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성율

검색결과 3,378건 처리시간 0.029초

In vivo 시험에 의한 잉어체내 $^{14}C-endosulfan$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Endosulfan in Carp (Cyprinus carpio))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203-209
    • /
    • 1994
  • $^{14}C-{\alpha}-endosulfan$(100 nM, $41\;{\mu}g$)을 공시어의 각 조직(간, 신장, 소화관) 추출액에 처리하여 대사물질의 생성과 이에 미치는 cofactor의 영향을 시험관내 반응으로 비교한 결과, 105,000 g soluble fraction에서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간 조직에서 가장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고 phase II system에서는 NADPH를 cofactor로 첨가하였을 때 간과 신장조직에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화관 조직에서는 GSH 단독처리나 GSH+NADPH의 혼합처리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또한 microsomal fraction에서는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소화관 조직에서, phase II system의 경우 NADPH 단독처리나 NADPH+GSH 혼합처리시 대사물질의 생성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공시어의 간과 신장에서는 MFO에 의한 대사작용이, 소화관에서는 GST에 의한 대사작용이 활발하다고 할 수 있었다. 공시어의 각 조직에서 높은 생성율을 보인 대사물질은 EA(endosulfan alcohol), EE(endosulfan ether), EHE(endosulfan hydroxyether)이었으며 in vivo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endosulfan sulf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alpha}-endosulfan$은 잉어체내에서 ${\beta}-endosulfan$으로 이성화되었다가 EA로 가수분해되거나 직접 EA로 가수분해되어 다시 EE나 EHE로 산화되며 EHE는 EL(endosulfan lactone)로 산화되는 것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 PDF

갯쑥(Artemisia fukudo Makino) 추출물의 LPS와 Interferon-${\gamma}$로 자극한 RAW264.7 세포주의 NO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for Nitric Oxide Generation in LPS- and Interferon-${\gamma}$-stimulated RAW 264.7 Cells)

  • 이준경;오성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8-206
    • /
    • 2008
  • 갯쑥(Artemisia fukudo Makino, 일명 바다쑥)은 바닷가 염전 주변 습지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어린 갯쑥은 나물로 먹어왔으며, 민간에서 간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기능 성분을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마우스유래 대식세포주인 RAW264.7세포를 이용하여 갯쑥의 nitric oxide(NO) 생성 억제 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갯쑥은 methanol 추출과 열수 추출한 후 농축하여 실험하였고, methanol 추출물은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용매 분획하여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농도별 분획별로 처리한 후 LPS와 interferon-${\gamma}$로 자극한 RAW 264.7 세 포주의 NO 생성을 측정하여 NO 생성 저해율을 구하였다. 갯쑥 methanol 추출물의 높은 NO 생성 저해율과 iNOS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IR=90.7%과 IR=81.6%), 각각의 추출물중 분획물이 100${\mu}g/mL$ 농도에서 hexane 분획물이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효과(IR=92.1%)와 iNOS 활성 억제 효과(IR=85.0%)를 나타내었다. 갯쑥의 methanol 추출물, hexane과 chloroform 분획물에서 높은 NO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새로운 암 예방인자 물질로 기대되며,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암 예방인자 분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성분 분리 연구와 동물 실험을 통한 기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생성율 개념에 기초한 화재모델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putational Fire Model Based on the Yield Rate Concept of Combustion Gases)

  • 김성찬;고권현;이성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30-136
    • /
    • 2009
  • 본 연구는 생성율 개념에 기초하여 화재유동장의 연소가스를 해석하는 필드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기조건에 따른 화재실 내부의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총괄당량비(GER)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FDS 모델에 의해 예측된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는 ISO-9705 표준화재실의 축소실험결과와 직접 비교하였다. 환기부족화재에 대해 수치해석결과는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하향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괄당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수치해석결과와 실험결과의 오차는 증가하였다. 생성율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으로 인한 연소생성물의 농도장을 해석하고자 하는 경우 공간내부의 환기 조건에 따라 해석결과의 신뢰성 검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타당한 물리적 모델개발과 함께 다양한 화재조건에 대한 모델의 검증이 요구된다.

1차 하수슬러지의 유기산발효에 미치는 HRT의 영향 (The effect of HRT variation on acidogenic fermentation with municipal primary sludge)

  • 김형석;송영채;성낙창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68-73
    • /
    • 2002
  • 하수슬러지의 발생량 감소와 BNR공정의 외부탄소원 개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1차슬러지의 산발효가 연구되었다. 기존 혐기성 소화조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반응조의 형상, 온도, pH와 같은 환경인자는 변화시키지 않았고, HRT변화에 따른 가수분해율, 산생성율 및 환경인자의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평균 가수분해율은 HRT가 3일과 1.5일 일때, 각각 0.0309., $0.0204mgSCOD_{prod.}/mgICOD_{inf.}$였다. 평균 산생성율은 HRT 3일에서 0.0068mg HAc/mg $TCOD_{inf.}$, 0.0652mgHAc/mg $VSS_{destroyed}$였다. HRT 1.5일에서 평균 산생성율은 0.0060mg HAc/mg $TCOD_{inf.}$, 0.0346mgHAc/mg $VSS_{destroyed}$였다. 실험기간 동안 알칼리도와 pH는 인위적인 조절없이 적정하게 유지되었다.

