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채 조화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사용자 영상에서 미도값의 추출 (Drawing of Aesthetic Mesure in User Video)

  • 신성윤;강오형;김형진;장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0-34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영상에서 Aesthetic Measure 측정을 수행하였다. Aesthetic Measure란 우리의 감각 기관이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아 감각이나 지각을 생기게 하는 감수성을 말한다. 이러한 Aesthetic Measure를 이용하여 감성으로 취급되는 색채조화 및 부조화의 문제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 PDF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 황승현;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53-363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대조색상 코디네이션 - 파리, 밀란, 뉴욕, 런던 컬렉션 중심(中心)으로 - (The Contrast Color Coordination of Woman Fashion Showed in Modern Collections of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권혜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130
    • /
    • 2010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st color coord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woman fashion color coordination as they appear in the 'Collections' from '04 SS to '09/'10 AW. Data collection of 122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ities; Milan, London, New York, Paris.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contrast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combined color type of 'red+blue' and 'yellow+blue'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same ratio, and followed by 'green+violet', 'red+yellow', 'green+orange', and 'orange+violet'. The contrast tone showed the most, and followed by the similarity and identity, and the type of tone harmony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rasting color combination.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ntrasting color harmony were as follows,; Some contrasting colors looked harmonious when used light colors and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dull colors which made the hues even more harmonious. Also combinations of dull colors which work well with other dull colors or vivid colors. Light & vivid color or light & dark color, however, often showed too much contrast and using two contrasting vivid colors presented awkward and restless look. When used one vivid color and one dark color, a little easier to looked at, but still not particularly elegance or effectively harmonious. (3) The types of contrasting color harmony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seasons. Contrasting color harmony showed more frequently in the S/S collections than in A/W collections.

  • PDF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의 감성 평가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one in Tone combination and Tone on Tone combination)

  • 김지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01-308
    • /
    • 2010
  • 본 연구는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배색의 감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톤 인 톤 배색 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하여 제작한 24개 배색에 대하여 Osgood의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이용하여 10명 대학생에게 배색에 대한 인상 평가를 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엑셀 통계 프로그램 2004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톤 인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의 인상이 매우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색채조화의 형식으로 제안되는 배색 기법이 배색의 감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좋다-싫다', '어린이답다-어른답다', '강하다-약하다', '따뜻하다-차갑다' 4개 이미지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는 색상과 색조가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사진배색과 거의 동일한 색종이 배색의 인상을 비교한 것으로 색표를 이용한 배색과 그 배색에 근거한 제품의 배색 인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품이 가진 고유 특성이나 형태, 재질 등에 의해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배색 이미지나 색채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중국 청대 복식에 사용된 색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inese Color through the Costume of Qing Dynasty)

  • 금기숙;정현
    • 복식
    • /
    • 제54권4호
    • /
    • pp.41-53
    • /
    • 2004
  • The significant role of colors in fashion design is not enough to emphasize in terms of one of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and its influences on the behaviors of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aditional Chinese colors and its ways of color combinations to appreciate the Chinese culture and its people. The Chinese traditional costume of Ching Dynasty were investigated through historic records, historic nobles, costume accessories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lue was the most favoured color for clothing among men and women during Ching dynasty and various blues in terms of hue, value and intensities were used. (2) The bright Yellow which had been a symbol of Emperor were prohibited being used among people. Though, the late period of Dynasty, the regulation became not to strict and various shades of yellow families were adapted among People. (3) The Red which had been preferred during Ming Dynasty were constantly favoured for the formal wears of auspicious events such as weddings. (4) Dark color groups were loved for the clothing which were used as a ground colors against the flamboyant patterns revealing strong visual effects through value contrast or primary color combinations. (5) The White had a symbol of mourning and there were some intentions to adopt pale color groups such as mint, jade, gray, moon whit,. silver white to make up for white. (6) Contrast color combinations were one of the basic ways of color combination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Therefore Chinese color combinations has a strong visual effect and easy to draw attention of people by the contrast of the hue, value or intensity of color. (7) Multi-color combinations were another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stume in the formal wears which bears many surface designs. The surface decorated with full of motifs, were appreciated by the people expressing their longings and hopes through the auspicious meanings of patterns and striking visual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시청각 상호작용과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교육 (Audio-visual Interaction and Design-education in the Age of Multimedia)

  • 서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49-58
    • /
    • 2001
  •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는 색채, 형태, 시간, 움직임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사운드까지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현요소로서 인식하여야 한다. 잘 알려졌다시피 시각이나 청각 어느 하나만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보다 시청각을 조화시켜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다. 시각과 청각의 만남은 공감각에 근거하는데 이것은 색채와 음, 형태와 사운드의 연상작용으로 나타난다. 기초적인 예를 들면 낮은 음은 어두운 색을 연상시키며 높은 음은 밝은 색을 연상시킨다. 또 타악기는 원을, 멜로디는 선을 연상시킨다. 멀티미디어에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는 이전의 시청각매체에서와 달리 단순히 보이는 장면과 관련된 소리를 들려주는 동시성의 수준에서 벗어나 각각 독립적인 표현요소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독립적인 표현요소로서의 시각과 청각이 만나서 상호작용을 일으킴으로써 그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새로운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 교육은 이렇게 시각과 청각의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메시지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각 조형, 시청각 구성, 시청각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과제들을 예로서 제시하였다.

