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태주택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56초

생태학적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근 미래형 친환경주택연구 (A Study on the Eco-friendly Housing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Ecological Design)

  • 추진;유보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05-118
    • /
    • 2005
  • 20세기의 산업화에 따른 문명의 발전과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인간들은 다양한 편리성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21세기는 개발중심적인 편향적 발전에 대한 생태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의 후손에게 좀 더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는 이른바 '지속가능 한 환경'을 만드는 시대라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 환경공생이 가지는 범위는 미시적 차원의 환경에서 거시적 차원의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의 환경적 어울림을 뜻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친환경주택의 세 가지 목표는 지구환경 보전,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 주거환경의 건강과 저 적성이다. 환경공생의 관점에서 본다면, 주택은 지구환경보전을 위해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해야 하고 태양열이나 풍력 등을 이용한 자연 에너지의 집적과 우수의 재사용, 폐기물의 감소와 재활용이 생활 속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이 이루어지도록 기후풍토, 지리 등 생태학적으로 환경을 이해하여 빛과 바람 그리고 동식물 등의 환경요소와 잘 화합하는 개발을 하도록 유도하여야 하고 그 구성원 또한 건강하여야 한다. 그리고 주거환경의 건강과 쾌적성을 위하여 청정한 공기와 온도, 습도, 통풍 등이 잘 유지되도록 친환경 소재를 통한 지구의 유한한 에너지 보전과 재활용에 더욱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친환경주택은 생태주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없이는 도전하기도 실현하기도 어려운 새로운 사회적 사명이 되었다. 특히 국내의 친환경적용 주택의 사례나 연구가 아직 선진국에 비해 많지 않음께 아쉬움을 느끼며 본 연구가 환경적 삶과 질을 확보하기 위한 의식의 고취와 관심의 증대를 가져오길 바라며,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좀 더 구체화되고 체계화되어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새로운 문명적 패러다임을 위한 하나의 기틀이 되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리팀)를 중심으로 하는 QFD(quality function development)의 접근방법, (2) 마케팅 담당자를 중심으로 하는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 (3) 상기의 2가지 접근방법의 상호보완적 및 동시적 결합 및 피드백의 주장(Pullman, Moore and Wardell, 2002)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에는 품질경쟁력이 제품 디자인과 고객만족사이에 교량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 분석결과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품질경쟁력의 2가지 접근방법(QFD의 접근방법과 컨조인트 분석)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제품디자인의 결정요인 분석결과는 QFD의 접근방법에, 제품 디자인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컨조인트 분석에 각각 보완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증적 분석결과는 Ettlie(1997)의 디자인 통합(DI) 이론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DM)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처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CFT(cross-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about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using Education Value)

  • 이연정;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9-232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상대로 e-mail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scheffe,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실존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조적 관점, 전통적 관점의 순으로 높았다. 전통적 관점은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이 많고 남녀공학보다는 남학교나 여학교 근무 교사가 그리고 사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실존적 관점은 여교사, 가정교육전공,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공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구조적 관점은 여교사, 연령이 적고, 가정교육전공, 그리고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교사가 높았다. 둘째, 가정과교사의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의 일반적 경향은 9개 요소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그 중 주거의 생태학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요소, 사회심리적 요소, 공간계획적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진로교육적인 요소, 문화적 요소, 주거관리적인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순이었다. 가정과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자격, 최종학력은 5개의 주거 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형태는 4개, 가족수, 소득수준, 교직경력은 각각 2개씩,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거주주택 유형, 연령은 각각 1개씩의 주거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가정교육 전공 교사가 사회심리적 요소, 경제적인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생태학적 요소를 기술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기술교육 전공 교사는 주거관리적 요소를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사회심리적 요소, 지역환경적 요소, 생태학적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남학교나 남녀 공학에 근무하는 교사 보다 사회심리적 요소와 주택 정책적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교사는 남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지역환경적 요소와 생태학적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

