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티아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건축의 텍토닉 특성과 빛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Tectonic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of Santiago Calatrava and the Role of Light)

  • 김창성
    • KIEAE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79-86
    • /
    • 2015
  • Purpose: The concept of the tectonic has researched to find out the identify of modern architecture. The meaning of traditional tectonic knowledge to emphasize structural joints and attention to detail in creativity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ctonic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expressions of the light appeared in the works of Santiago Calatrava. Major features in his works could be found is to maximize structural beauties through deducing the architectural images from the nature and expressing the material properties and the kinetic structures, and thus, to ultimately create the functional space and form by connecting the light to the tectonic structure. Method: Accordingly, I tried to analyze the three works of Santiago Calatrava (the Milwaukee Art Museum, the Bodegas Ysios Winery and the City and Arts and Sciences) as following categories - the structural aesthetics, the expression of material proper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 kinetic structures and the light.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antiago Calatrava tried to create his own architectural aesthetic by combining structural tectonic with nature, material, regional place and culture. He also sought to express the tense and dynamic tectonic rather than the stable one in his works.

현대 구조적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구조미의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 - 산티아고 칼라뜨라바의 건축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ression methods for structural aesthetics in modern fashion design - Focu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antiago Calatrava -)

  • 이연지;엄소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5호
    • /
    • pp.737-754
    • /
    • 2015
  • The structural aesthetics of architecture are becoming an inspirational source for many fashion designers and have been reborn in structural fashion. This study planned to analyze the method of expression of structural aesthetics expressed in modern structural fashion desig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o maximize such an effect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Santiago Calatrava as the representative architect of the structural aesthetic. According to the study, the structural aesthetics expressed in modern structural fashion design are as follows: 1) The symbolical formative aesthetic expressed by symbolical inference and analyzation; 2) the dynamic beauty of physic expressed by visual emphasis and dynamics; and 3) the asymmetric beauty of symmetry expressed by metastasis toward the boundary between balance and imbalance. In addition, to maximize structural aesthetics, we used repetition and a progressive technique based on rhythm, asymmetry, and incision-based variances, such as balance, polygon flux, and inference, and analyzation-based distortion as the structuring principle. The following expression methods for maximizing structural aesthetics were found: 1) symbolical and structural exaggeration of appearance; 2) detail technique expansion and material property diversification; and 3) the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of structure and shell expression. Structural fashion design was found to have maximized structural aesthetics by using such expression methods to secure artistic esthetics, destroy existing shapes and patterns, and create unique shapes.

밀워키미술관 신·증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과 쟁점 (Spatial Features and Issu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Milwaukee Art Museum)

  • 이승엽;변나향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07-115
    • /
    • 2019
  • This research explores a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Milwaukee Art Museum from its establishment to the third expansion over the last six decades. After established in 1957 by the architect, Eero Saarinen, this museum underwent three expansions led by three different architects including, David Kahler, Santiago Calatrava, and James Shields. Reasons for expanding the museum were varied. A lack of exhibition space, an absence of visual identity, and path interruption problem within urban contexts were the main factors of a series of expans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points out that there are three issues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The first is connection issues between the downtown and the lakefront in which the museum has blocked the public flow. The second, there were controversies on the allocation of the expanded space among the main body of the decision including architects, curators, and stakeholders. The last one is relationships among architects. This is related to each architect's attitude toward the museum. Drawing on historical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the regional architects, I argue that the identity and values of the museum have changed over time through the expansions rather than having the invariable.

멕시코 과나하토주의 호야산 니콜라스 지역에서 있었던 홀로세 환경변화와 인간의 영향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Impact in Hoya San Nicolas, Guanajuato, Mexico)

  • 박정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1-5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중부 멕시코 바히오 지방에 위치한 바예 데 산티아고 시의 마르 호수 중 하나인 호야 산 니콜라스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여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마르 호수 퇴적물은 고해상의 고환경 복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화분, 동위원소, 지화학적 분석 등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11,000년 전에서 8,900년 전까지 기후는 건조하였고, 8,900 년 전부터 7,000 년 전까지는 습했으며, 7,000년 전부터 4,000 년 전까지 건조하였고, 4,000년 전부터 현재까지는 다시 습했다. 두 건조한 기간(ca. 11,000 - ca. 8,900 cal yr B.P., ca. 7,000 - ca. 4,000 cal yr B.P.)에 소나무 화분이 비율이 아주 높게 나온다. 이는 건조한 기후로 호수가 마르면서 전체적으로 화분이 파괴되었음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가장 단단한 화분중의 하나인 소나무 화분은 건조한 상태에서 다른 화분보다 상대적으로 잘 버티므로 소나무 화분의 높은 비율은 기후가 건조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두 건조 시기에는 호숫물이 말라 퇴적이 중단된 기간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증산 순례길 제언 (A Proposal of Jeungsan Pilgrimage Way)

  • 김진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131-163
    • /
    • 2018
  • 순례는 거의 모든 주요 종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전통적으로 외적으로는 성스러운 장소로, 내적으로는 정신적인 목적과 내적 이해를 위한 종교적 여행으로 정의되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순례와 종교 관습 간의 관계는 추상적 차원의 거의 모든 종류의 여행, 심지어는 연차휴가와 같이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여행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다시 말해, 현대의 순례자들은 많은 다양한 이유로 여행을 시작하므로, 순례는 사실상 역사적인 성소에 신앙을 목적으로 한 방문으로 그 의미를 제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순례를 관광의 일부로 간주하려는 시각이 문화콘텐츠나 관광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실용학문 분야에서 대두하고 있다. 순례를 종교적 제의로서가 아니라 종교관광으로 분류하려는 시도가 빈번한데, 그것은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시장이기 때문이다. 순례를 경제적 가치의 측면에서 바라보려는 시각은 결과적으로 종교를 세속주의(secularism)의 조류 속에 포함하는 행위이며 한국에서 걷기 열풍을 타고 유행처럼 번져가는 '길'의 경험과 순례를 동일 선상에 놓음으로써 순례길의 경험이 던져주는 종교성(religiosity)을 포함한 고귀한 인간 정신은 자칫 길을 잃을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순례의 내적 의미를 추구하고 변화와 개인적 성장을 희망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정신의 이동 통로이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대순진리회의 지고신인 강증산의 순례길 개발을 제언하고자 한다. 증산 순례길은 단순히 장소의 성스러움을 만나기 위한 여행으로, 그리고 종교적 기억과 회상의 공간으로만 한정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성지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거나 분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