  • PDF

부탄의 직접분해로부터 수소 생산을 위한 카본블랙의 촉매적 작용 (Catalysis of carbon-black for hydrogen production by butane decomposition reaction)

  • 윤석훈;한기보;박노국;류시옥;이태진;윤기준;한귀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0-383
    • /
    • 2006
  • 수소는 미래의 청정에너지원이다. 수소를 생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탄소계촉매를 이용하여 부탄을 분해하는 것이다. 촉매는 카본블랙이 사용되었으며, $500{\sim}110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열분해 반응과 촉매분해반응이 수행되었다. 열분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율이 증가하여 $800^{\circ}C$에서 98.9%로 부탄이 거의 분해되었으며, $9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화율이 100%까지 도달하였다. 부탄 분해반응에서 기대되는 생성물은 메탄,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등이다. $100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부탄 촉매 분해반응에서 거의 대부분 수소와 메탄만이 관찰되었다. 특히 $500-110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하였을 때 수소의 생성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촉매분해반응이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열분해반응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소의 선택도를 더욱 향상시켜 보다 많은 수소가 생성되었으며, 반응성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촉매의 비활성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응전후의 촉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TEM 및 SEM 분석을 하였다. 반응전의 촉매는 매끈한 모양이었으나 $1000-1100^{\circ}C$에서 반응후에는 표면에 돌기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Baicalin이 조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icalin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ic Cells)

  • 고선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2008
  • Baicalin은 Scutellaria baicalensis에서 분리되는 flavonoid의 일종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Baicalin은 항균, 항염증, 진통작용을 나타내며, nuclear factor-kappaB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에 다양한 flavonoid 들이 골조직 대사에 관여함이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baicalin이 골조직의 주요세포인 조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증식율, 세포생존율,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 및 osteoprotegerin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aicalin은 조골세포의 세포 증식과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과 osteoprotegerin의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baicalin은 골조직에서 조절물질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견된다.

혐기성 회분반응기에서 수소생산 시 최적 pH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Optimum pH of Hydrogen Production in Anaerobic Batch Reactor)

  • 전윤선;박종일;유승호;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61
    • /
    • 2007
  • pH가 혐기성 수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배양기간 동안 pH를 $3\sim10$까지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수소생산 효율을 살펴보았다. 유입기질을 sucrose로 하여 생성된 가스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였으며 메탄가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정 Gompartz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소가스 발생량$(P_h)$과 최대수소 생성율$(R_h)$을 회귀분석하였을 때 pH 5에서 수소가스 발생량$(P_h)$은 약 1182 mL이고 최대수소 생성율$(R_h)$은 112.46 mL/g dry wt biomass/hr이였다. 수소 전환율은 22.56%이였으며 butyrate/acetate 비가 pH 5에서는 1.63, pH 6에서는 0.38로 ratio값이 높은 pH 5에서 효율이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ldane equation을 이용하여 비수소생산율을 산정해 본 결과 최대 비수소생산율은 119.61 mL/g VSS/hr이였고, 최대 비수소생산율을 나타내는 pH는 5.5로 판명되었다.

이배체 유전체들의 서열비교를 위한 유전체 염기서열 생성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generate diploid genome sequences for whole-genome alignments.)

  • 김종현;박치현;박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2-273
    • /
    • 2007
  • 현대 유전체학 기술의 진보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의 규명 genome sequencing)에 힘입은 바 크다. 기존의 유전체 서열결정법은 주로 염기변이율이 낮은 생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할 필요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이배체 (diploid) 유전체 서열이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경우 기존의 유전체 서열비교의 방법론에도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유전체 서열비교 (whole-genome alignment) 방법론은 반수체 (haploid) 유전체들의 서열비교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비교에는 반수체 유전체들 비교에 특화된 도구들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서열비교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들도 반수체 유전체 비교를 위해 개발된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이배체 유전체 서열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개발을 용이하기위해 이배체 유전체의 서열을 생성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도구는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염기변이와 genomic rearrangement를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다수의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을 생성해 낸다. 이를 통해 이배체 유전체 서열을 비교하는 도구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데 초첨을 맞추고 있다.

다중 길이척도 난류운동에너지 생성율 모형을 이용한 가솔린 기관의 성능 시뮬레이션 (Performance Simulation of a Gasoline Engine Using Multi-Length-Scale Production Rate Model)

  • 이홍국;최영돈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7호
    • /
    • pp.1-14
    • /
    • 1999
  • In the present study, the flame factor which primarily influence the simulation accuracy of the combustion process in a gasoline engine was modeled as a nonlinear function of turbulent intensity to laminar flame speed ratio. Multi-length-scale production rate model for turbulent kinetic energy equation was introduced to consider the different length scales of the swirling and tumbling motions in cylinder on the production rte of turbulent kinetic energy. By7 introducing the multi-length-scale production rate model for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equation, the predictions of turbulent burning velocity , cylinder pressure, mass burning rate and engine performance of a gasoline engine can much be improved.

  • PDF

야생 환경과의 동화율 개선을 위한 GAN 알고리즘 기반 위장 패턴 생성 파라미터 최적화 시스템 (GAN-based camouflage pattern generation parameter optimization system for improving assimilation rate with environment)

  • 박준혁;박승민;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11-512
    • /
    • 2022
  • 동물무늬는 서식지에 따라 야생에서 천적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물무늬의 역할 중 하나인 자연과 야생 환경에서 천적의 눈을 피해 위장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인데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위장무늬의 개선을 위한 GAN 알고리즘 기반 위장 패턴 생성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단순히 색상만을 사용하여 위장무늬의 윤곽선을 Blur 처리를 해서 사람의 관측을 흐리게 만드는 기존의 모델의 단순함을 보완하여 GAN 알고리즘의 활용기술인 Deep Dream을 활용하여 경사 상승법을 통해 특정 층의 필터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구분되는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색뿐만 아니라 위장의 기능이 있는 동물무늬와 섞어 자연과 야생 환경에서 더욱 동화율이 높아진 위장 패턴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