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대적 공간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가 원룸촌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소재 'O' 대학교 원룸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ments of Life Safety Environment in the exterior Space of the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Focused on the case of 'O'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in Chungcheongbukdo-)

  • 김환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는 거주자의 생활안전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 및 해결방향을 건축계획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는 건축 계획적 차원에서 크게 거주자 감시, 동선유도와 영역 구분, 외부의 공적 공간 활용, 쾌적한 환경 유지 등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건물 진입 공간뿐만 아니라 보행로나 기타 오픈스페이스 등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대학가 원룸촌의 외부공간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보행로 같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이 거주인구와 원룸 건축물이 가장 많은 구역에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 분류를 위한 다중 규모 공간특징의 가중 결합 기반 합성곱 신경망 모델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with Weighted Combination of Multi-scale Spatial Features for Crop Classification)

  • 박민규;곽근호;박노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3호
    • /
    • pp.1273-1283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작물 분류를 목적으로 합성곱 신경망 구조에 다중 규모의 입력 영상으로부터 추출가능한 다양한 공간특징을 가중 결합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합성곱 계층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입력패치를 이용하여 공간특징을 추출한 후, squeeze-and-excitation block을 통해 추출한 공간특징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제안 모델의 장점은 분류에 유용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류에 이용하는데 있다. 제안 모델의 분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수집한 다중시기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한 작물 분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용한 패치 크기 결정을 위해 먼저 단일 패치 모델에서 패치 크기가 작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후에 단일 패치 모델과 특징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는 다중 패치 모델과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비교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은 연구지역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공간 특징을 고려함으로써 오분류 양상을 완화시켜 비교 모델들에 비해 가장 우수한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분류에 유용한 공간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는 제안 모델은 작물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공간특성을 보이는 객체 분류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장공간의 조도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lluminance Recommendations for a Museum Storage Area)

  • 김홍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6
    • /
    • 2002
  • 박물관의 수장공간은 박물관의 가장 기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공간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사무실이나 공장의 창고로 생각하여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수장고의 조명계획시에 검토해야 할 요소를 살펴보고, 조명의 정량적인 기준인 조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자료의 보존을 고려한다면 조도가 낮을수록 바람직하나, 자료관리를 감안한다면, 현재의 권장조도기준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장공간의 조도기준을 200[㏓]로 상향조정하고, 여타의 부속공간은 국부조명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타당하다.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설의 입지 분석 (Location Analysis for Wind Power System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이수주;송석진;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2
    • /
    • 2010
  • 풍력발전은 자연 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이며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이다. 최근 소형 풍력 발전의 개발에 따라 단지나 초고층 건축물에도 풍력 발전 시설 설치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입지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 시 요구되어지는 요인들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고 부산시의 풍속과 풍향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지형 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하여 강서구, 기장군, 사하구 지역 내에서 녹산동, 철마면, 다대1동으로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난류유동 압력경계조건을 가진 실내공간에서의 오염물질 거동에 관한 수치적 예측 (A Numerical Prediction of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under the Turbulent Flow and Pressure-Based Boundary Conditions)

  • 이재헌;노홍구;김광영;오명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272-1281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압력형 경계조건을 취급할 수 있도록, 속도 경계조건만을 취급 하는 전형적인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실제 상황에 가까운 실내 공간 내부의 유동장을 예측하였다. 이때 난류 흐름방식의 강제 대류를 해석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으로서는 저레이놀즈수 K-.epsilon. 난류 모델을 도입하였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는 유동장이 예측된 후에는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원의 갯수를 변화시키면서 실내 공간 에서의 오염 물질 분포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내공간은 2차원 이라 가정하였으며 유동은 정상유동이라 간주하였다. 또한 실내 공간을 채우는 공기 량에 비하여 오염 물질의 양은 그 질량비가 0.1% 이하로서 상대적으로 아주적으므로, 오염된 공기의 밀도는 오염되지 않은 공기의 밀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공간 보정 기법을 이용한 레이더 면적강수지도 산출 및 검증 (Computation and Validation of the Radar Areal Precipitation Map using Spatial Correction Method)

  • 고혜영;남경엽;최재천;최영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86-986
    • /
    • 2012
  • 최근에 집중 호우, 돌발 강수 등의 국지적인 강수 현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산악 지역에서의 국지성 강우에 의한 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현재 기상청의 지상관측자료는 약 13 km의 공간해상도로 남한 지역 전체에 대해 제공하고 있으나 북한, 해상, 산악 등의 지역에 대한 감시는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반면 레이더는 1 km의 고해상도의 공간자료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산악 지역에 대한 분석에 레이더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국립기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는 공간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2009년에 대해서 격자($1{\times}1km^2$) 및 유역(117개 중권역, 국토해양부)에 대한 일, 월누적 강수량을 산출하였으며, 지상 우량계 자료와 비교하였다. 2009년 여름철 사례에 대해서 일누적강수량을 분석하였으며, 월누적 강수량의 경우에는 2009년 전체에 대해 지상 우량계의 월누적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MAE, RMSE 등을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레이더 강수량 정보를 활용하여 지상 관측 공백지역의 강수량에 대한 감시를 통해 산악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비하고, 유역별 레이더면적강수량 산출을 통하여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수문 기상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공간지역확장과 계층집단연결 기법을 이용한 무감독 영상분류 (Unsupervised Image Classification Using Spatial Region Growing Segmentation and Hierarchical Clustering)

