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지도 영역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California, USA (미국 California 주의 건강증진사업 사례)

  • Song Hwang,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21-149
    • /
    • 2005
  •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건강문제로는 흡연, HIV/AIDS, 천식, 정신질환, 아동비만, 유방암, API, 건강한 생활양식 형성, 인종간의 건강격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주에서 진행되는 지역사회 중재전략은 지역사회 단체와의 협력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도시지역의 노인이나 다양한 인종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의 경우는 교회를 통한 접근방법이 빈번하게 활용된다. 중재 프로그램들은 지역사회 조직모형과 역량강화의 개념을 활용하며,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는 이들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형태로 기존의 프로그램을 채택하는 것이 아닌 이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도록 수정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개인 간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망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일반인이 건강지도자가 되는 교육모형도 활용하고 있다.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Korean Community Advisory Board, KCAB)는 CDCPRC(CFCH)의 기금으로 진행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할 목적으로 1993년 설립되었다. 장기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하여 전문가와 일반인 지도자들이 지역사회에서 협력하는 방법을 활용하며 요구도 진단, 수행 평가, 건강옹호와 같은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 회원들은 핵심 회원과 일반회원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사업의 수행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가 수행한 프로그램은 'Health is Strength', 'Virtual Village Program'이 있으며, 현재는 'Quitting is Winning'이라는 미국거주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금연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 거주 한국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이 하는 주요 업무는 지역에서 발생되는 건강문제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한국교민들의 건강요구를 파악하고 사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센터에서 진행되는 한국교민 대상 연구나 사업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항이나 적절성 여부에 대한 확인을 하며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확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다양한 인종들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문화적 민감성이나 문화적 대응전략, 문화적 적절성은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할 경우에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또한 이들은 소수민족인 경우가 많아 언어장벽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능숙하게 다루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술이란 문화가 다른 사람들 간에는 갈등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건강관련 믿음과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대안적 해결책을 제시하며,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역에서 health care interpreter는 소수인종의 보건의료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을 위하여 매우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Pang, Jeong-Suk;Lee, Ji-Yo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3 no.2
    • /
    • pp.285-304
    • /
    • 2009
  • The operations of fractions are the main contents of number and operati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y are also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conceptually.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study o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Given this, this paper explo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concomitant textbooks, the adequacy of when to teach,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each unit to teach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This paper then analy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by three parts aligned with the general instructional flow: 'introduction', 'activity', and, 'exercise'. First, it was analyzed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part whether the word problems of textbooks might reflect on students' daily lives as intended, how different meanings of operations would be expected to be taught, and how the subsequent activities were connected with the original word problems. Second, the main analysis of activity part of the textbooks dealt with how to use concrete or iconic models to promote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operations and how to formalize the calculation methods and principles with regard to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Third, the analysis of the part of exercise in the textbooks and workbooks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problem types and meanings of oper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ssues and suggestions stemming from this analysis of current textbooks and workbooks are informative in developing new instructional materials aligned to the recently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PDF

Context and Input Evaluation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me Economics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상황과 투입 평가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 Kwon Ji-Young;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8 no.3 s.41
    • /
    • pp.61-7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concretely how the 7th Technology Home Economics(HE) curriculum was operated In school fields by using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using the CIPP model focusing HE.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argeting HE teachers in charge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for the 7th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250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s in Gpoungsangnamdo, and 109 returned questionnaire pap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requency, per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se data were obtained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outlined below: First, with a regard to the context evaluation (evaluating educational contexts), the requirement degree of seeking for care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at the requirement survey of the education goal and character of HE area, and the requirement degree of elevating understanding home living' were very low. Interest and concern of students towards these subject as well as the self-confidence of HE teachers in charge were low. Second, as for the input evaluation (evaluating education plans), time allocation, content level, and content amount were not regarded to be not proper, and the composition of HE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he class guideline of teachers also were not so faithful from the aspect of school level. Among surveyed items, establishing plans in school level towards evaluation was relatively sincere, but discussions about curriculums were not so faithful, suggesting various kinds of content are not fully discussed. As shown by the results abov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operation of the 7th HE educational curriculums has secured its position perfect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systematically the educational goals. character of the 7th 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content, and to seek various methods to elevate the self confidence of teachers and the interests of students. Because how to operate national level educational curriculums in school levels with self-regulation and elasticity will be an important variable in realizing educational goals, teachers, the main body of educational curriculums and direct performers, should establish and perform educational plans in school levels to elevate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educational effects for normally operating educational curriculums. In addition, educational curriculums should be operated and evaluated mainly by teachers at school fields to make it possible to confirm and check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of educational curriculums qualitatively.

  • PDF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Snack Intake in Third Yea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광주지역 일부 여자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면의 질과 간식섭취량의 상관관계)

  • Kim, Hyo Bok;Park, Ya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2
    • /
    • pp.212-222
    • /
    • 2013
  • We studied the eating habits and sleeping patterns of 68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in Gwangju.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of the subjects, obesity (over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students ($20.8{\pm}4.0$, 32.9%) than middle school students ($19.4{\pm}3.8$, 14.2%) (p<0.001). In addition, 71.1%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a lack of sleep compared to 48.8% of middle school students (p<0.001).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ood and bad sleepers in the number of times they ate snacks and the quantity of their snacks. Good sleepers had more fruit and dairy products (e.g. fruit juice 2~4 times (p<0.05), milk 2~4 times (p<0.001), apples 2~4 times, strawberries 2~4 times (p<0.01), and bananas 2~4 times a week), while bad sleepers consumed more beverages, frozen desserts, flour-based foods, fast food, bread, and rice cake. Bad sleepers clearly consumed snacks more frequently.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leep quality and snack intake, eating fruits 2~4 times a week (30 g~200 g/once) and drinking dairy products 2~4 times a week (120 mL~400 mL/once) appears to promote better sleeping habits.

