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table Isotopes of Seeds between Wild Simulated Ginseng and Cultivated Field Ginseng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 비교

  • Choi, Myoung Sub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hee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Chan Ryul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Namyoung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Jinsub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명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김남영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 신진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Received : 2008.04.23
  • Accepted : 2008.09.25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We compa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table isotopes of seeds of wild simulated ginseng with those of cultivated field ginseng. Seeds were collected from ten areas for wild simulated ginseng and two areas for cultivated field ginseng. The length, width, thickness and number of seeds per gram were measured and the ratio of stable isotopes of carbon and nitrogen was analysed as well. There was a overlapping vari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ratio of stable isotope of the wild simulated ginseng among study areas. In Geumsan area, compared with the seed of cultivated field ginseng, the seed of wild simulated ginseng was significantly small and light, and the ${\delta}^{15}N$(‰) of wild simulated ginseng was lower than that of cultivated field ginseng. However, it is somewhat impossible to compare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 unique value of ${\delta}^{15}N$(‰) among study areas of wild simulated ginseng. We can suggest the value of ${\delta}^{15}N$(‰) can be used as detection factor for cultivation regime like chemical fertilization and organic farming.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를 비교하였다. 산양삼 10개 산지와 인삼 2개 산지에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의 길이, 폭, 두께, 그램당 립수를 측정하였으며, 탄소, 질소 안정성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산양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비는 지역간에 중복되는 변이를 나타냈다. 금산지역의 산양삼과 인삼을 비교한 결과, 산양삼 종자는 인삼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웠으며, 질소 동위원소비는 산양삼 종자에서 낮았다. 유사한 지역 환경에서 산양삼과 인삼 종자는 형태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양삼 종자의 질소 동위원소비는 경작 유형을 반영하였으나, 지역간 절대적 비교는 할 수 없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국내외 장뇌삼의 산지 식별 기술개발

Supported by : 농림기술관리센터

References

  1. 곽상만. 1988. 인삼재배기술법. 부민문화사. 254p.
  2. 권기록, 서정철. 2004. 산삼과 장뇌삼 중 고려삼과 서양삼의 Pyrosequencing 법에 의한 감별. 대한본초학회지 19(4): 45-50.
  3. 김용환. 2005. 인삼 및 장뇌삼 등 전문용어 혼란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산삼학회지 1(1): 1-18.
  4. 박광래, 최재성, 백형진, 김원일, 정구복, 윤순강, 조진규. 2003. 일본 노지채소 집약 재배지역 토양 침출수 중의 $NO_3$-N 농도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자연존재비($\delta^{15}$N).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6(3): 119-126.
  5. 서정철, 임강현, 한상원. 2004. 고려인삼과 서양삼의 Pyrosequencing 법에 의한 감별. 대한본초학회지 19(2): 199-203.
  6. 우수영, 이동섭. 2002. 임상별 임간인삼의 생육과 최적환경에 관한 연구(I).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2): 65-71.
  7. 우수영, 이동섭. 2005. 산양삼의 임상별 광합성능력, 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산삼학회지 1(1): 61-71.
  8. 유병삼, 장문식, 변상요. 2003. 산삼과 재배인삼의 세포배양 및 Ginsenoside 생성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8(2):133-139.
  9. 이동호. 2005. 안정 동위원소를 이용한 육상 생태계의 물과 탄소의 순환 연구: 재검토. 한국농림기상학회지 7(1):15-27.
  10. 이호재, 유병삼, 변상요. 2000.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유리 아미노산 비교. 한국생물공학회지 15(3): 323-328.
  11. 장철수. 2005. 장뇌삼 산업부문에 있어서 생산이력제의 도입 필요성과 정책과제. 한국산삼학회지 1(1): 19-31.
  12. 한영채. 1981. 인삼과 산삼. 서울. 창조사. 416p.
  13. 한원식, 이병선, 정성욱, 우남칠. 2003. 무주지역 안정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춘계학술대회. 2003. 4.18-19. 경원대학교.
  14. 허우덕, 하재호, 남영중. 1992. 탄소 동위원소 분석에 의한 벌꿀의 품질평가법에 관한 연구.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5(2): 229-234.
  15. Fenilli, T.A.B, Reichardt, K., Bacchi, O.O.S, Trivelin, P.C.O. and Dourado-neto, D. 2007. Annals of the Brazilian Academy of Sciences 79(4): 767-776. https://doi.org/10.1590/S0001-37652007000400015
  16. Junk, G. and Svec, H. 1958. The absolute abundance of the nitrogen isotopes in the atmosphere and compressed gas from various source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4: 234-243. https://doi.org/10.1016/0016-7037(58)90082-6
  17. Kreitler, C.W. and Jones, D.C. 1975. Natural soil nitrate: the cause of the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in runnels county, Texas. Ground Water 13(1): 53-62. https://doi.org/10.1111/j.1745-6584.1975.tb03065.x
  18. Kreitler, C.W. 1979. Nitrogen-isotope ratio studies of soils and groundwater nitrate from alluvial fan aquifers in Texas. Journal of Hydrology 42(1-2): 147-170. https://doi.org/10.1016/0022-1694(79)90011-8
  19.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37p.
  20. Mizuno, M., J. Yamada, and H. Terai. 1994. Differences in immunomodulating effects between wild and cultured Panax ginseng. Biochemical and Biophysci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3): 1672-1678. https://doi.org/10.1006/bbrc.1994.1644
  21. SAS Institute Inc. 1985.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s, Version 8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378p.
  22. Shin, Y.S., Bang, K.H., In, D.S., Kim, O.T, Hyun, D.Y., Ahn, I.O., Ku, B.C., Kim, S.W., Seong, N.S., Cha, S.W., Lee, D., Choi, H.K. 2007. Fingerprinting analysis of fresh ginseng roots of different ages using $^1H$-NMR spectroscopy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0(12): 1625-1628. https://doi.org/10.1007/BF02977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