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백초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4초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잎 향기성분 조성과 정유함량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 김상국;김영효;강동균;정상환;이승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4
    • /
    • 1998
  • 본 연구는 방향성 약용작물인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향기 성분 조성과 식물정유 함량을 조사하여 향료업과 관련된 다양한 식품첨가물 또는 향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삼백초의 향기성분은 22종으로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alpha}-cadinol$, patchouene였고 조성은 alcohol류 6종, ester류 1종, ether류 2종, hydrocarbon류 11종, ketone류 1종, fatty acid류 1종이었다. 2. 구릿대의 향기성분은 14종으로 주요 성분은 3-carene, ${\beta}-caryophyllene$, ${\beta}-cubebene$, butylated hydroxy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1종, ester류 1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0종, aldehyde류 1종이었다. 3. 천궁의 향기성분은 16종으로 주요성분은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beta}-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2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2종. furan류 1종이었다. 4. 삼백초, 구릿대 및 천궁 잎의 식물정유 함량은 각각 0.987%, 0.452%, 0.439%로 삼백초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약용식물을 첨가한 어간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Anchovy Sauce Added with Medicinal Herbs)

  • 김영숙;염동민;노승배;김영희;정순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7-376
    • /
    • 2008
  • 우리 식생활에서 기본 조미료의 하나인 한식간장에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기존의 식염수 대신 멸치 발효액을 사용하고 약용식물인 삼백초와 어성초를 5%씩 첨가하여 4개월간 발효시켜 기능성 어간장을 제조하였다. 어간장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총질소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삼백초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삼백초 첨가구, 대조구 순이었으며, 염도는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pH는 초기 pH 5.86에서 4개월 발효 후 대조구의 경우 pH 5.27로, 삼백초와 어성초 첨가구에서는 각각 pH 5.38, 5.54로 감소하였고, 산도는 발효 기간 동안 완만히 증가 하였으나 대조구와 약용식물 첨가구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순고형물 함량은 약용식물 첨가구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발효 중 총균수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발효 3개월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으며 약용식물을 첨가함으로써 총균수가 보다 낮아졌고 특히 어성초의 경우 미생물의 발육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맛과 관련하여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 및 핵산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는데,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는 대조구보다 약용식물 첨가구에서 활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어성초 첨가구 보다는 삼백초 첨가구에서 활성이 높았다. 핵산관련물질로는 발효 4개월 후 ADP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IMP는 발효 3개월째 생성되기 시작하여 삼백초 첨가구에서 10.6 mg%로 가장 많았고 어성초 첨가구는 6.81 mg%, 대조구는 5.32mg% 생성되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삼백초 첨가구가 177.1 mg%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어성초 첨가구는 134.7 mg%로 대조구 171.2 mg%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맛난 맛 관련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삼백초와 어성초 첨가구가 각각 29.2, 34.3 mg%로 대조구 25.9 mg%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어간장에 대해 ACE 저해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삼백초 첨가구는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으나 어성초 첨가구에서 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그 다음 이 삼백초 첨가구로 나타나면서 약용식물의 첨가에 의해 거부감보다는 오히려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시 이용되는 기본 조미료로서 약용식물, 특히 어성초를 첨가한 어간장의 경우 간장자체의 기능은 물론 맛과 기능성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조건과 특성

  • 반소연;김준성;김영찬;구선회;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1.1-111
    • /
    • 2003
  • 삼백초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농도와 추출 시간에 따른 수율, total phenol과 total flavonoid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추출 온도 9$0^{\circ}C$에서 에탄올농도를 증가시키면서 8시간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수율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에탄올농도 40%까지는 증가하다가 60%이상에서는 감소하였고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의 함량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total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40%와 60%에서 큰 차이가 없는 반면 total flavonoid의 함량은 40%에서 더 높았다.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추출수율은 40% 이상에서는 큰 변화가 없어 추출용매의 조건은 40% 에탄올로 선정하였다. 40% 에탄올로 9$0^{\circ}C$에서 24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환류추출하였을 때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추출수율은 4시간 이후 큰 차이가 없었다. 삼백초의 용매추출조건으로는 40% 에탄올, 4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정된다.

  • PDF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침윤 억제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invasive of PM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Saururus Chinensis)

  • 김준호;김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4-591
    • /
    • 2016
  • 삼백초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들은 삼백초 물 추출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및 물(water)과 같은 용매로 분획화하여 사용하였고, 물 분획물의 수득율이 9.25%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S assay, 항염증 활성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NO 생성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 억제는 인간구강편평세포암종 YD-10B 세포에서 RT-PCR과 zymography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MMP-2/-9 활성은 PMA에 의해 YD-10B세포에서 증가하였다. PMA 처리된 YD-10B 세포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증가된 MMP-2/-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도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73.38%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Raw 264.7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의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구강암의 암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삼백초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를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Dressing Preparation from Yogurt Adde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Extract)

  • 황보미향;김현정;유미희;이지원;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6
  • 삼백초 추출물을 0.4%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시 유고형분 함량을 14%, 16%, 18%로 달리하여 pH 및 산도를 측정한 결과 각 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점도의 경우 18%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점도 값을 나타내어 드레싱의 제조시의 발효기질 함량을 18%로 결정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를 첨가한 드레싱의 최적 제조공정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를 위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로 요구르트 첨가량을 (30, 40, 50, 60 및 70 g), 마요네즈첨가량 (6, 12, 18, 24 및 30 g) 소금 (0.1, 0.3, 0.5, 0.7 및 0.9 g)에 대하여 중심합성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각 제조 조건별 색, 향기, 맛, 조직감, 후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최적 제조조건 범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의 최적배합비율은 요구르트 61.20%, 마요네즈 23.50%, 소금 0.58%, honey 11.75%, mustard 1.76%, tabasco pepper sauce 0.23%, white wine 0.94% 및 white pepper 0.04%로 나타났다.

삼백초 지상부의 ROS(Reactive oxygen species) 소거효과 및 물질분리

  • 김윤미;김영찬;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0.2-111
    • /
    • 2003
  • 삼백초 지상부를 탈지후 60% acetone으로 추출하고 이를 극성에 따라 diethyl ether, ethyl acetate, aqueous fraction과 같이 용매분획하였다. 각 fraction의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DPPH radical 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Diethyl ether fraction의 ROS 소거효과가 비교적 강하였으며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은 100ppm에서 86.88%였고,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1ppm에서 85.3%로 나타났다. Hydrogen peroxide,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fraction이 강하게 나타났다. Diethyl ether fraction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HPLC에 의하여 수 종의 성분을 분리하였으며 현재 구조동정과 이들의 LDL산화억제 효과 시험 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