  • PDF

최신 여성 패션에 나타난 세퍼레이션 색채 코디네이션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In Current Women's Fashion collections of Paris, Milan, N.Y, London from 2004 SS - 2008 A W - centering on the types of color scheme, color harmony, separation color -)

  • 권혜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5호
    • /
    • pp.94-110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of contemporary female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ollections (i. e. cities) -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from the periods of 2004 S/S to 2008/9 A/W. The data collection of 265 was done by reviewing 'pre-a-porter Collections' magazine and total 265 observations were mad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1) In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of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color scheme which were classified into seven detailed categories of color combination. First was the achromatic color &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which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f - black & white, black & grey, white & grey, and grey & grey - color combination. Second was the chromatic colors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which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and chromatic colors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Third was chromatic colors and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2) The achromatic colors and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showed two phases of reinforcing the strong and modern image, or softening the hard and dull image of achromatic color combination. In color schemes which used more than two chromatic colors, the separation color frequently converted the tedious and monotonous fashion image, which caused by identical or similarity in color or tone harmony, into more attractive and interesting. (3) In conclusion, through the various use and coordination of various color schemes, color harmony and separation colors, the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in contemporary female fashion has been suggested the effective way of color combination which can lead the visual pleasure and the vitality along with the unity and the harmony. This characteristics can create various images and visual diversity for fashion. The types and the use of color scheme and separation color showed different trends in four collections.

한 중 일 의장 문화 비교 연구 - 궁궐전출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Korea, China and Japan)

  • 이현정;박영순;최지영;황정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7-286
    • /
    • 2005
  •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색채와 재료, 문양을 중심으로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한 한중일 삼국 문화 속에서 공통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의장 군화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 답사조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조사의 대상이 된 한중일의 궁궐은 창덕궁, 자금성, 니조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 파라된 한국 의장 문화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의장 문화는 삼국 문화의 공통 기반을 이루는 자연 친화 사상, 조화론, 유교 문화를 기본으로 인본주의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서 이는 중국에서의 중화사상, 일본의 집단주의적 특성과 차별화 되어 나타난다. 문화와 건축 위에 나타나는 한국의 의장은 자연 재료와 자연색 사용, 자연 모티브의 문양 등의 한중일 공통적 특성과 함께 재료에 있어 자연적 가공도가 높고 대체적으로 거친 질감을 살리고 있으며 색채 면에서도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 변화, 유사배색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였다. 또한 한국의 문양은 부드럽고 도톰한 선을 사용하여 인간적인 소박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의 의장은 재료의 가공도가 높고, 표면 질감이 매끈하며 색채는 매우 화려하고 사실적 표현의 장식을 주로 하는 특성을 지닌다. 일본은 재료의 가공도가 높으나 질감 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거친 질감이 많으며 색채는 차분하고 안정적이며 무채색, 중성색을 중심으로 유사배색을 즐긴다. 일본의 문양은 표현은 매우 추상화되고 양식화되어 있으나 세부 표현에서는 기교와 장식을 즐기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다.지 않은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예배공간의 종교적 숭고미와 관련되는 감성적 요구를 표현하는데 있어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해석을 객관화, 정량화시켜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높이고 공간의 유형과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접근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분석(conjoint analysis), (3) 상기의 2가지 접근방법의 상호보완적 및 동시적 결합 및 피드백의 주장(Pullman, Moore and Wardell, 2002)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에는 품질경쟁력이 제품 디자인과 고객만족사이에 교량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 분석결과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품질경쟁력의 2가지 접근방법(QFD의 접근방법과 컨조인트 분석)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제품디자인의 결정요인 분석결과는 QFD의 접근방법에, 제품 디자인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컨조인트 분석에 각각 보완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증적 분석결과는 Ettlie(1997)의 디자인 통합(DI) 이론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DM)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처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CFT(cross-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 PDF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선호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시공간의 화예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eference Analysis on Eating/Drinking Table Decoration - Centering on Floral Art & Design on display space -)

  • 양종열;홍정표;김태호;장영순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91-3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 PDF

장예모의 인상(印象) 시리즈 <인상유삼저>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pression Liu Sanjie from impression series by Zhang Yimou)

  • 왕지권
    • 트랜스-
    • /
    • 제5권
    • /
    • pp.65-82
    • /
    • 2018
  • 장예모 감독의 작품 <인상유삼저>가 기존의 공연들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특징은 무대공간의 활용에 있다. 인상시리즈의 무대는 세트장과 대자연과 결합하여 전통적인 무대공연양식에서 탈피하여 자연환경을 무대배경으로 완성하였다. 또한 자신만의 특색 있는 미적 감각과 자연공간을 조화시켜 해당 지역문화의 특색을 반영해 내었다. <인상유삼저>는 실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하는 단순한 산수공연이 아니라 자연적인 색채와 공간이 조화를 이루어 나타내는 인간과 자연사이의 친환경적 개념에서 비롯되어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홍보하는 기능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자 홀의 프록세믹스(proxemics) 개념과 친환경적 측면에서 <인상유삼저>를 분석하였다. <인상유삼저>는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하는 실경산수공연의 형식으로 연출하며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와 자연적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는 동시에 현지문화산업의 홍보측면에도 기여하였다. <인상유삼저>는 실경산수공연으로서 인간과 자연을 성공적으로 융합하여 환경을 보존하였다는 데에도 의의를 갖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