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부토양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 Yoon, Soon-Ock;Park, Chung-Sun;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3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cluding formative period, grain composition and climate change from loess-paleosol sequence deposited on a gravel bed of river terra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The Jincheon section consists downward of a surface layer, loess-paleosol sequence, transitional layer I, transitional layer II and gravel bed. It can be suggested from the OSL age dating that the sequence was deposited during MIS 6 to 4. The sequence can be divided into four horizons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Grain size analysis reveals that the sequence indicates similar properties of grain size to loess deposits in Korea and especially, the Y values in the sequence are lower than those in the loess and paleosol horizons in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similar to those in the Red Clay in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Xiashu loes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These Y values in the sequ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remote source and/or experience of intensive weathering process after de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of Soil Water Storage at a Hillslope in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사면의 토양층 저류량의 분포양상에 관한 연구)

  • Jang, Eun-se;Kim, Sang-Hyun;Lee, Jung-H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8 no.2
    • /
    • pp.88-98
    • /
    • 2016
  • The storage variation in the vadose zone at a hillslope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ydrological process. This study explores seasonal changes of soil water storage at a hillslope scale.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hillslope of Beomrunsa, located in the Seolma-cheon river basin in Paju-si, Gyeonggi-do. Using soil moisture measurements through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storage, discharge, and response constant were calculated for all monitoring points on a hillslope between March and November, 2010. This study found that temporal changes in storage are resulted from the rainfall distribu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spatial changes in storage indicated that the soil water storage tends to increase towards the downslope direction. The discharges calculated based on the soil water measurements exhibited a high correlation with observation discharge. The storage response constant was high during the autumn which demonstrates the increased contribution from upslope is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soil water recharge during autumn.

변위가 발생한 매립부 지반에 대한 연구

  • 김성욱;이현재;원지훈;서동주;이종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303-306
    • /
    • 2002
  • 변위가 발생한 해안도로 옹벽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반암과 매립부 지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질구조선의 발달은 관찰되지 않고 지표에서 기반암의 거동은 낙석의 형태로 나타난다. 기반암은 생교란작용의 유무에 따라 상, 하부지층이 구분되며 하부 지층은 신선한 상태로 이완된 불연속면은 나타나지 않는다. 변위는 옹벽의 이음부에 집중되며 옹벽의 운동방향은 우향이동과 좌향이동이 반복되며 최초 변위 발생지점 (시 점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장력에 의한 확장 (벌어짐)이 우세하며 종점부에서 회전운동이 수반된다. 이음부의 확장과 회전은 최초 발생 지점에서 응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매립부 지반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상부의 매립층은 높은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것에 반해 하부는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이는 매립부의 하부지반이 해수면 이하에 위치하여 해수와 같은 유체의 영향을 받으나, 상부는 유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최초 변위가 발생한 지점의 매립부 지반은 하부와 같이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GPR 탐사에서 최초 변위 발생 지점에서 매질의 이완 내지 공동으로 추정되는 구조가 관찰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urface pollutants on stone materials and its cleaning measures in Gyeongju Soekbinggo (경주석빙고 구성석재에 형성된 표면오염물의 특징과 그 제거방안)

  • Do, Jinyoung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3a
    • /
    • pp.71-88
    • /
    • 2005
  • With biological organism brown pollutants layers are thickly formed on inner stone materials in Gyeongjuseokbinggo(Ice storage in Gyeongju). Some simples were taken from this layer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salt and microstructures were analyzed. This study shows that the pollutants layer can be removed easily, because it attached softly in stone surface. But because of its serious weathering state the stone surface also can be removed during the removing process. The origins of brown layer are assumed to be the soil in the mound over the Seokbinggo and the coarse sandy soil in the entrance.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eokbinggo Waterproof and replacement of the coarse sandy soil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remove works. Subsequently moistureproof works should be enforced.

  • PDF

Headspace-GC-MS에 의한 토양 중 MTBE와 BTEX의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

  • Sin Ho-Sang;An Hye-Sin;Ryu Sang-Hui;Kim T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1-35
    • /
    • 2005
  • 본 연구는 토양에 휘발유 첨가제인 MTBE와 휘발유의 주성분인 BTEX를 headspace 법에 의해 동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인산으로 pH를 2로 조절한 후 NaCl로 포화시킨 용액 5ml를 헤드스페이스 바이알에 보존제로 넣은 후 토양시료 약 2g을 이 용액에 침지시켜 시료 채취한 다음 헤드스페이스 장치에 넣고 $80^{\circ}C$에서 40분 가온하여 상부 기상의 일정량을 취해 GC-MS (SIM)으로 분석하였다. 본 분석법에 의한 검출한계는 methyl-tert-butyl ether(MTBE)와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o,m,p-xylene(BTEX)이 각각 0.1, 0.1, 0.1, 0.2, 0.1, 0.2 ng/g이었고, 직선성은 0.995이상이었으며, 재현성도 10%내외의 정밀한 값을 보였다. 실제 시료를 분석한 결과, MTBE가 3-6,993 ng/g의 농도분포를 보였고 total BTEX는 1 ng/g으로 검출되었다. 이 방법은 빠르고 정밀 정확한 분석법으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가치가 높다.

