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형분포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t${\aa}$l)Biotypes Migrat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경남, 전남 남부지방에 비래된 벼멸구 생태형 분포에 관한 연구)

  • 박영도;송유한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7 no.2
    • /
    • pp.63-67
    • /
    • 1988
  • Biotypes of the brown planthopper(BPH), Nilaparvata lugens St l, population migrated from maninand China in to southern coastal regions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1985-1987 by honeydew excretion test using Korean cultvars,, 'Milyang 23'(no resistant gene), 'Cheongcheo-ngboy'(bph 1 gene), 'Milyang 63'(bph 2 gene) and 'Gayabyeo'(bph 1 and bph 2 gen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honeydew excreted and the ability of each biotype to infest resistant cultivars: 'Milyang 23' with no resistant gene was highiy susceptible to bioty-pe-1, 2 and 3 ; 'cheongcheongbyeo' with resistant bph 1 was susceptible to biotype-2: and 'Milyang 63' with resistant bph 2 gene was highiy resistant to biotype-1, 2 and 3. Percent biotype dis-tribution of the female BPH collect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Korea showed that in 1985, 1986 and 1987, the BPH biotype-1 was predominant accounting for 64.7%, 61.2% and 57.9%, respectivley, whereas bitype-2 was 22.0%, 21.9% and 29.7%, and biotype-3 was 13.3%, 17.0% and 12.6%, repestively.

  • PDF

Variations in Leg Characters Among Three Biotype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n Korea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계량형태적 분류)

  • ;R. C. Saxena;A. A. Barri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2 no.1
    • /
    • pp.68-75
    • /
    • 1993
  • Morphometric investigations of the leg characters of both sexes of brachypterous Korean N. lugens biotypes were made. Simpl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three N. lugens biotypes differed from one another. The amount of variation and segregation between and among the three biotype populations were approximated by the scatter plot diagrams based on the computed discriminant scores. The variables of leg characters provided the most significant segregations of three biotype populations, thus, categorizing the three biotypes as distinct intraspecific populations of N. lugens.

  • PDF

A Study on the Vegetation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가야산 국립공원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 김용식;김갑태;우종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 no.1
    • /
    • pp.16-27
    • /
    • 1989
  • The flora of Kayasan National Park which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was investigated between April 30-31. August 10-14, and October 9-10. 1989.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as summarized as 96 families, 292 genera, 465 species, 72 varities, and 4 forms. The middle and Southern types of distribution pattern were the largest as of 9 families and 12 species. It was very interesting that the warm temperate types of species, as well as southern coast and island types of plant were introduced to this region.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분포 취약성 평가)

  • Lee, Sangchul;Choi, Sungho;Lee, Woo-Kyun;Park, Taejin;Oh, Suhyun;Kim, Su-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2
    • /
    • pp.256-265
    • /
    • 2011
  • This study was aiming at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A2 and B1 climate change scenarios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The vulnerability of forest distribution was assessed using its sensitiv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with the help of the simulations of Korean-specific forest distribution model, so-called the Thermal Analogy Group (TAG), and the Plant Functional Type (PFT) defined in the HyTAG (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s) model. As a result, the vulnerable area occupied 30.78% and 2.81% of Korea in A2 and B1 scenario, respectively. When it comes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Pusan in A2 and Daegu in B1 appeared the most vulnerable area. This study would be employed into preparation of adaptative measures for forest in future in terms of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reflecting different future development conditions.

Habitat change monitoring using high-spatial satellite image around the topical coastal area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열대해역 생태분포 변화 모니터링)

  • Min, Jee-Eun;Ryu, Joo-Hyung;Kim, Key-Lim;Park,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6-30
    • /
    • 2009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열대해역에서의 생태환경 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생태 환경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구온난화 현상에 따라 산호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산호는 환경 변화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기 때문에 열대해역에서 산호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주변 생태환경 변화 전체에 대한 관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열대해역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기위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IKONOS와 Kompsat-2 영상을 이용하여 생태환경 분포도를 작성하여보았다. 연구지역은 한남태평양연구센터가 위치한 마이크로네시아 연방국의 Weno 섬 북동쪽 연안이고, 이 지역에서 2007년과 2008년 2번의 현장관측을 실시하여 총 121개 정점에서 광관측 및 환경 자료를 얻었다. 기존의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 방법, 그리고 객체지향 영상분류 방법 등을 이용하여 분포도를 작성하였고, 현장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고해상도 영상이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서 나타나는 오분류 현상이 객차지향 영상분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적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y for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of Close-Natural revetment technique (자연형 호안공법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 Han, Man-Shin;Choi, Gye-Woon;Kim,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04-708
    • /
    • 2010
  • 하천에 있어서 저수호안의 수충부는 수리학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이에 대한 신뢰성있는 자료와 적정 공법의 선정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국내 자연형하천 조성을 위하여 하천하안에 적용된 공법들은 대부분 콘크리트블록, 발파석, 강화석, 전석, 잡석 등 견고한 재료를 활용한 공법이었다. 최근 하천의 생태환경 조성으로 인하여 식생에 의한 공법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의 치수적인 평가는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이들 각종 공법의 적용여부는 주로 소류력의 평가에 의한 것으로 하천의 생태적 환경보다는 치수적인 관점에서 적용되고 있다. 국내 생태하천의 경우 호안의 경사가 1:2~1:5정도로 매우 완만한 것이 보통이며, 급강하 하천이 아니기 때문에 설계유속은 2~3m/s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에 따른 호안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모델인 Flow-3D를 이용하여 길이 20m, 폭 2m, 높이 1m의 개수로 장치를 구성하였으며, 호안의 조도변화에 따른 유량별 2차원 유속분포 및 Froude수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 PDF

