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성지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5초

산성전리수에 의한 환경위생미생물의 성장억제 (Inhibition of hygienic microbial growth by anodic electrolyzed water)

  • 박혜린;김윤경;이종권;류근걸;이윤배;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32-23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성전리수가 환경위생관련 미생물군의 제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매개체인 사람 손을 대상으로 하여 산성전리수의 미생물 제어력을 비누와 알콜의 미생물 제어력과 비교하였다. 손을 산성전리수로 세정한 후 잔존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였을 때 비누로 세척했을 때 보다 훨씬 탁월한 미생물 제어력을 보여주었다. 이때 산성전리수에 의한 손의 미생물 제어력은 소독용 알콜에 의한 미생물 제어력과 거의 비슷하였다. 산성전리수를 사용하여 걸레를 세척한 경우에도 락스 희석액으로 걸레를 세척한 것과 유사한 완벽한 미생물 제어력을 보여주었다. 작업장의 공중낙하균에 대한 산성전리수의 미생물제어력을 조사했을 때도 산성전리수는 강력한 미생물 제어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성전리수가 환경위생미생물군에 대한 강력한 제어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환경위생 세정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제올라이트 종류에 따른 유리지방산 제거 특성 (Removal of Free Fatty Acid in used oil on Zeolite Catalysts)

  • 장덕례;오성화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5
    • /
    • 2008
  • 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 생산관점에서 폐유지로부터 환경친화적인 연료인 바이오디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폐유지내 함유된 유리지방산 및 수분에 의해 효율적인 에스테르화 반응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전처리 단계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유지내 유리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제올라이트 촉매의 종류에 의한 세공구조와 산성도 변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전환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제올라이트 촉매의 유리지방산 전환율은 세공구조와 산성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리지방산 전환율은 FAU < MOR < MFI < BEA의 순으로 높았다. 제올라이트의 세공구조는 1차원적인 구조를 가질 경우 탄소침적이 일어나지만 3차원적인 세공구조를 가지는 경우 탄소침적에 의한 촉매의 활성저하가 감소된다. 또한 제올라이트의 산성도에 따른 특성으로는 유리지방산의 전환반응에는 중간정도의 산세기를 가진 촉매가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폐유지로부터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기 위한 우수한 제올라이트 촉매로는 BEA 제올라이트 촉매임을 확인하였다.

  • PDF

산성지 보존을 위한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이 종이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kali chemical compound on paper properties for acidic papers preservation)

  • 최찬호;신종순;마주희
    • 한국인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쇄학회 2001년도 국제학술발표회
    • /
    • pp.45-45
    • /
    • 2001
  • 자료의 보존에 있어서 종이의 열화로 인해 자료의 분석, 열화메커니즘의 해석, 종이의 보존이란 측면 하에서의 관심이 서서히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요성도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성지를 중성화하는 화학적시스템, 즉, 탈산성화처리는 알카리계금속(Ca, Mg, Zn, Na)과 유기용매,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이들 약품을 종이내에 침투시켜 중성화(pH 6-8) 함으로써 종이의 주성분인 cellulose를 보다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산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탈산처리란 화학적으로 종이속에 생기는 산 또는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알칼리물질로 중화하는 것이다. 또한 중화후 알칼리 물질이 종이에 잔류하면 장래에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산이나 외부(대기중의 오염물질 등) 로부터 침입하는 산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성초지법에 의해 제조된 용지들의 열화특성과 알카리 토금속을 처리한 후에 알카리도를 상승시킨 용지의 열화특성을 물리·화학적 변화를 통하여 종이의 보존성을 비교 검토·규명함으로써 문(도)서의 보존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며, 보존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 PDF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성(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Castles in the Sacheon Bay Region)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8
    • /
    • 2000
  • 사천만은 남해안으로부터 경남 서부지역으로 들어오는 관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였다. 사천만 연안에 많은 성(城) 혹은 성지(城地)가 산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사천만 연안이 군사적 요충지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사천만 연안에서 사천읍성, 곤양읍성, 성황당산성, 이구산성, 성방리산성, 신벽동산성, 덕곡리산성, 백천동산성, 각산산성, 선진리성, 사등산성지, 금성리 토성, 월성리 토성지, 각산봉수대성지, 안점봉수대성, 침지봉수대성지, 우산봉수대성, 통양창성지, 가산창성지, 장암창성지 등 20여개의 성 혹은 성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적인 기능과 군사적인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축조된 성을 읍성이라고 분류하였고, 주로 군사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성을 유사시용성이 라고 명명하였다. 사천만 연안에서는 창성이나 봉수대성과 같이 전형적인 읍성이나 유사시용성에 속하지 않는 성도 발견되었다. 성은 축조 재료에 따라 토축성, 석축성, 목책성, 전측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위치에 따라 평지성, 산성(산정식 포곡식), 평산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류 기준으로 볼 때, 사천만 연안에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성이 발견되었다. 사천만 연안에 산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성 혹은 성지는 지역의 문화재 발굴 보존이라는 점에서도 연구의의가 있고, 또한 관광자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이다.

