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림

Search Result 56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mountain village problems for making forest resources - with Kangwon province as the central region - (삼림자원화(森林資源化)를 위한 산촌문제연구(山村問題硏究) -강원도(江原道)를 중심으로-)

  • Kwon, O-Bok;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9 no.1
    • /
    • pp.19-32
    • /
    • 1993
  • Domestic timber comsump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ast few decades in this country. In addition,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recreational opportunities in the forest areas and concern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soil conserv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se demands for forest resources because many of woodland owerners who make such demands possible move from mountain villages to modern cities. Therefore, whether or not it is in the public interest to invest in rurbanization is a central policy question. This is a case study which deals with mountain village problems for making forest resources.

  • PDF

Fire-Induced Forest Disturbance Mapping by Using QuickBird Imagery (QuickBird 화상을 이용한 산불 삼림교란도 작성)

  • Kim, Choe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5 no.1
    • /
    • pp.85-9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capability to use QuickBird imagery for effects of forest disturbance in Okgye burned area. Particular attention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NBR-derived mapping burn severity on QuickBird imagery to locate reliable rehabilitation(namely, secondary succession) over postfire surface. Comparisons of the mapping forest disturbance derived from QuickBird NBR data and the mapping burn severity derived from Landsat ${\Delta}NBR$ data show substantial agreement (KHAT value =0.7886). The method calculat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QuickBird wetness and Landsat ETM+ band7 may have application to forest harvest disturbance.

신첨성대 - 삼림과 우리생활

  • Jeon, Sang-G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9 s.340
    • /
    • pp.22-23
    • /
    • 1997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65%가 산으로, 이 삼림은 우리에게 많은 자원을 공급해 주고 있다. 삼림은 물을 저장하는 탱크역할을 해 홍수를 막아주고 오염된 빗물과 공기도 정화해주고 있으며 목재를 공급해 주고 있어 연간 34조원에 달하는 해택을 우리에게 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산에 나무를 심고 인내를 갖고 정성들여 가꾸는 정신을 가져야 하겠다.

  • PDF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삼림토양(森林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Joo, Yeong Teuk;Kim, Young Ch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3
    • /
    • pp.280-285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id deposition on forest soil, major five Korean forest soils(Brown, Dark red, Gray brown, Red and Yellow, and Volcanic ash forest soils)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receive 1200mm($100mm{\times}12$ times) of artificial acid rain adjusted to pH5.6, 4.0, 3.0 and 2.0. The results obtained of major importance are summarized as follow ; 1. Ca appeared mostly affected at pH treatment of 2.0, while less affected by other pH treatments. Leaching of Ca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artificial acid rain acidity and application times in Dark red forest soil. 2. In the cases of Mg, K and Na, they showed gradual increase with the addition of artificial acid rain. Mg and Na losses showed similar leaching patterns, but they didn't show difference among the five forest soils. 3. Exchangeable canon concentrations in the soil leachates, which looked slightly different among the five forest soils, were the highest in pH2.0 treatment. Hydrogen ion comsumption capability by exchangeable canon was the highest in Dark red forest soil followed by Volcanic ash, Red and Yellow, Gray brown and Brown forest soils when artificial acid rain were treated.

  • PDF

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대기오염이 삼림에 미치는 영향 : 피해현황과 원인을 중심으로)

  • Binkley, Dan;Son, Yowhan;Kim, Zin Su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2
    • /
    • pp.229-238
    • /
    • 1994
  • Issues of declining growth and vigor in forests are major concerns in many area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response to predictions in the 1980s of widespread forest declines. This paper summarizes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for forest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East Asia. Forest declines near point-sources of pollution(such as metal smelters) have been well recognized for a century, but evidence of widespread impacts away from point-sources remains relatively uncommon. In North America, significant forest decline has resulted from high concentrations of ozone near Los Angeles, California, and around Mexico City. Some high-elevation forests of red spruce in the eastern U.S. have declined in the past 20 years ; evidence indicates a role of low-pH fog in reducing they cold-tolerance of spruce. In Europe. most attention has focused on Norway spruce stands that developed yellow foliage, needle loss, and in some cases mortality. This syndrome appears to be related generally to an inadequate supply of magnesium, perhaps coupled with a very high supply of nitrogen. Despite localized areas that show declining trees, overall stand growth and standing biomass in Europe increased from. 1970 to 1990. Muc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East Asia. Many industrialized regions in China have a pH of rain <4.5, and some connections between pollution and forest decline have been suggested. Pollution impacts on forests near cities in Korea include needle chlorosis, reduced needle retention, and declining species diversity. Overall, temperate forests show no widespread declines, and no evidence of substantial effects of pollutants on forest growth or vigor. Small areas showing declining forests may indeed demonstrate pollution impacts, and may provide cause for concerns about future impacts on larger areas.

  • PDF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삼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한반도 자연 식생의 기후변화 적응성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Matsuoka, Yuzur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5
    • /
    • pp.383-393
    • /
    • 2003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향후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1^{\circ}C$에서 $3.5^{\circ}C$ 상승할 경우, 각 기후대가 극방향으로 약 150~550km 이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기후변동 연구결과들은 삼림의 이동속도를 100년간 4~200km로 추정하고 있어 식생이 기후대의 이동을 따라가지 못하여 사멸되는 지역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약 960km의 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성을 가진 한반도 역시 이러한 영향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기존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함께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한 영향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IPCC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RES 시나리오의 대기대순환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 결과와 AIM(Asia Integrated Model)/Impact[Korea]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된 Holdridge 생물기후분류의 연구성과를 이용하여, CO2농도 배증시의 한반도지역의 자연식생 영향과 적응 가능성을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삼림의 이동속도를 0.25, 0.5, 1.0, 2.0(km/yr)로 변화시키며 2100년 한반도 자연식생의 기후 변화 영향을 평가한 결과, (1)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년간 1km 이상일 경우 삼림 피해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2) 이동이 느린 0.25km/yr의 경우, 생육위험지역을 포함한 시나리오별 전체 피해규모는 A2(17.47%), A1(9.97%), B1(6.21%), B2(5.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삼림소멸의 경우는 A2, B2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며 A2 시나리오에서 한반도의 약 2.1%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3) 전반적인 생육위험 지역의 분포는 함흥만, 영흥만의 동해안지역에 집중되었으며, A2 시나리오의 극단적 소멸예상지역은 금오산, 가야산, 팔공산을 연결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