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육지환경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7초

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진운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3
    • /
    • 1994
  • 덕유산 백련사-향적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거제수나무와 층층나무, 고로쇠나무와 피나무, 피나무와 음나무, 괴불나무와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시닥나무와 주목 및 백당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당단풍과 백당나무, 미역줄나무와 국수나무, 시닥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402~l.247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향적봉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사스래나무 및 구상나무 등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9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상원사-비로봉-호령봉-상원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젓나무, 복장나무-분비나무, 젓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나무와 백당나무, 분비나무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와 호랑버들, 소나무와 젓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 신갈나무와 가래나무, 조릿대와 나래회나무,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젓나무와 나래회나무, 사스래나무, 정향나무 및 호랑버들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973~1.4633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절화 국화 '백마'의 일본 선박 수출 시 수송환경 분석 및 전처리제에 따른 선도유지 (Analysis of Conveyance Environment and Pre-treatment on Quality Maintenance of Cut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kma' during Ship Export to Japan)

  • 이자희;이애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697-704
    • /
    • 2015
  • 본 연구는 절화 국화 'Baekma'를 일본으로 선박 수출 시 수송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절화 국화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 전처리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으로 절화 국화를 수출시 약 3일~5일이 소요되었으며, 국내 이동, 선박 운송 및 일본 내에서 이동은 저온이 유지되었으나, 일본에서 검역시 상온에 노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품질의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수송 전체 기간동안 저온조건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전처리제는 Chrysal RVB, NaOCl 처리구가 절화수명 연장에 효과적이었으며, Chrysal RVB 전처리는 절화 국화가 끝까지 만개하여 화형이 유지되었다. 박테리아 검정 결과 NaOCl, $ClO_2$ 처리구의 박테리아가 검출되지 않아 살균 성분이 세균증식을 막아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ClO_2$처리구는 수확 후 초기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Chrysal RVB 처리 및 NaOCl 처리구의 엽록소 함유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현체 연구를 위한 심화학습 기반 벼 종자 분할 (Deep Learning-based Rice Seed Segmentation for Phynotyping)

  • 정유석;이홍로;백정호;김경환;정용석;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23-29
    • /
    • 2020
  • 농업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에 대해 우량 종자 확보를 위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수확된 종자의 분석과 같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진흥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 씨앗을 분석하기 위해 종자 객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Mask-RCNN을 이용한 전이학습을 수행하며 주어진 특정 환경 (일정한 조도, 흰색 배경)에서 촬영한 입력 영상을 종자 객체 인식을 위한 적절한 매개 변수 적합 (Tuning) 과정 및 영상 분할 작업을 진행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종자 객체 검출에 대한 실험결과로 벼 이삭 영상의 경우 82%와 단순한 볍씨 영상의 경우 97%의 정확도로 벼 낱알을 검출하였다. 향후 연구로 복잡한 상황의 종자 영상 분할을 위한 심화학습 기반의 접근법 및 검출된 종자 객체로부터 길이, 폭, 두께와 같은 정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우량 종자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시설딸기재배지 토양에서 염류농도가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in a Controled Horticultural Land for Strawberry Cultivation)

  • 이영한;안병구;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30-835
    • /
    • 2011
  • 시설딸기 재배지에서 염류농도가 생육초기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FAME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토양 총 세균 함량, 그람음성 세균 함량, 그람양성 세균 함량, 방선균 함량, 곰팡이 함량, 내생균근균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은 토양이 적정한 토양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1). 토양 환경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cy17:0과 16:$1{\omega}7c$ 그리고 cy19:0과 18:$1{\omega}7c$ 비율은 상대적으로 염류농도가 적정한 토양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 토양 환경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판단 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람양성 세균, 방선균, 곰팡이 및 내생균근균 군집은 염류농도가 높은 시험구가 염류농도가 적정한 시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한국 식물상에 새로이 추가되는 벼과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 여름개밀 (Two unrecorded Elymus taxa (Poaceae) newly added to Korean flora: E. humidus and E. shandongensis)