  • PDF

산성안개의 평가 및 관리기술과 연구 동향 (CONTROL TECHNOLOGY & EVALUATION OF ACID FOG AND TENDENCY OF RESEARCH)

  • 김만구;김민건;박찬원;김일환;성주헌;김희갑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9
    • /
    • 2000
  • 현재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산성비가 지구규모의 환경문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세계 각 지에서 산성강하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계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산성안개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이는 아래와 같은 이유와 어려운 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산성안개가 상성비보다 생태계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지적되는 것들은; 1. 안개는 지표면부근에서 발생하며, 미립자로 대기 중 체재시간이 기로, 오염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중략)

  • PDF

전남지역 불교와 성곽유적의 최근 조사성과 (Current Archaeological Researchs of Buddhistic Sites and Stone Fortress in the CheonNam Province)

  • 최인선
    • 고문화
    • /
    • 58호
    • /
    • pp.85-117
    • /
    • 2001
  • 이 글은 전남지역에서 최근에 발굴조사된 역사고고학 분야 가운데 불교와 성곽유적을 중심으로 중요한 유적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불교유적의 성과로는 시기적으로 볼 때 먼저 금둔사지의 통일신라시대 건물지 조사를 들 수 있다. 이 조사가 전남지역에서 실시된 최초의 통일신라시대 불교 건물지 조사이기 때문이다. 옥룡사의 부도전 조사는 그동안 잘못 알려져 있었던 승려의 장법을 바로 잡을 수 있었다는 점이 큰 수확이었다. 부도 아래에서 석곽과 그 안에 석관이 안치되어 있어서 승려들의 장법이 화장이었다는 일반적인 상식은 잘못된 것이며, 대부분의 승려들이 고려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장법인 2차장(세골장)을 따라 하였다는 시실이 밝혀졌다. 사자사의 목탑지는 고려시대의 유구가 별로 알려져 있지 않는 현실에서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그리고 최근에 뜻밖에도 백제후기에 축성된 것으로 밝혀진 순천 검단산성과 여수 고락산성 등이 조사되어 백제석성 연구에 아주 좋은 자료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산성들의 특정은 산성의 형식이 테뫼식으로 아주 소형에 속하고, 내외의 벽을 돌로 쌓은 협축식의 석성이며 성벽의 너비가 거의 500cm로 일정하고, 평기와의 내면에 마포흔 대신에 승문(거친 섶문양)이 시문된 기와들이 반드시 출토되고 있다는 것이다.

  • PDF

대기중의 산성도(H+) 측정 (Measurement of Aerosol Acidity ($H^+$) in Ambient Air)

  • 이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62
    • /
    • 1995
  • 대기중의 산성도($H^+$)를 측정하기 위하여 디누더 시스템(Annula Denuder System)을 이용하였다. 산성도 측정은 1990년 4월 부터 1001년 3월 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81개 샘플을 12시간 동안 낮과 밤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기중의 산성도 측정은 디누더 시스템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음 알 수 있었다. 여과지에 포집된 산성도($H^+$)를 추출해 낼때 사용하는 $HCIO_4$용액은 $10^{-5}N$의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10^{-4}N$의 농도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산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에어로졸이 여과지에 포집되기 전에 가스 상태의 $NH_3$가 먼저 제거되어야 한다. 산성도는 계절에 따라 변하였고 여름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SO_4^{2+}$NH_4^+$, 그리고 $SO_4^{2+}$H^+$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해산성수를 이용한 암모니아 중화와 제거 (Ammonia neutralization and removal using electrolyzed-acidic water)

  • 최원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85-190
    • /
    • 2021
  • 전기분해 공정으로 제조한 전해산성수를 이용하여 생활 악취의 원인인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조한 전해산성수는 pH와 ORP 변화 측정을 통해 안정적으로 알칼리성 암모니아를 중화 시킬 수 있는 전해수(중화제)로 확인되었다. 자외-가시선 흡광도 분석과 전기화학적 개방회로 전위 측정으로 전해산성수와 암모니아수를 혼합한 용액에서 암모니아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측정을 통해 전해산성수가 암모니아를 중화시켜 악취 발생시키는 암모니아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적인 전해산성수가 악취의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산성 방선균과 내중성 방선균

  • 강희일
    • 미생물과산업
    • /
    • 제15권2호
    • /
    • pp.2-7
    • /
    • 1989
  • Waksman과 Heinrich(1943)에 의해 Streptomyces속이 기술되고 actinomycin, streptomycin등의 많은 항생물질이 발견되면서 방선균(actinomycetes)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 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항생물질 뿐만 아니라 효소, 효소저해제, 면역조절물질 등 소위 생리활성물질(bioactive compound)의 생산균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스크리닝이나 연구의 대상은 주로 중성 pH에서 잘 자라는 호중성 방선균(neutrophilic actionmycetes)이었지만 산성이나 알칼리성 토양, 고온, 고열, 고압 등과 같은 특수환경에서 분리된 균주나 희귀 방선균(rare actinomyces)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산성 토양에서 분리된 방선균에 관한 연구는 Jensen(1928)의 연구로부터 시작하였지만 Lonsdale(1985)이 침엽수림, 산성탄광 등에서 분리된 방선균을 수리분류할 때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고에서는 호산성 방선균위 분포, 생리적 특성, 수리분류학적 연구, 화학적 분류(chemotaxonomy), 산업적 응용가능성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고산에서 측정한 입자상 질산염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Nitrate Concentration Measured at Gosan)

  • 김나경;김용표;강창희;문길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4
    • /
    • 2003
  • 동북아시아 지역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중국은 이 지역의 SOx와 NOx 배출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입자 중 토양 성분의 농도가 높고, 토양 입자의 이동이 활발하다 주로 중국 동해안에 집중되어 있는 배출원에서 배출된 산성 대기오염물질과 토양성분의 입자가 장거리 이동을 통하여 배출지 이외의 지역을 전달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장거리 이동 중에 SOx와 NOx 등의 기체상 산성물질은 SO$_4$$^{2-}$ 와 NO$_3$$^{-}$등의 입자상 산성 물질로 변환하여 침적될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