Distribution Types of the Relict Conifer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Ulleung-Island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Cho, Hyun-Je;Lee, Jung-Hyo;Choo, Yeon-Sik;Hong, Sung-C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1
    • /
    • pp.95-104
    • /
    • 2011
  • Distribution types of native conifers (Juniperus chinensis, Pinus parviflora, Tusga sieboldii and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were studied by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and ZM method 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Two main types were divided maritime vegetation (Juniperus chinensis forest) and mountain vegetation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The former was divided into sea cliff distribution (J-SC) and sea ridge distribution (J-SR) type. The latter was classified 7 distribution types;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Ta-R)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Ta-MS) type,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P T-R), upper and ridge distribution (P T-UR, 3 units sub-types:1sub, 2sub, 3sub),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P T-MS) type. It was considered that J-SC, Ta- R, and P T-R were maintained by topographic climax, but J-SR, Ta-MS, P T-UR and P T-MS were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Distribution types of topographic climax are entrusted to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Types in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will be needed tending of forest to promote saplings growth and seedlings germination. Especially in order to restore Tsuga sieboldii forest should be afforest and make forest gap because It is mid shade tolerant tree and purity percentage of its seed is 1~2%.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mposition of group mixture forest constituted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ii, Taxus cuspidat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Acer okamotoanum, etc. will be able to restore native vegetation, after take the form of forest gap by strong thinning and pruning of Pinus thunbergii forest.

Pollutant Loads Simulation on Watershed Scale using LOADEST and SWAT (LOADEST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모의)

  • Kim, Kyeung;Kang, Moon Seong;Song, Jung 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8-288
    • /
    • 2016
  •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산정에는 SWAT, HSPF 등의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 분포형 모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간분포형 입력자료로 인한 많은 매개변수는 모의 과정을 복잡하게 하며, 보정 과정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실무에서는 원단위법이나 유량-부하량 관계식과 같은 통계적 분석에 의한 회귀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OADEST는 회귀식 기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나, 수질 모형과의 모의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특성에 따른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오염부하량을 모의하고, SWAT 모형에 의한 오염부하량 모의결과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모형의 구동 및 회귀식 매개변수 추정에 필요한 입력 자료는 용인시 백암면 일대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모니터링한 수질, 유량 및 기상자료와 지형자료 (토지이용도, 토양도, 수치표고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 변수 추정은 김계웅 (2015)이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역면적, 토지이용비율 등은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SWAT 모형의 보정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점오염원 모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오염부하량 모의를 위한 모형 선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with The Types of Abandoned Channels in The Mangyeong River (만경강 폐천 유형별 식생구조 분석)

  • Kim, Eun-Jin;Hong, Il;Yeo, Hong-Koo;Cho, K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3-2027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와 과거의 하도 지형자료 분석을 통하여 만경강에서 나타나는 폐천(Abandoned channel)을 파악하고, 유형을 폐쇄형, 개방형, 육화형 폐천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본류구간과 함께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만경강의 경우 1918년 하도 형태가 경지정리 및 치수사업에 따른 제방축조 등 인위적인 절단(Engineered cutoff)으로 8개소 이상의 구간에서 하도 선형이 크게 변경됨으로써 폐천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폐천부지는 육화형태의 농지 이용 및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습지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천 유형에 따라 나타난 식물상은 폐쇄형 56종류, 개방형 31종류로 조사되었다. 육화형의 본류의 경우 보에 의한 영향으로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과 저수로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등의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정체수역이 나타났다. 개방형 폐천은 갈수기에도 수심이 깊은 수역이 확보되어 본류에 비하여 출현종수가 높았다. 폐쇄형 폐천은 연꽃(Nelumbo nucifera),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등의 다양한 수생식물이 출현하여 본류에 비해 안정된 습지 생태계를 유지하였다. 만경강의 개방형과 폐쇄형 폐천은 수생식물의 증가와 전형적인 습지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본류의 정체수역이 관찰되었다. 본래 하천의 연속성을 향상하기 위한 유수생태계의 복원은 하천의 건강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이 될 것이다.

  • PDF

Torrent Control Work Considering Stream Continuum and Sediment Delivery in a River Network (산지하천의 토사유출조절을 위한 마찰형 댐)

  • Kim, Suk-Woo;Chun, Kun-Woo;Marutani, Tomom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8.2-58.2
    • /
    • 2010
  • 우리나라의 산지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유로연장이 짧아 집중호우 시에는 토사의 유출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산지하천에 주로 사방댐을 시공하여 유출토사를 억지하는데 중점을 두어왔으나, 계류생태계의 연속성을 차단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산지하천에 분포하는 하상기반암의 돌출이 토사의 이동 및 체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현지에 시공된 마찰형 댐 구간의 하상변동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계류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토사유출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