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관길이

Search Result 1,0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method for setting coherent processing interval of continuous active sonar based on correlation of GSFM pulse (GSFM 펄스의 상관도에 기반한 연속 송수신 소나의 신호처리 구간 설정 방법)

  • Kim, Hyeon-su;Kim, Hyun-woo;Lee, Won-oh;Park, Song-hwa;Lee, Jung-hoon;Park, Gyu-t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5
    • /
    • pp.401-407
    • /
    • 2021
  • The continuous active sonar technology is effective for detecting and tracking targets because of short target revisiting rate. Generalized Sinusoidal Frequency Modulation (GSFM) pulses suitable for continuous active sonar systems are known to be capable of obtaining high time-bandwidth product while maintaining the orthogonality between pulses. However, it is unknown how to calculate an appropriate length of time to correlate received GSFM pulses in the presence of a target with accel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time length based on the correlation when matching the received signal in the continuous active sonar system using GSFM pulse.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of the target and calculates the signal processing length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It is shown that stable detec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when the signal processing length calculated by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level of the sidelobe is applied.

Heritabilities and Relationships of Peduncle Size and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대맥의 최상부절간 및 주요형질의 유전력과 상관에 관한 연구)

  • 김흥배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9 no.2
    • /
    • pp.175-178
    • /
    • 1984
  • Varietal differences, heritabilitie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including peduncle size of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were studie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duncle size was observed among the varieties. Flag leaf size and flag leaf sheath length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eties. Heritabilities of broad sense for peduncle length and diameter were 0.9638 and 0.5652. Heritabilities for flag leaf sheath length, flag leaf length and flag leaf width were 0.8143, 0.7929 and 0.8980, respectively. The peduncle leng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uncle diameter, stem length, flag leaf sheath length, flag leaf length and kernels per spike. However, no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peduncle length and spike length.

  • PD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of Growing Pheasant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상관과 회귀)

  • Yang, Y.H.;Kim, J.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20 no.4
    • /
    • pp.203-208
    • /
    • 199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measurements of the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the age of 0, 4, 8, 12, 16 and 20 wk, and to investigate the regression of the final body weight at the age of 20 wk in selection on the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before 12 wk of age. From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the same age were 0.50~0.83 from females, and 0.57~0.85 from males over all wk of age(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ody weights at hatch and 20 wk of age was 0.44(P<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P>0.05) between the shank length at hatch and body weight at 20 wk of age. The favorable regression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he body weight at the age of 20 wk from both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before 12 wk of age were the models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measurements at hatch and 12 wk of age($R^2$=0.96), with the measurements at 8 and 12 wk of age($R^2$=0.96), and with the measurements at 0, 8 and 12 wk of age ($R^2$=0.96).

  • PDF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x caprea × Salix gracilistyla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

  • Han-Na Seo;Seung-Beom Chae;Hyo-In L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49-49
    • /
    • 2020
  • 본 연구는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을 국내 자생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비교하였다. 호랑버들 35개체, 갯버들 35개체, 교잡종 100개체에서 잎을 채취하여 잎의 길이와 너비, 엽저와 엽두 각도, 잎자루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 잎 두께 등 총 17개의 잎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엽두 각도와 탁엽의 길이를 제외한 15개의 특성에서 세 분류군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잡종의 잎 길이와 너비의 비는 갯버들, 교잡종, 호랑버들 순으로 크게 나타나 교잡종의 잎의 형태는 피침형인 갯버들과 타원형인 호랑버들 사이 중간 형태로 나타났다. 교잡종의 잎의 너비, 엽저 각도, 잎자루의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는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중간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탁엽의 거치 개수는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이 나타났다. 잎 뒷면 단위면적당 털의 개수 또한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을 나타냈다. 세 분류군 간 잎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15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이 1 이상인 제 1, 2, 3, 4주성분이 전체 분산의 68.2%를 설명하였다. 제 1주성분은 잎의 너비, 잎의 1/3 아랫부분 너비, 잎의 1/3 윗부분 너비, 잎자루의 길이, 잎의 길이로 잎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제 2주성분은 엽맥의 수, 잎자루의 너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 3주성분은 탁엽의 거치 개수, 탁엽의 너비로 탁엽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제 4주성분은 잎의 두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 결과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특성은 호랑버들보다 갯버들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잎의 형태적 특성으로 세 분류군을 구별하기 위해 정량형질을 이용한 판별분석 결과 교잡종 중 대부분(93.3%)이 호랑버들, 갯버들과 구별되었다. 일부 교잡종 개체(6.7%)가 갯버들로 오분류되었지만, 잎의 정성적 특성인 잎의 거치와 측맥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모든 개체가 교잡종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교잡종은 잎의 형태적 특성이 부모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장려품종 콩의 형태 및 성분특성)

  • Kim, Dong-Man;Jin, Jae-Soon;Kim, Kil-H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398-404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phological indices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The weight of 100 seeds and weight percentages of seed coat and germ to the whole soybean of 19 varieties were ranged from 12.28 to 25.54g, from 6.02 to 8.29% and from 1.66 to 3.35%, respectively. The average long and short widths and length were $5.95{\sim}7.59mm,\;5.03{\sim}6.95mm\;and\;6.44{\sim}8.38mm$, respectively. The Hunter b values(yellowness) ranged from 15.9 to 21.7 for seed coat and from 17.7 to 23.1 for cotyledon.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r>0.97) existed between total weight and cotyledon weight and long width, and between cotyledon weight and long width. Protein content had low correlations(r<0.48) with total weight, cotyledon weight, length and long width.