  • PDF

매립장 주변 대수층 매질특성과 수질의 상관관계 연구

  • O In-Suk;Go Gyeong-Seok;Gu Min-Ho;An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87-390
    • /
    • 2006
  • 매립장주변의 대수층 특성과 수리지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은 매립장 환경 위해 요인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생활쓰레기 매립장인 금산 매립장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수층 매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 성분 및 pH, 전기전도도, 용존유기탄소, 양이온교환능력, 유기물함량, 토양 입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수리지화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수질검층 및 지하수 시료를 분석하여 매립지역의 수직 및 수평적인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수층의 토양특성과 지하수 수질특성의 비교분석 결과 침출수 집수정을 기점으로 침출수의 영향을 받은 관측정의 전기전도도(EC) 측정값이 배경 지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입도분석 결과 상부 표토에 가까운 50cm 이내의 토양은 농경의 영향으로 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실트질 토양이 많고 이보다. 심부의 토양은 사질 토양으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투수성이 좋은 사질 토양은 지하수의 이동을 비교적 쉽게 유도하기 때문에 매립장으로부터 침출수가 누출되었을 때 지하수 흐름을 따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새만금방조제에서 해수-담수 경계면 예측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32-535
    • /
    • 2003
  • 새만금 방조제를 통하여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해수 침출수량과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서의 해수와 담수 사이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밀도 차이에 의한 흐름을 고려한 지하수 흐름 지배 방정식과 염류의 분산 및 이송 지배 방정식을 결합시킨 수치해석 모델이 이용되었다. 밀도류를 고려한 경우에는 밀도류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해수 침출량은 다르지 않았으나, 해수 침출면의 길이가 축소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부정류상태의 해수-담수 경계면은 정류 상태의 결과와 매우 달랐으며, 해수 침출면이 방조제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존재함을 보였다.

  • PDF

폐금은광산 주변지역의 수계내 하상퇴적물에서의 비소 용출 및 자연수의 오염특성

  • 이지민;전효택;이진수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89-92
    • /
    • 2003
  • 폐금은광산 지역은 토양, 작물 및 수계와 같은 지구화학적 환경에서의 비소의 부화가 환경오염의 특성으로 나타난다. 오염지역에 대한 시료채취 지점 상부에 존재하는 암석과 토양의 풍화산물인 하상퇴적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이들의 해당 집수지역에 존재하는 원소들의 평균 함량을 반영하므로 환경오염평가 및 광역지구화학도의 작성에 적절한 대상 시료로 사용되어 왔다. (중략)

  • PDF

Parameters Estimation and Analysis for Leaky Aquifer System (누수대수층에 대한 수리상수 추정과 해석)

  • 김민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3
    • /
    • pp.123-128
    • /
    • 1998
  • Leaky aquifer (two-aquifer) system in this study consist of an upper unconfined and a lower confined aquifer with a leaky layer between them. It is assumed that water is withdrawn from the confined aquifer of the aquifer system, the upper unconfined aquifer will be affected by the leaky aquife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aquifer. In order to analyze the leaky aquifer, the determin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is needed. In this paper, hydraulic parameters are suggested by improved SM (slope-matching) method. To know variation of groundwater head in leaky aquifer systems, an numerical scheme is made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To verify the numerical scheme, its solution is compared to analytical one. The solution of them agrees well in one-dimensional system at steady-state condition. And heads of groundwader are computed upper and lower aquifer in two-dimensional system.

  • PDF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Cheongweon Series Distributed on Broad Continental Alluvial Plains (하성평탄지 토양인 청원통의 분류 및 생성)

  • Song, Kwan-Cheol;Hyun, Byung-Geun;Sonn, Yeon-Kyu;Park, Chan-Won;Chun, Hyen-Chung;Moon, Yong-H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6
    • /
    • pp.1272-127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Cheongweo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Cheongweon series distributed on broad continental alluvial plain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Cheongweo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Cheongweon series has dark grayish brown (2.5Y 4/2) silt loam Ap horizon (0~18 cm), dark grayish brown (2.5Y 4/2) silt loam BA horizon (18~30 cm), dark yellowish brown (10YR 4/6) silty clay loam Bt1 horizon (30~60 cm), strong brown (7.5YR 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60~91 cm), brown (10YR 4/4) silt loam BC horizon (91~104 cm), and mottled (7.5YR 4/6, and 7.5YR 5/2) silt loam C horizon (104~16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30 to 91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35% or more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Alfisol, not as Inccept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alf.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Hapluadalf. It has anthraquic condition, and keys out as Anthraquic Hapludalf. That has fine silty textural family,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Cheongweon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Anthraquic Hapludalfs, not as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Fluvaquentic Epiaque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