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지구분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79초

국가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생성 (Effective Procedures of DEM Generation from National Digital Topographic Maps)

  • 황철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9-336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치지형도에서 수치고도모형(DEM)을 개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DEM의 정확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삽법의 과정을 지형적 유형(평지.계곡.산지)과 공간적 표본추출법(체계적추출법.군집형무작위추출법.복합점진적표본추출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RMSE의 측정을 통해 크리깅 내삽법이 지형의 기복에 산관없이 정확도를 유지함녀서 DEM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표본추출법에 따라 공간적 표본 밀도를 달리한 낮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복합 점진적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DEM의 정확도는 다른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그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반면에 계산상의 효율성이 다른 방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보였다.

  • PDF

태풍 나크리에 대한 한라산의 최대 강수 지점 탐색 (Investigation for the maximum precipitation region in Hallasan Mountain during the Typhoon Nakri 2014)

  • 구정모;강민석;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3-523
    • /
    • 2015
  • 2014년 제12호 태풍 나크리(Nakri)의 영향으로 한라산 윗세오름에는 2014년 8월 2일 하루 동안 총 1,182 mm의 강수량을 보였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관측된 가장 높은 강수량이다. 한라산 윗세오름의 해발고도가 1,673 m이므로 강수의 산지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한라산의 다른 지점에서도 최대 강수가 관측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주도에는 23개의 지상강우관측소만이 설치되어 있어 강수량을 공간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레이더(성산과 고산)와 우량계 자료를 이용하여 나크리 호우사상에 대한 최대 강수 지점을 탐색하였다. 먼저, 레이더 반사도의 고도를 해수면으로부터 250 m 간격으로 2,000 m 까지 구분하였다. 또한 각 구간에 해당되는 레이더 자료와 AWS 자료를 이용하여 Z-R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Z-R 관계식을 제주도 전역에 적용하여 최대 강수가 발생한 지점을 파악하고, 아울러, 제주도 전역에 내린 총 강수량을 추정하였다.

  • PDF

묘지의 분광적 특성과 통계적 분류 (Spectral Signatures of Tombs and their Classification)

  • Eunmi Change;Kyeong Park;Minho Kim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83-296
    • /
    • 2004
  • 화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묘지의 면적증가는 계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국토공간 가운데 산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사상추출(feature extraction)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묘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묘지의 반자동 혹은 자동추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묘지의 통계적인 분광특성과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IKONOS 영상을 이용하였다. 연구지역 내에서 24개의 대상묘지를 선정하여 해당 묘지의 통계적 분광특성을 조사하고, 경관 식생지수 군집분석 등에 의한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사면이나 경사도가 묘지의 유형구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식생지수와 군집분석에 의한 유형구분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사면이나 경사도는 묘지의 유형구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의 천연묘 기준화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Method of Wild Seedlings of Abies koreana E.H. Wilson on Mt. Hallasan)

  • 최임준;이종원;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73
    • /
    • 2019
  • 전나무속(Abies Miller, 1754)은 지구상에서 북반구를 중심으로 50여 종이 현존하고 있다. 전나무속은 주로 높은 고도의 산지 또는 수목 한계선 주변에 자연적 분포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전나무(A. holophylla), 분비나무(A. nephrolepis) 및 구상나무(A. koreana), 총 3종이 자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 자생하는 3종의 경우도 쇠퇴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산식물인 한라산의 구상나무는 IUCN Redlist 상의 'Threatened species' category 종으로 등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상나무 어린 나무(치수)의 수가 급격히 줄어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직면한 '저출산 고령화 사회'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구상나무의 어린 나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게다가 선행연구에서도 어린 나무의 기준이 모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상나무 등 국내 자생하는 구상나무 천연묘의 기준을 정립하여 추후 진행되는 구상나무 등 전나무속 어린 나무에 관한 연구에 표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국내.외 소나무과 어린나무에 관한 논문을 정리 및 분석하였고, 구상나무 어린나무가 자생하는 숲의 구조(제주조릿대 등) 및 환경(암석노출도) 등)에 적절한 높이와 아린흔의 갯수를 참고로 기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준안은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구상나무 어린나무 3,138개체의 높이 및 아린흔 갯수를 토대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우선, 높이에 대한 기준은 1년생묘(당해묘, 5cm 미만)-유묘(5cm~10cm 미만)-성묘(대묘, 10cm~30cm 미만)-치수(30cm~100cm 미만) cf.전생치수-유목(100cm 이상) 5단계로 구분되었다. 아린흔 갯수에 대한 기준도 또한 1년생묘(1개)-유묘(2개~6개)-성묘(대묘, 7개~15개)-치수(16개~20개) cf.전생치수-유목(21개 이상) 5단계로 구분되었다.

