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of Growing Pheasant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상관과 회귀

  • Yang, Y.H.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양영훈 (제주대학교 축산학과) ;
  • 김준 (제주대학교 축산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measurements of the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the age of 0, 4, 8, 12, 16 and 20 wk, and to investigate the regression of the final body weight at the age of 20 wk in selection on the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before 12 wk of age. From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the same age were 0.50~0.83 from females, and 0.57~0.85 from males over all wk of age(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ody weights at hatch and 20 wk of age was 0.44(P<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P>0.05) between the shank length at hatch and body weight at 20 wk of age. The favorable regression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he body weight at the age of 20 wk from both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before 12 wk of age were the models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measurements at hatch and 12 wk of age($R^2$=0.96), with the measurements at 8 and 12 wk of age($R^2$=0.96), and with the measurements at 0, 8 and 12 wk of age ($R^2$=0.96).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에 관한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조기 체중과 정강이 길이가 종꿩으로의 최종 선발주령인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다음과 같았다. 부화시부터 20주령까지 성장기 꿩의 동일주령에서 체중과 정강이 길이는 암꿩에서 0.50~0.83, 수꿩에서 0.57~0.85의 정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부화시 체중은 4, 8 및 12주령의 체중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못했으나 (P>0.05), 부화시 체중과 16 및 20주령 체중과의 상관계수는 암컷에서 0.44(P<0.01) 및 0.44(P<0.01)로, 수컷에서는 각각 0.32(P<0.05) 및 0.30(P<0.05)로 성장말기 체중과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부화시 정강이 길이와 20주령의 체중 사이에는 암수 모두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조기 측정치(12주령 이전)들의 회귀모형들을 검토한 바, 부화시와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 ($R^2$=0.96), 8주령과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R^2$=0.96), 또는 부화시, 8주령 및 12주령시 측정치를 이용한 모형($R^2$=0.97)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