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담심리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6초

산림(山林) 프로그램 참여(參與) 경험(經驗)이 우울증(憂鬱症) 수준(水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the Forest Program on Depression Level)

  • 신원섭;오홍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586-595
    • /
    • 1996
  • 본 연구는 5일간의 산림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참여자의 우울증 수준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울증은 오늘날 주요 정신 장애중 가장 치료에 노출되지 않는 증상의 하나이다. 오늘날 사회 환경에서 우울증은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울증은 그 빈도가 높고 심리적 변화에서부터 생리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정신 질환이며 가끔 자살, 사회 경제적 손실 등의 심각한 결말을 초래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500여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의 점수에 의하여 선발된 32명의 산림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자로 선발하였다. 1995년 여름 이들에게 월악산에서 등반, 홀로의 시간, 그룹 토론, 감정 나누기, 상대 안내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산림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BDI와 정신과 의사의 상담 및 관찰에 의하여 우울증의 변화가 측정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 이전 이후의 우울증 변화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특히 남자의 경우 큰 폭으로 우울증의 감소가 측정되었다.

  • PDF

인지행동치료기법을 활용한 청소년의 우울 정서 측정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ve Emotion in Adolescent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유정선;이경선;권정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43-455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박정선 외, 2016) 연구의 후속 연구로, 인지행동치료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했다. 이 앱은 우울증에 대한 분석과 간편하고 연속적인 자기점검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우울의 단발적 분석 및 진단이 위주였던 이전 앱과 달리 심리 상태의 지속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실질적인 상담 서비스가 연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 우울증에 대한 선행연구 뿐만 아니라, 우울증 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조사하였다.

당뇨병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 연구논문 분석 (Analysis of Reported Study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 송갑선;김호진;전점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41-551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며, 검색은 Riss4u, 국회도서관, 국립 중앙도서관 등을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당뇨병 환자", "당뇨병환자와 교육", "당뇨병환자와 운동", "당뇨병환자와 중재", "당뇨병환자와 교육 또는 운동"이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53편의 논문을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및 효과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유형은 총 8가지이며 사용된 효과변수는 113가지이다.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교육과 상담을 동시 적용한 경우 이며 당 대사, 자가 간호, 자기 효능감이 자주 사용되는 종속변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은 다양하였으며, 효과변수의 결과는 효과가 없거나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향후 중재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융합 시대에 적합한 체계적인 내용 구성 및 운동이 적극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사회 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효과변수의 선정 및 효과변수 측정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웹 기반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Web-based Visual Perception Test Program Prototype)

  • 안성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14
    • /
    • 2006
  • 시 지각(Visual Perception)은 눈을 통하여 받아들인 사물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중추신경계에서 해석하는 능력이다. 즉, 시각적 자극을 인식하고 변별하며, 그러한 자극들을 선행경험들과 연합함으로써 해석하는 능력을 말한다. 오늘날 시 지각장애의 원인을 밝히는 일과 시 지각 능력의 진단을 통하여 지각장애의 제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시 지각 장애의 교정이나 시 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치료적인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특수교육이나 작업치료, 또는 장애인 복지관의 심리상담에 주로 사용되는 지필(紙筆)방식의 시 지각 능력 진단 도구들은 그 사용에 있어서 문제점 및 한계성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이 가능한 웹 기반 시 지각 발달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시 지각을 진단할 수 있는 측정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사용 그래픽 아이템의 개발방향을 예시하였다. 또한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축을 위해 고려해야할 체크리스트 항목과 신뢰도의 타당성 검사를 위한 변인을 추출하여 웹 기반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Remarried Families)

  • 노명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9-175
    • /
    • 2013
  • 연구목적은 재혼가족의 증가로 이들의 적응을 돕는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의해 현재까지의 재혼관련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과, 향후 재혼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총 9개 재혼가족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고려할 원칙을 제시하였다. 재혼가족을 적절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 이들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을 돕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분석 결과 향후 재혼 프로그램은 첫째, 교육내용 구성 시 재혼 유형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고, 재혼부부 관계향상과 계부모 역할에 대한 교육, 자녀 출산에 관한 문제를 다뤄야한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칙으로서 문제지향적 관점을 지양하고, 재혼가족 기능향상에 초점을 두고, 재혼가족의 적응요인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방법 면에서 심리적 상담 프로그램 도입, 재혼준비도 척도지 활용, 재혼자녀 포함, 가족행사와 가족의례 연습 부분을 도입해야 한다.

탈북싱글맘들의 어머니 경험에 관한 연구 -20대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ther's Experience of North Korean Single Mom Defector - Focused on Chidult in their 20s -)

  • 전주람;임해영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141-169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자녀를 둔 탈북싱글맘들이 남한 사회에서 배우자 없이 홀로 성인자녀를 돌보는모로 존재하면서, 이들이 어머니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탈북싱글맘들의 보다 안정된 삶을 위한 복지 정책을 제언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3명의 탈북싱글맘들에게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낯선 땅에서 더욱 크게 다가오는 자녀의 존재', '슈퍼우먼과 같은 일상', '버겁기만 한 돌봄의 고단함', '일상의 감사와 가치발견', '새로운 인생 찾아나가기' 총 5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인자녀를 둔 탈북싱글맘들의 어머니 경험이라는 주제로 아직까지 생소한 연구 영역에서 소수의 특정사례를 통해, 경험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빈곤가정 부모의 청소년자녀 진로지원경험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Parents Who Use Community Welfare Center Supporting Their Children's Career in the Underprivileged Families)

  • 김경희;박주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0호
    • /
    • pp.101-1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에서 청소년 자녀를 양육하고 진로를 지원하는 과정에서의 역할과노력, 어려움과 과제를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11개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있는 빈곤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진로지원 과정에서 부모가 겪는 어려움, 자녀의 진로지원을위한 부모의 노력, 도움이 된 사회적 지원과 앞으로의 과제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빈곤가정에서 자녀의 진로를 지원하는데 도움이 될 수있는 가족중심 실천과제와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였다.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 김천사;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87-10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사물놀이에서 경험하는 악기와의 대상관계 현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물놀이 연주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 범주, 3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중간대상의 매체', '내적 욕구 표현 및 인식의 수단', '타인 인식과 소통의 도구'로 나타났다.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내적 몰입을 도와주는 대상 경험을 하게 하는 매체가 된다. 또한 연주자는 악기연주를 통해 자신의 내적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성격과 정체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다. 이와 동시에 연주자는 악기 특성과 사물놀이에서의 역할에 따라 악기를 사람처럼 대상화하여 내적 표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주에서의 관계를 이해하고 타연주자와 소통한다. 마지막으로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이상적 자기 성격에 따른 대리적 대상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물놀이라는 합주 형태가 연주자의 대상관계 발달을 촉진하며 연주자의 내면화된 표상체계와 상호작용 방식을 외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연주자와 악기 간의 심리내적인 기능적 관계를 밝히고 음악치료에서 사물놀이 악기 활용에 대한 기초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hildhood Trauma,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Displaced Aggression)

  • 이자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85-3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교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5와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상관관계분석과 이중매개효과분석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은 전위공격성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전위공격성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간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외상과 전위공격성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전위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me Dental Hygiene)

  • 지민경;이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