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 황승현 (홍익대학교 디자인공예학과) ;
  • 이현진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 Received : 2019.08.21
  • Accepted : 2019.09.30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use of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color combination of mobile application. For this study, color combination methods of a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that recommends harmonized colors automatically and of a mobile web application were applied to a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a color combin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n for a survey on the experiment using the two methods, color combinations, selected colors and satisfaction with outputs were investigated on a 7-point Likert scale. And color combination characteristics of output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design color palette made it easy to select colors by systematizing the regular coloring stages of fixed colors automatically,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compositions and color scopes of dominant color, assort color and accent colors, which are three-color combinations of mobile web application and accent color selection function was required for each design, since only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s could be selected. Moreover, chromatic colors were used a lot in the material system because of the fixed color scopes and color combination scopes and images of color combination outcomes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even when tones with a big contrast or complementary colors were selected. The role of color composition was important according to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환, 색채계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 박은영, 이기훈, 박영호, "조화로운 이진 색상 추출을 위한 질의 처리 방안," 한국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37권, 제5호, pp.267-274, 2010.
  3. 박은영, 윤용익, 박영호,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조화로운 컬러 추천방안,"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7권, 제8호, pp.469-473, 2011.
  4. N. Kita and K. Miyata, "Aesthetic Rating and Color Suggestion for Color Palettes," Computer Graphics Forum, 제35권, 제7호, pp.127-136, 2016. https://doi.org/10.1111/cgf.13010
  5. https://material.io/design/color/, 2019.6.8.
  6. https://material.io/tools/color/#!/?view.left=0&view, 2019.6.8.
  7. P. Moon and D. E. Spencer, "Geometric formulation of classical color harmony,"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America, 제34권, pp.46-59, 1944. https://doi.org/10.1364/JOSA.34.000046
  8. 문은배, 색채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p.350, 2011.
  9. 이경미, 색채 조화론에 관한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10. A. H. Munsell, A Grammar of Color,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pp.51-52, 1969.
  11. L. C. OU and M. R. LUO, "A Study of Colour Harmony for Two-colour Combinations," Color Research & Application, 제31권, 제3호, pp.191-204, 2006. https://doi.org/10.1002/col.20208
  12. H. J. Eysenck, "A cri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color preferences,"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54, No.3, pp.385-394, 1941. https://doi.org/10.2307/1417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