  • PDF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Grain and Eating Quality of Barley 2. The Varietal Difference of Crease Development and It′s Relation to Grain Development (보리의 품질 및 식미개선에 관한 연구)

  • Hong-Suk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2 no.2
    • /
    • pp.52-58
    • /
    • 1977
  • For the fundamental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grain and eating quality of barley. grain and creas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with 44 cultivars. The varietal differences in the length, width, thickness. weight and crease development of barley grain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ain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crease in many cases.

  • PDF

Optimum PN Code Acquisition Method using Mean Deviation of Correlator in DS-CDMA Systems (직접대역확산 방식에서 상관기 출력의 평균편차를 이용한 최적 PN 코드획득 방법)

  • Ryu, Yeong-Jae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2 no.1
    • /
    • pp.1-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algorithm that improves the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PN code searcher used in DS-CDMA systems. Using the mean deviation computed from the correlator output of the PN code search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received channel environment. To satisfy the required acquisition performance in estimated channel environment, the PN code searcher changes the correlator tap size adaptively. Proposed algorithm shows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algorithm using the fixed correlator tap size.

  • PDF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insenoside Cont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with Different Year-Roots (Panax ginseng C. A. Meyer) (산양삼 연근별 생육특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간의 상관관계 연구)

  • Kiyoon Kim;Hyun-Jun Kim;Yurry Um;Kwon-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3-93
    • /
    • 2020
  • 본 연구는 7년, 13년근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진세노사이드(G) 함량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개소의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뇌두길이, 뿌리길이, 생중량, 단면적, 표면적, 부피에 있어 13년근 산양삼이 7년근 산양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진세노사이드11종에 대한 함량은 G-Rb1, Rb2, Rc, Rd, Re, Rf, Rg1, Rg2 함량이 13년근 산양삼이 7년근 산양삼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산양삼과 인삼(재배삼)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13년 산양삼에서 G-Rb1, Rd, Re, Rf, Rg1이 4년, 5년근 인삼(재배삼)에 비해 유의적으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양삼 연근별 생육특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G-Rb1, Rb2, Rc, Rd, Re, Rf, Rg1, Rg2 함량은 뇌두길이, 생중량, 단면적, 표면적, 부피와 유의정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G-Rb1, Re, Rf, Rg2는 줄기직경과 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양삼의 7년근과 13년근을 대상으로 생육특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상관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연근에 따른 품질규격 정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chanism of Equivalent Power Distribution in Parallel Connected ICP for Large Area Processing

  • Lee, Jin-Won;Bae, In-Sik;An, Sang-Hyeok;Jang, Hong-Yeong;Yu, Si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10-510
    • /
    • 2012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웨이퍼의 크기가 증가하고, 생산률이 플라즈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대면적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ECR, ICP, Helicon plasma 등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ICP를 결합한 multiple ICP를 이용해 대면적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 개발을 진행했다. Multiple ICP의 경우 각 ICP 소스에 같은 power (current)를 공급해야만 균일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되어 균일도를 확보 할 수 있다. Current controller 같은 추가적인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power를 분배하는 transmission line을 coaxial 형태로 설계하고 같은 길이로 병렬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ICP소스에서 균일한 플라즈마를 방전시킬 수 있었다. Power generator에서 보는 각 ICP의 total impedance는 각 ICP 소스의 impedance와 coaxial 형태의 transmission line의 characteristic impedance, frequency, 길이의 함수로 구할 수 있고, 이 total impedance가 일정하기 때문에 current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 ICP소스에 균등한 power 분배가 가능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ICP 소스의 impedance는 플라즈마 방전 유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Transmission line의 characteristic을 사용함으로써 ICP의 impedance의 변화에 상관없이 Total impedance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균등한 power 분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했다. Frequency는 13,56MHz, characteristic impedance를 $50{\Omega}$ (coaxial cable)으로 고정하고, ICP 소스의 플라즈마 방전 유무/antenna turn/소스 위치에 따른 total impedance를 transmission line의 길이에 따라 측정하고, 이를 이론값, 그래프와 비교하였다. 특정 length에서 플라즈마 방전 유무(ICP의 impedance 변화)와 상관없이 비교적 일정한 total impedance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 했다. 이것은 특정 길이를 갖는 coaxial형태의 transmission line를 연결하면, total impedance는 플라즈마 방전 유무로 발생하는 ICP의 impedance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각 ICP소스에 균등한 파워 분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이다. 이것을 토대로 frequency에 따라(또는 characteristic impedance에 따라) 균등한 파워 분배가 가능한 coaxial 형태 transmission line의 특정 길이를 구할 수 있고, 대면적 소스에서 균등한 파워 분배를 위한 병렬연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Korean prosodic properties between read and spontaneous speech (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운율적 특성)

  • Yu, Seungmi;Rhee, Seok-Cha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2
    • /
    • pp.39-5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osodic differences in speech types by examining the Korean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in the Korean part of the L2 Korean Speech Corpus (speech corpu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articulation length, articulation speed, pause length and frequency, and the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values of sentences were set as variables and analyzed via statistical methodologi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were structurally different in the form of prosodic phrases constituting each sentence and that the prosodic elements differentiating each speech type were articulation length, pause length, and pause frequenc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speed and articulation length was highest in read speech, explaining that the longer a given sentence is, the faster the speaker speaks. In spontaneous speec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culation length and the pause frequency in a sentence was high. Overall, spontaneous speech produces more pauses because short intonation phrases are continuously built to make a sentence, and as a result, the sentence gets l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