  • PDF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urce areas of stone-built cultural properties in the Gyeongju area)

  • 조기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0-452
    • /
    • 2005
  • 경주지역의 화강암은 남산의 알칼리장석화강암과 토함산의 화강암섬록암으로 세분할 수 있다. 경주지역은 이들의 화강암재질의 암석을 석재로 한 석조문화재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석조문화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풍화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원형을 잃어가고 있어 그 보존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보존과 복원을 위해서 석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나 문화재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비파괴검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자연 상태의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암석을 구분하는 감마스펙트로미터 분석은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이 될 수 있다. 석조문화재가 분포하는 주변 산지인 남산과 토함산의 화강암철 암석에 대한 육안관찰과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변산지의 지형경관 분석결과 절리, 토르, 핵석 등이 석재 채취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마스적트로미터 분석 결과 불국사 내의 다보탑, 석탑, 연화 칠보교, 청운 백운교 등과 나원리 5층석탑은 토함산이 아닌 남산에서 화강암이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굴암의 석재는 토함산에서 채취한 화강섬록암과 동일한 암석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 충북 중.북부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류 삼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spp.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of Middle and Northern Parts,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김헌규;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07-214
    • /
    • 2005
  •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 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시루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졸참나무-상수리나무하위단위(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group), A-2. 신갈나무하위단위(Quercus mongolica group), B. 신갈나무-철쭉군락(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 떡갈나무-홀아비꽃대군락(Quercus dentata-Chloranthus japonicus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각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HPLC에 의한 꿀 중의 당조성 분석과 화학계량학적 고찰 (Chemometric Aspects and Determination of Sugar Composition of Honey by HPLC)

  • 윤정현;배선영;김건;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10권5호
    • /
    • pp.362-369
    • /
    • 1997
  • HPLC를 이용하여 생산지와 밀원꽃이 알려진 5종의 꿀 중 당성분을 분석한 다음 화학계량학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꿀의 주된 당성분은 fructose, glucose였으며, 1종의 꿀에서는 sucrose가 소량 검출되었다. 산지별, 밀원꽃별로 당 함량을 비교하였다. Fructose/glucose 함량비는 0.99~1.55 범위로서 문헌값과 잘 일치하였다.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PCA) plot은 산지별, 밀원꽃별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주성분점수가 커질수록 당 함량이 증가되었고 fructose/glucose 함량비는 감소되었다. 화학계량학적 접근방법은 꿀시료의 당조성 패턴을 비교하고 품질평가 및 부정화 적발에 유용하였다.

  • PDF

미시령(彌矢嶺) 용촌천(龍村川)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in Yongcheon River)

  • 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3-34
    • /
    • 1990
  • 산지유역(山地流域)에 있어서의 토석이동(土石移動)은 체류과정(滯留過程)과 이동과정(移動過程)으로 구분되며, 과거로 부터의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현재의 지표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여기서 원인이란 단위시간 안에서 유역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인 지형(地形), 지질(地質), 기후(氣候), 식생(植生), 토지이용(土地利用) 등을 의미하며, 결과란 유역(流域)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山沙汰), 땅밀림, 하상변동(河床變動) 등을 말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인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있어서 상기 원인중 지형(地形)(하천징지형(河川徵地形))과 식생(植生)(동령임분(同齡林分))을 분석하여 결과로서 존재하는 하상변동(河床變動)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하였다. 그 결과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침입수목의 연륜해석(年輪解析)으로부터 하상변동(河床變動)에 대한 공간적(空間的)(퇴적고(堆積高)) 시간적(時間的)(체류기간((滯留期間)) 분포(分布)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하여 유역간(流域間) 또는 구간간(區間間)의 지표변동(地表變動)의 특성(特性)을 시(時) 공간적(空間的)으로 해석하므로서 보다 객관적인 방재대책(防災對策)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 비교 (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table Isotopes of Seeds between Wild Simulated Ginseng and Cultivated Field Ginseng)

  • 최명섭;김선희;박찬열;김남영;신진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57-362
    • /
    • 2008
  •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를 비교하였다. 산양삼 10개 산지와 인삼 2개 산지에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의 길이, 폭, 두께, 그램당 립수를 측정하였으며, 탄소, 질소 안정성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산양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비는 지역간에 중복되는 변이를 나타냈다. 금산지역의 산양삼과 인삼을 비교한 결과, 산양삼 종자는 인삼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웠으며, 질소 동위원소비는 산양삼 종자에서 낮았다. 유사한 지역 환경에서 산양삼과 인삼 종자는 형태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양삼 종자의 질소 동위원소비는 경작 유형을 반영하였으나, 지역간 절대적 비교는 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