  • PDF

공동주택단지의 생태면적률 계획을 위한 LIM 활용방법 - 지형 및 포장재 모델링을 중심으로 - (LIM Implementation Method for Planning Biotope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Terrain and Pavement Modeling -)

  • 김복영;손용훈;이순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26
    • /
    • 2018
  • 생태면적률은 친환경적 공간 개발을 위한 정량적 사전 계획지표이자 건축물과 외부공간의 균형 있는 개발을 유도하는 통합적 지표이다. 그러나 제도 적용상 면적 산정의 오류, 하부 지반과 토심 확보 기준의 미달, 시공 후 실제 생태면적의 감소, 사전 계획지표로서의 기능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LIM 활용을 제안하였다. 생태면적률의 가중치는 주로 하부 지반과 토심, 피복 유형에 의해 결정되므로 지형과 포장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델은 정부기관 및 관련 전문단체에서 제시한 BIM 기준과 가이드라인, 지침서를 참고하여 여기에 부합되도록 모델의 작성 범위와 상세 수준을 의미하는 LOD(Level Of Detail)를 설정하고, BIM 저작도구를 선정하여 조경정보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 대상지로는 경사지에 위치한 공동주택단지를 선정하여 3차원적 지형을 모델링하고, 생태면적률과 관련된 속성정보를 포함한 포장재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으며, 이들을 토대로 부지의 조경 정보모델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모델을 활용하여 생태면적률을 산정하고, 계획도와 산정표, 포장 상세도 등 관련 도면을 출력하였다. LIM을 활용함으로써 생태면적률의 기준 적용과 면적 산정이 정확해지고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었으며, 지형과 지하구조물의 관계 등 입체적 형태에 대한 객관적 검토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었다. LIM 도입을 위해 라이브러리 매뉴얼 또는 템플릿을 작성, 배포하거나 KBIMS 기준에 부합하는 라이브러리 구축에 힘써야 하며, 인증제도에서 BIM 모델을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적 전환이 필요하다. 앞으로 생태면적률에 식재 유형별 기준이 도입되어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식재 정보 모델 구축과 활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 권혁삼;김지현;김정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35-447
    • /
    • 2013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공동주택 공종별 수선비용 예측모델 연구 - 옥상방수 공사와 승강기 공사를 중심으로 - (The Forecasting Model of the Repair Cost in Apartment Housing - Focused roof water proofing and Elevator work -)

  • 이강희;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3-68
    • /
    • 2015
  • Purpose: Most if buildings need various repair works for preventing or delaying the deterioration which gives rise to affect the living condition or function after constructed. Therefore, a long-term repair schedule should be planned and a repair cost is required. In this paper, it aimed at providing the statistical forecast model for a repair cost in roof water-proofing work and elevator work using statistical approach with three variables such as number of household, management area and a elapsed year. Data are collected in apartment housing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rea and conducted wit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heet. Each analyzed work is divided into a partly work and fully work.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that, first, the regression model takes a multiplying type like a Cobb-Douglas function and is changed into the log-linear type to include the three variable simultaneously. Second, the goodness-of-fit of the repair cost forecasting model has a good statistics in determinant's coefficient and Dubin-Watson value. Third, the management area is stronger factor than other the number of household and an elapsed year in roof water-proofing work and elevator work.

녹색건축 인증제도 평가항목에 대한 설계 실무자 및 사용자 의식 차이 분석 -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 (Analyzing the Differential Views between the Designers and the Users on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of the G-SEED System - Focused on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for Apartment Buildings -)

  • 최여진
    • KIEAE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87-92
    • /
    • 2015
  • Purpos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in 2002 and developed as an improvement version of the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system in 2013. This study conducts surveys targeting architectural designers and users on significance of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for apartment buildings on the G-SEED system and examines the differential views between the two groups on assessment criteria. Method: First,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was used to find importance of assessment criteria and then the importances were compared with weighted points on the certification standard. Second, the t-test was used to investigate differential views between designer and user groups on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based on drawn importances. Result: (1) While designer group considered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as more important, user group did material and resource, maintenance management,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door environment as more important. (2) Based on t-test results, sustainable energy, water circulation system, site management, habitat, acoustical environment, and light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different on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자연환기가 가능한 서울시 공동주택의 하절기 실내 온열 쾌적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door Thermal Comfort in Naturally Ventilated Apartment During Summer)