Contents analyses of teaching·learning research on housing education of home economics for secondary schools (중등학교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개발연구 내용분석)

  • Joo, Hyunjung;Cho, Jaesoon;Choi, Yoori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3
    • /
    • pp.33-4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teaching learn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s since 2001. The 22 research, drawn from the database 'riss4u',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information of the paper (studied institution & year, implementation & evaluation, subject of study & size) and specific contents of teaching learning plans (theme, curricula & textbooks, methode & # of lessons, resourc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were reported during the 7th or the 2007 revised curricula period. All, except one doctoral dissertation, were master's theses from a few universities. In all studies, ranging from 2 to 15 lessons, teaching learning plans were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he class of the researcher while some were applied in other schools, too. The theme of the teaching learning plans varied but were concentrated on one out of two content elements and two out of six learning elements.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ems to be an important turning point, not only reinforcing the analyses of the curricular and textbooks in the analyzing stage but also facilitating the use of various methods for the lessons in the developing stage. Practical problem based model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while cooperative learning and ICT served as fundamental although not always mentioned. Various teaching resources such as UCC, reading materials, PPT were developed for the teacher. Activity shee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students, followed by reading materials. Because teaching learning is an essential core of education, teaching learning studies should be more actively conducted and the variety of subject topics, methods and resources should also be obtained by more researcher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the self-concept and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외모관리행동 연구)

  • Lee, Jin-Young;Wee, Eun Hah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5 no.3
    • /
    • pp.19-38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and emotional-physical self-concept in relation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t goes on to show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styles in clothing, makeup, skin care,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weight control management are strongly influenced by self-concep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also done in an effort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self-concept of students through education as a part of the domestic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On average,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showed low self-concep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ch indicates a negative image of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efforts need to be made so that students can see themselves in a positive way and improve their self-concept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positive self-concept try to present themselves by keeping their skin clean and their hair attractive. They express their self-esteem and personality through fashion and by keeping and maintaining their clothing, shoes and bags. They also tend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studies and are more likely to understand and get along with others. The student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ir bodies and emotions have a higher interest in clothing and try to express the image that they want for themselves. They are also less likely to change their bodies unnaturally through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ppropriat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an help middle school students see themselves in a more positive way.

  • PDF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s of the Changes of Forest and the Major Old Big Trees in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경복궁 후원 수림의 변화과정 및 주요 노거수군의 역사적 가치규명)

  • 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1-13
    • /
    • 2022
  •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rawings such as Joseon Ilgi(Diaries of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seongdaejido(the Great Map of Seoul), Bukgwoldohyeong(Drawing Plan of the Northern Palace), the Bukgung Palace Restoration Plan, Restoration Planning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famous for its great location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that it was named Namkyeong at that time and was a place where a shrine was built, and that castles and palaces were already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Fengshui-Docham(風水圖讖) and Zhouli·Kaogongji(周禮考工記). Although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tayed out of the limelight as a back garden for the palace, it has a place value as a living space for the head of the state from King Gojong to the present. Second,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the boundaries of back garden, through literature such as map of Doseongdo (Map of the Capital), La Coree, Gyeongmudae Area, Japanese Geography Custom Compendium, Korean Photo Album, JoseonGeonchukdoJip(The Illustration Book of Joseon Construction), Urban Planning Survey of Gyeongseo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Blue House area outside Sinmumun Gate was built outside the precincts of Gyeongbokgung Palace. It was found that the area devastat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used as a space where public corporations were combin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during the King Gojong perio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value as a back garden of the primary palace was damaged, as the palace buildings of the back garden was relocated or destroyed, but after liberation, it was used as the presidential residence and restored the place value of the ruler. Third, in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spatial changes proceed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and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with the greatest geographical change was Gyeongnongjae area, where the resid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built, and there were frequent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Gyeongmudae area, the forests next to the small garden, and the forests of Baekak were preserv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forests. To clarify this, 1:1200 floor plan of inner Gyeongmudae residence and satellite images were overlapped based on Sinmumun Gate,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path originating from Baekak still exists today and the forest area did not change. Fourth, in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forest landscape was inherited, the functional changes in the topography were little, and major old-age colonies are maintained. The old trees identified in this area were indicator tree species with historical value. Representatively,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located in Nokjiwon Garden, is presumed to have been preserved as one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planted next to Yongmundang, and has a historicality that has been used as a photo zone at dinners for heads of state and important guests. Lastly, in order to continuously preserve and manage the value of Gyeongbokgung Palace in Blue House, it is urgent to clarify the space value through excav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establish a hierarchy of garden archaeology by era. In addition, the basis for preserving the historical landscap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from Gyeongbokgung Palace should not damage the area of the old giant trees, which has been perpetuated since the past, an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ll the forests in Blue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