  • 최승세;김종환;박유철;김철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4
    • /
    • 2021
  • 한국산 갯보리속은 개밀속과 혼돈하여 사용하여 온 바, 형태적으로 갯보리속의 범주 및 특성을 재검토하였고, 이때까지 한반도 식물상에 기록된 바 없는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과 여름개밀을 각각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보고하였다. 둔치개밀은 강가 주변의 생육지, 항상 곧추서는 꽃차례, 화서에 밀착된 소수, 지상부 아래쪽 마디에서 새로운 개체를 무성적으로 증식하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과 구별되고, 여름개밀은 개밀과 비슷하지만 개화시기가 여름철이고, 옆으로 약간 휘는 꽃차례, 포령의 맥수, 화서에 밀착된 소수와 같은 특징에 의해 구별되었다. 한국산 두 미기록 분류군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근연 분류군간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고부가가치 특용작물 재배를 위한 보급형 스마트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ow Cost Smart Farm System for Cultivating High Value-added Specialized Crops)

  • 주영태;김성초;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43-748
    • /
    • 2021
  • 전 세계적인 인구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해 식량부족 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농·축산업 인구 감소 등 지속가능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과 ICT를 융합한 첨단 스마트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기존 스마트팜은 개별 가격경쟁력이 낮은 작물 위주로 재배하고 있다. 식품 소비구조가 고급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농산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팜 시스템 또한 고부가가치 특용작물 재배를 위한 최적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새싹인삼(새싹삼) 재배에 특화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환경설비를 구축하고 ICT 융합통합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ICT와 농업, 최신 기술과 농사의 융합으로 첨단농업생산구현 및 미래융합 신산업 선도가 가능하다.

양파 광합성 예측을 위한 잎의 기체교환모형 모수 추정 (Leaf Gas-exchange Model Parameterization and Simulation for Estimating Photosynthesis in Onion)

  • 이성은;문경환;신민지;오서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238
    • /
    • 2020
  • 식물의 생리적 과정과 환경 요인 간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프로세스 모형은 작물 생육 및 생산성 예측을 위한 좋은 도구이다. 탄소 획득과 바이오매스 증가는 프로세스 모형 개발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작물모형 내에서 광합성 과정의 이해 및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1980년 Farquhar 등에 의해 제안된 C3 식물 잎의 광합성 모델인 FvCB 모형의 양파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및 적합한 모수 추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재배된 조생종 양파 품종인 '싱싱볼'과 '썬더볼'의 광합성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Vcmax, Jmax, TPU 및 Rd 값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파의 기체교환 모형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양파의 광합성 반응 예측 및 설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설제 피해지에서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구절초의 생육특성 비교 (Growth of Dendranthema zawadskii in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 Areas Upon Treatment With Soil Amendments)

  • 주진희;양지;박선영;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3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Dendranthema zawadskii in damaged soils when they are treated with improvement agent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unamended field soil) and the application of a loess ball of 1 cm to the field soil.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the de-icing agent had caused, the soils were divided into 3 areas (based on the yellowing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n soil surveys): H (high saline), M (medium saline), and L (low saline). A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performed: D. zawadskiia plant without soil amendment (H; high saline soil, M; medium saline soil, L; low saline soil), and a D. zawadskiia plant with loess ball on the soil surface (H.L; high saline soil with loess ball, M.L; medium saline soil with loess ball, L.L; low saline soil with loess ball). The results showed that D. zawadskiia growth went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M.L > L.L > M > L > H.L > H. Plant growth results showed that soils treated with soil amendments (loess ball) were better for D. zawadskii growth than untreated soils.

시설내의 탄산가스 시용이 딸기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Dioxide Application on the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y in Greenhouse)

  • 이정은;김현도;이규빈;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51-958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level of carbon dioxide to maximize the quality and yields of strawberries cultivated in a greenhouse. Specifically, two strawberry cultivars, namely, 'Seolhyang' and 'Maehyang', were subjected to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and patterns linked to their productivity were noted. Both cultivars showed improvements across various physical variables (i.e., leaf area, crown diameter,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h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were at 1,500 ppm. The optimu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or increased fruit yields and quality was 1,000 ppm. When carbon dioxide was at 1,000 ppm the yields of 'Seolhyang' and 'Maehyang' increased by 1.99 and 1.78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lants. The influence of carbon dioxide on fruit color was negligible. However, the carbon dioxide increased the sugar content and sugar-acid ratio of the experimental fruits compared to control plants. Specifically, the sugar-acid ratio,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aste, was at its highes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at 1,000 ppm (i.e., for both 'Seolhyang' and 'Maehyang'). Overall, the application of carbon dioxide culminated in improved yields and fruit quality for both cultivars of 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