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Change of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Forest Fire

산불 피해지 토양침식량의 장기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

  •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 ;
  • Jeong, Won-O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원옥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Received : 2008.01.14
  • Accepted : 2008.07.02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amount of soil erosion by comparisons between burned and unburned area after forest fire.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burned area was more high 11.2 times in year of fire, 8.4 times in 1 later year, 2 times in 5 later year and 1.3 times in 10 later year than in unburned area. The ratio of soil erosion in burned area was reduced to 98% of 10 later year as compared to the year of fire. Therefore, the soil erosion in the burned area almost tended to stabilization like unburned area passing ten year after forest fire. The most affecting factors on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burned and unburned area were unit rainfall, number of unit rainfall and number of rainfall accumulated.

산불 발생 후 시간경과에 따른 산불피해지의 토양침식량의 변화과정 및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비피해지와 비교분석하였다. 산불발생 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침식량은 산불 당해연도 11.2배, 1년경과 후 8.4배, 5년경과 후 2배, 10년경과 후에는 1.3배 정도 산불피해지가 비피해지 보다 더 많은 침식량을 보였다. 산불피해지의 토양침식률은 10년경과 후 산불 발생 당해연도와 비교하여 98% 정도 감소하여 산불발생 후 10년이 경과하면 산불피해지의 토양침식량은 비피해지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회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불피해지 및 비피해지의 토양침식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단위강우량, 단위강우횟수, 누적강우횟수 등 강우인자가 중요한 영향 인자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2. 산불로 가중되는 재해요인 저감대책. 65-94.
  2. 국립방재연구소. 2003. 산지지역 우수 및 토사유출량 관측 및 저감대책 수립. 29-91.
  3. 박상덕, 신승숙, 심관섭. 2002. 산불지역 토사유출에 대한 와지의 기능에 관한 연구. 국립방재연구소 4(1): 121-130.
  4. 박상덕, 신승숙, 이규송. 2005.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 한국수자원학회지 38(1): 59-71.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059
  5. 李昶雨, 李天龍, 金在憲, 尹豪重, 崔敬. 2004. 高城 산불被害地의 土砂流出 特性. 한국임학회지 93(3): 198-204.
  6. 李憲浩, 朱在德. 2006. 인공강우장치를 이용한 산불발생지의 지표유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3):350-257.
  7. 우보명, 이헌호. 1989. 황폐산지에서의 산불이 산림식생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V). 한국임학회지 78: 302-313.
  8. 임업연구원. 1996. 고성 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보고서. 산림청 임업연구원. 169p.
  9. 정원옥, 마호섭. 2001. 산불발생지의 표면유출수와 토양침식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 1-9.
  10. 岩崎勇作, 村井 宏, 石井正典. 1982. ライシメタによる地被別の水土流出試驗(II) - 林木 牧草および裸地區の流出量と土壤水分の比較 - 日林構 93: 431-434.
  11. 恩田浴一, D. Berkeley and L. Collins. 1997. 山火事後の表面流發生と土壤侵蝕. 平成9年度砂防學會硏究發表會槪要集 168-169.
  12. 村井 宏, 岩崎勇作. 1975. 林地の水および土壤保全機能に關する硏究 - 地床かく亂が土 地表流下. 浸透および浸蝕に及ぼす影響と林地の保全策. 林試硏報 274: 1-23.
  13. Adams, P.W. and C.W. Andrus. 1991. Planning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to reduce soil water problem in humid tropic steeplands. Proceedings forest harvesting in southerns asia. 24-31.
  14. Andreu, V., Imeson, A.C. and Rubio, J.L. 2001. Temporal changes in soil aggregates and water erosion after a wildfire in a Mediterranean pine forest. CATENA. Elsevier Science B.V. 80-82.
  15. Hibbert, A.R. 1985. Storm runoff and sediment production after wildfire in Chaparral.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in Arizona and the Southwest, AWRA: Las Vegas, NV. 31-42.
  16. Jeong, Y.H., Watahiki., S.K. Kim., H. Nakao and K. Takeshita. 1992. Study of the recovery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the effect of topographical and soil factors in devastated forest land. Journal of Faculty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36: 279-300.
  17. Krag, P., K. Higginbotham and R. Rothwell. 1986. Logging and soil disturbance in southeast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y Research. 16: 1345-1354. https://doi.org/10.1139/x86-238
  18. Mazza, R. 2007. Managing forest after fire. Science Update 15 USDA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1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