  • 이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9
    • /
    • 2001
  • 본 연구는 무감독 영상분류를 위하여 공간지역 확장을 통하여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집단을 한정된 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다중단계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무감독 분석을 위하여 작은 집단들을 단계적으로 큰 집단들로 합병해 가는 계층집단연결 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다중단계 기법의 영상분할 단계는 공간적으로 근접하고 있는 이웃지역간의 결합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전체영상 공간내의 모든 집단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집단들의 물리적 특성이 서로 다르도록 영상을 분할하는 과정이고, 영상분류 단계는 결합 지역의 공간적 제약 없이 영상 분할 단계에서 분할된 지역을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과정이다. 제안 된 알고리듬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층집단연결 기법의 계산/기억 상의 복잡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호최근사 이웃쌍과 다중창 작업을 사용하고 있다. 모의 자료를 사용하여 제단 된 알고리듬 대한 평가와 효율성을 검증하였고 경기도 용인.능평지역의 LANDSAT ETM+ 자료에 적용한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다중 가상 주소 공간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프로세스 (Multiple Virtual Address Spaces for the Operating System Process)

  • 김익순;김선자;김채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71
    • /
    • 2012
  • 본 논문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Process)의 가상 주소 공간(Virtual Address Space)을 기존의 단일 가상 주소 공간에서 다중 가상 주소 공간으로 확장시켜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기존보다 더욱 넓은 가상 메모리 영역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 컴퓨팅 기기들은 비약적으로 증가한 메모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최근 PAE(Physical Address Extension)를 지원하는 32 비트 프로세서나 32 비트 명령어를 같이 지원하는 64비트 프로세서들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크기보다 더욱 큰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어서, 한 프로세스가 장착된 메모리의 일부분 밖에 사용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64비트 프로세서의 경우 64-비트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크기나 포인터 변수 크기의 증가로 메모리 사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어서 서버 컴퓨터나 데스크탑 PC 와 같이 충분한 양의 메모리를 장착한 시스템에서만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 주소 공간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는 모바일 및 임베디드 기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용량의 메모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구(區)별 영상산업 입지의 공간적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Spatial Location Determinants on Motion Picture Theater in Various Regions within the City of Seoul)

  • 안광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5-177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구, 354개의 스크린 수를 이용하여 영화상영관의 입지 패턴은 지역의 공간적인 연계성에 의해서 입지함을 GIS를 이용한 공간파급력 비교와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간결정요인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스크린 수를 분석의 Z값으로 설정하여 영화상영관의 공간파급력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영화상영관은 강북, 강남, 강서, 강동 4개 지역을 중심으로 영향력이 생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개 주요 중심축의 영향력 파급 결과, 상대적으로 영화상영관 스크린 수가 많은 지역의 파급력은 평면적으로 넓게 파급되기보다는 지역 내에서 높게 영향력이 생성되는 것을 보여 주변 인구가 영화상영관이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영화매체를 관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화상영관의 스크린 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인 결정요인을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출판, 음반, 공연 관련 업체가 많을수록 영화상영관의 스크린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환공간 뷰를 기반으로한 공간 조인 (Spatial Join based on the Transform-Space View)

  • 이민재;한욱신;황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5호
    • /
    • pp.438-450
    • /
    • 2003
  • 공간 조인이란 서로 겹치는 관계를 가지는 공간 객체의 쌍들을 찾는 질의이다. 색인 기반 공간 조인에는 원공간 색인인 R 트리가 널리 사용된다. 원공간 색인이란 원공간상에서 표현된 공간 객체를 색인하는 구조로, 이를 활용한 조인은 크기를 가지는 공간 객체를 다루기 때문에 정형적인 방법이 아닌 휴리스틱에 의존하는 단점을 가진다. 반면, 변환공간 색인은 원공간 상의 공간 객체를 변환공간 상의 크기가 없는 점 객체로 변환하여 색인한 후에 이들을 다루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공간 조인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정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R 트리와 같이 원공간 객체를 색인하는 원공간 색인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방법의 장점만을 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변환공간 뷰(transform-space view)라는 새로운 개념과 이를 사용한 공간 조인 알고리즘인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transform-space view join algorithm)을 제안한다. 변환공간 뷰란 원공간 색인에 대한 가상의 변환공간 색인으로서, 이미 구축된 원공간 색인을 구조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별도의 추가비용 없이 가상의 변환공간 색인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실험 결과, 변환공간 뷰 조인알고리즘은 R 트리를 원공간에서 조인하는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디스크 액세스 횟수 측면에서 최대 43.1%까지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R 트리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원공간 색인을 변환공간 뷰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하여 변환공간에서 해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우리는 이 새로운 개념이 다양한 공간 질의 처리 알고리즘들이 변환공간에서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