for the needs of the aged. These efforts are only polling on in terms of the increase in quantity, and so therefore there is total lack of high level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with regard to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attitudes. Under these consideration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rough indoor space check list, the reality of whether the present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re design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attitudes of the aged to the indoor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oing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for future designs that may consider the behavioral attitudes of the aged and be able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eisure and welfare when building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