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태디자인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서비스혁신디자인의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f Service Innovation Design)

  • 이성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256
    • /
    • 2009
  •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 중심의 대량생산 전략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수익구조의 시대는 지나고 새로운 산업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통한 사회적 문제들의 해결안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요구된다. 이에 미래의 대체 핵심 산업으로서 서비스산업을 국가적 차원에서 발전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서비스의 정의 및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에 있어 여러 가지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가별 서비스의 이해와 연구 방향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국가별 환경과 인프라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에 있어 서비스혁신디자인 학문분야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령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의 나라는 제조 산업 기반의 생산성 지향적 서비스(Productivity in Service)를 서비스 산업에 적용하고,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는 생태보존의 방법에 있어 서비스분야를 접목하는데 있는데 Product Service System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서비스 개념의 접근 방법을 지역혁신서비스 (Regional Revitaliz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서비스의 의미와 연구 분야 별 접근방법 등을 여러 가지 사례로 설명하려 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관련분야의 학문적 기초를 다지는데 기여를 할 것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기후디자인 기반 건축물통합형 입면녹화시스템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gram of Building Integrated Vertical Greening System Based on Climate Design)

  • 박성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5-112
    • /
    • 2017
  • 도시화를 주도하는 건축, 도시개발 사업은 주변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적인 개발행태로 인하여 기존 부지에 대한 생태성을 급진적으로 저하시켜 도시열섬화 현상, 대기오염, 도심 내 종 다양성 저감 등 환경 및 생태계를 교란하는 주요원인으로 인식되었다. 지속 가능한 시스템 중에서 도심 내 생태적 연결을 제공하는 건축물녹화는 기존의 건물을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전이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 생태기술공법의 하나이다. 본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입면녹화 개발방안수립을 위해 기본기술개발방향, 기후환경인자, 기후디자인 기술요소, 소재 등을 고찰하였고 이에 준하여 입면녹화시스템 설계프로세스를 도식화하고 분석, 전략, 개발방안, 유형 설정의 순서로 건전한 한국형 입면녹화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국내 환경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입면녹화시스템 구축을 위해 식물학적, 시스템적 시스템 개발 및 발전방안 마련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미나 - 브랜드 쇼핑백 디자인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선호도 (Consumer's Awareness and Preference on Brand Shopping Bag Design's Eco-friendly Resource)

  • 양초산
    • 월간포장계
    • /
    • 통권245호
    • /
    • pp.98-112
    • /
    • 2013
  • 친환경 디자인이란 환경과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제반 디자인 활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며, 최근 많은 기업체에서 친환경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일반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쇼핑백 디자인의 재활용 여부와 경험, 횟수, 관심도, 조형성 평가를 통해 주요 3개국(한국, 일본, 미국) 백화점 쇼핑백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결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연구범위를 주요 3개국 고급백화점으로 제한하였으며, 분석 대상업체의 개수를 한국 4업체, 일본 4업체, 미국 6업체 등 최종 3개국 14업체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통계분석(spsswin18.O)하였다. 본 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4호에서 발췌했다.

  • PDF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 김미자
    • 월간포장계
    • /
    • 통권260호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상호작용하는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 in Interactive architecture)

  • 고귀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21-128
    • /
    • 2012
  •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odern contemporary society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Interactive design development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Digital technology is resulted in a change to a society as well as to the life of human and its wa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is inquiry into the relations a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ecological architecture space and eco-centric environmental philosophy by making a comparative research. This aims to examine type of spatial contexts for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y by interactive space and case studies for ecological construction elements to design. And the range of case study is limited to interaction space in addition of interactive elements and user interface. And analysis conclusion is show the many type. Five principles that draw at ecological design conceptualization process, whole unity, variety of organic at ecological design conceptualization process, circularity, homeostasis, allness, biological evolution, diversity have involved with concept that presents in ecological esthetics and organic property of ecology-system.

  • PDF

현대건축에서의 생태적 건축공간과 자연과의 관계 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Contemporary Ecological-Architecture and Nature)

  • 이윤희;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65
    • /
    • 2004
  •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showing many aspects on the ground of ecological paradigm, while, searching for a new architectural direction to make importance of environment that has been still little accounted of a subject of discussion. And 'sustainability'will become a central concept of a Contemporary architectural topic, continuously. With a demand of the time, ecological inclinations have been started to develop a collective low-rise housing project. It is going to expands several fields, but for reasons of social economic activity for human fundamental being, potentialities of basic problem solution are enough for ecologyㆍenvironment, but distinct direction and measures are still not obvious conditions. This study is for healing restoration in global environment, with architectural approach, through analyzing relation between ecological architectural space and nature, and abstracts various inter-relational aspect's specific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other approach of intimate relation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nature.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be on the search for a start to suggest a new point of view to ecological architectural space.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생태적 의료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Ecological Healthcare Facility for the Healing Environment)

  • 이소영;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1호
    • /
    • pp.41-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ealthcare facilities as ecological architecture. The physical environmental health of human mainly depends on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natural environment,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healing environment on the healthcare setting. This study proceeds to search planning factors of healthcare facilities in ecological architecture through configuration of three main goals. It also explain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planning methods, and suggest a way of architectural planning of health-care facilities in fu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features and analysis of application methods. The future hospital should provide reduction of the effect on environments, increasing amenity, healing landscape. To create healthcare facilities ecological is essential not only to human health but also human survival.

환경지각이론에 의한 시지각적 공간인식에 관한 연구 - Gibson의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입각하여 - (A Study of Visual Perception in Space by Environment Theory of Perception - based on Gibson's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

  • 박재영;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7-60
    • /
    • 1999
  • The eyes are the first sensory organs to perceive the environment. We become accustomed to the environment with our eyes. When we contact the environment, we perceiv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with our eyes. Then we recognize our position, and perceive the shape surrounding the object interacting with space. The perception of seeing constructs experiences which control most of our recognition, and the experiences are image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t. So they are significantly expressed into sensitive and mental elements of material and non-material world. Gibson's ecological perception theory analyzes and information system, which helps man to move effectively, and its component stimulu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combination of systems gathering stimulus not as an individual system but as one whol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