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삼림토양(森林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주영특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임학과) ;
  • 김영채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임학과)
  • Received : 1994.01.19
  • Published : 1994.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id deposition on forest soil, major five Korean forest soils(Brown, Dark red, Gray brown, Red and Yellow, and Volcanic ash forest soils)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receive 1200mm($100mm{\times}12$ times) of artificial acid rain adjusted to pH5.6, 4.0, 3.0 and 2.0. The results obtained of major importance are summarized as follow ; 1. Ca appeared mostly affected at pH treatment of 2.0, while less affected by other pH treatments. Leaching of Ca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artificial acid rain acidity and application times in Dark red forest soil. 2. In the cases of Mg, K and Na, they showed gradual increase with the addition of artificial acid rain. Mg and Na losses showed similar leaching patterns, but they didn't show difference among the five forest soils. 3. Exchangeable canon concentrations in the soil leachates, which looked slightly different among the five forest soils, were the highest in pH2.0 treatment. Hydrogen ion comsumption capability by exchangeable canon was the highest in Dark red forest soil followed by Volcanic ash, Red and Yellow, Gray brown and Brown forest soils when artificial acid rain were treated.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pH2.0, 3.0, 4.0, 5.6)의 투수(透水)($100ml{\times}12$회(回))매험(賣驗)에 의(依)한 우리나라 주요(主要) 삼림토양(森林土壤)(갈색삼림토양(褐色森林土壤)(B), 암적색삼림토양(暗赤色森林土壤)(D R), 회갈색삼림토양(灰褐色森林土壤)(GrB), 적황색삼림토양(赤黃色森林土壤)(R Y), 화산회삼림토양(火山灰森林土壤)(Va))별(別) 치환성(置換性) 염기(鹽基)의 용탈변화(溶脫變化)와 그에 따른 영향(影響)을 분석검토(分析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토양(土壤) 침출액중(侵出液中)의 용출(溶出) Ca 농도(農度)는 각(各) 공시토양(供試土壤) 공(共)히 pH2.0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으며 처리(處理) pH 값이 낮아질수록 용탈농도(溶脫農度)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였다. 또 암적색(暗赤色) 삼림토양(森林土壤)에서는 pH2.0 처리(處理)를 제외(除外)하고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2. Mg의 용탈(溶脫) 양상(樣相)은 pH 처리간(處理間)에 완만(緩慢)한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였다. K 용탈변화(溶脫變化)는 처리(處理) 초기(初期)부터 처리(處理) 회수(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점차(漸次)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의 pH가 낮을수록 K의 용탈(溶脫)은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고, 공시토양간(供試土壤間)의 차이(差異)는 적게 나타났다. Na의 용탈(溶脫)은 Mg과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pH 처리간(處理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암적색(暗赤色) 삼림토양(森林土壤)에서 가장 큰 용탈량(溶脫量)을 나타냈다. 그리고, 적황색(赤黃色) 산림토양(山林土壤)에서는 치환성(置換性) 염기중(鹽基中) Na의 용탈(溶脫)이 가장 많았다. 3. 토양(土壤) 침출액(侵出液)의 각종(各種) 치환성(置換性) 염기(鹽基) 농도(農度)는 공시토양간(供試土壤間)에 다소(多少)의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나 이들 공(共)히 pH2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고 pH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여 pH5.6의 경우(境遇)에 있어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各) 공시토양(供試土壤) 중 치환성(置換性) 염기(鹽基)에 의(依)한 수소이온 소비능력(消費能力)이 가장 큰 삼림토양(森林土壤)은 암적색(暗赤色) 삼림토양(森林土壤)이었고, 그 다음이 화산회(火山灰) 삼림토양(森林土壤), 적황색(赤黃色) 삼림토양(森林土壤), 회갈색(灰褐色) 삼림토양(森林土壤), 갈색(褐色) 삼림토양(森林土壤)의 순(順)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