  • 이승재;정창헌;황석호;김태연;이승복
    • KIEAE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59-66
    • /
    • 2010
  • Natural ventilation is major strategy of 'sustainable building'. It aims to supply fresh air to the indoor, and to remove heat from the indoor during summer. In the latter point of view, natural ventilation can be grouped into two main strategies, daytime ventilation and night cooing. If we take advantage of these two natural ventilation strategies, indoor thermal comfor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This study focused on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 of indoor thermal comfort of the naturally ventilated residential buildings to seek for direction of later studies. Additionally, thermal comfort of residence where the interior blind and exterior insulation were applied was analyzed. It was analyzed that the percentage of the time which satisfy the indoor acceptable operative temperature during summer was 90 ~ 95% and the heat control performance of natural ventilation has a limitation. When the interior blind and exterior insulation were applied, indoor thermal comfort was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it still need more improvement.

장수명 공동주택의 관리자 유지관리 지침(I) (The Maintenance Guideline of Long-Life Housing for the Manager(I))

  • 지장훈;김수암;윤상조;정준수
    • KIEAE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63-74
    • /
    • 2010
  • The general housing causes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 squandering of the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s, as it was removed and rebuilt because of the short-life in 20-30 years after constructing. The short-life of the general housing makes the rebuilt-term short and takes a negative attitude in maintenance. In the other hand, the long-life housing is constantly dwelling house that considers the carbon reduction among the world issues, Support and Infill. The long-life housing promotes the durability of Support and maximize the variability of Infill through separation of Support & Infill. It's useful dwelling house in maintenance as well as various life-cycle and life style. As the maintenance guideline of dwelling house is used for long-life housing, there is not distinction considering who controls maintenance and there is not conception considering alteration, variability and convenience.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proper maintenance guideline applied maintenance process for long-life housing. Therefore this study shows efficient maintenance guideline for manager in long-life housing.

초고층 공동주택 세대내 개보수 주기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연구 (A Study on Quantity of CO2 Emission about Remodeling Cycle at High-rise Apartment housing)

  • 김다유;강승이;제해성
    • KIEAE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75-80
    • /
    • 201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modeling cycle at high-rise apartment housing and to analysis on quantity of $CO_2$ emission about remodeling cycle. The process of research is as follow; 1) Estimate the remodeling cycle through survey targeting residents at high-rise apartment building. 2) Simulate conditions on the high-rise apartment housing. 3) Calculate quantity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4) Derive elements that are on high level of environmental load evalu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The cycle of finishing such as wallpaper is shorter than the cycle of building equipment such as elements in a toilet. 2) According to result of calculating $CO_2$ emission, fabric wallpaper and mortar are main factors that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results is important to show reference points on quantitative measuring evaluation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extent.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녹색건축 인증제도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공동주택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Analyzing Weights of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on the G-SEED System Using the AHP Method -Focused on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partment Buildings-)

  • 최여진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113-120
    • /
    • 2013
  • Many countries over the world have taken many discussions and endeavor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s of energy saving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s for solving global climate change problems. In Korea, pre-considerations of environment-conscious factors in buildings have been taken to be critical with new constructions and renovation markets.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KGBC) system to induce the diffusion of sustainable buildings was introduced in 2002 and developed as an improved version of the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system in 2013 after major revision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criteria on apartment buildings to certify green buildings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on certification assessment standards from the AHP result. In order to apply the AHP method, the survey via e-mail was conducted to design staffs in domestic architectural firms. As a result, assessment criteria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 environment pollution among 7 main ones proved to be important on assessing the G-SEED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while criteria such as land use & transportation, material & resource,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did relatively un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