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관계의 도구성

Search Result 3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 Jeong, Jae-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5-17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가족 및 친족관계의 특성을 국제 비교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모듈인 '사회관계와 지원체계'를 조사한 2004년 한국일반종합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친족 간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에서 친족이 차지하는 위치를 비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대면적 친족접촉빈도가 조사대상 국 중 최하위 권에 있으며, 한국의 가족 및 친족이 정서적 지원보다는 도구적 지원의 대상으로 작동하는 성격이 보다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낮은 친족접촉빈도는 한국의 경제발전 수준이나, 강한 가족주의의 전통으로는 쉽게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교적 전통 중 위계적 집합주의가 섬소한 대면적 접촉빈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관련하여서는 한국의 가족주의가 도구적 가족주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친족집단의 낮은 정서적 지원정도와 위계적 집합주의와의 관련이 논의되었다. 또, 이러한 낮은 정서적 지원의 양상이 반드시 한국의 가족관계가 비정서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지적되었다.

  • PDF

Exploration of the Multiple Structure of Relational Self and Construct Validation among Korean Adults (한국남녀의 관계적 자아의 특성: 다원적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성 분석)

  • Ji Kyung Kim;Myoung So K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9 no.2
    • /
    • pp.41-59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1) explore the perceptions of Korean men and women about what is an important relationship for them and how do each gender group construe relational self, and (2) develop the scale to assess the factors of relational self and verify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40 college students and 60 adults participated in survey and FGI (Focused Group Interview) respectively, and content analysis of their responses yielded 2 categories with 39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self. The one category was named 'instrumentality' which was important to men and the other was named 'expressivity' which was important to women. The list of 39 items was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1503 Korean adults to assess their construal of relational self through the 6-point Likert scale.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categories were unidimensional with high reliabilit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each category, a total of 9 factors were extracted. Specifically, the instrumentality consisted of factors such as utilitarianism, independence, initiativeness, self-assurance, and competence. And the factors of expressivity were empathy, passiveness, dependency, consideration. The tests of mean difference revealed that men had higher scores in most of the instrumental factors, while women had higher scores in most of the expressive factors. But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Cross, 2000)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measuring relational self. This is related to the Korean's collectiv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s very important to both Korean men and women, but the meaning and expectation of the relationship as well as the method for its preservation are different to each sex group.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eminity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pressiveness while the masculinity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strumentality. This result implicated the differences of relational self among Korean people were related to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each sex, i.e., sex role identit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

Cultural Im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의 문화적 함의)

  • Lim Hy-Sop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1 s.5
    • /
    • pp.1-17
    • /
    • 2003
  • 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can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system,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 with culture is often viewed as contradictory or mutually exclusive by many scholars. Therefor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paper,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form is examined. Here, science is viewed as a form of symbolic culture, while technology is regarded as a form of instrumental cul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nd/or tensions between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strumental culture) and cultural system (symbolic culture) within a society is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science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a dynamic social process in which contradictory science sub-cultures of political system(state), economic system(cooperations), civil society (including academic community of scientist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and movements), and cultural system are supposed to be coordinated. In conclusion, establishment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nd 'democratic science-culture movement'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of resolving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ystem and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 the modern world.

  • PDF

Contact frequency and Social Supports among Korean Kin: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 Jeong, Jae-K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3
    • /
    • pp.157-178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Korean kinship relationships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s. Based on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data, it analyzes the degree of kinship contact and the source of instrumental and emotional social sup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tact frequency among Korean kin is relatively low, and the instrumental social supports are more active than emotional social supports.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lower contact frequency among Korean kin cannot be easily explained either the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nor the familism tra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erarchical collectivism inhered in confucian tradition is responsible for the sparse kinship contact. Regarding social supports, results confirm the strong instrumental familism among Kor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hierarchical collectivism and lower emotional support from kin is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notes that lower extent of emotional support among kin cannot be identified with lower social solidarity among them.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Other Facilit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소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다른 기관과의 공간적 관련성 연구)

  • Park, S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들의 일상생활에서 공간들이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고 이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로 미국 Puget Sound Region Transportation Department에서 수집한 Household Travel Survey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도구 중의 하나인 NodeX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와 유사하게 슈퍼마켓, 레스토랑, 쇼핑몰 등이 도서관 이용과 공간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이용자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도서관 이용자만이 가지고 사회적 공간이용의 특성을 발견되었고 도서관 정책개발에 이러한 특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Design of a Tuning Aid for Relational Database Syste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성능향상 보조도구 설계)

  • 안기덕;오정석;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05-307
    • /
    • 1999
  •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크고, 다양하며, 복잡한 데이터들이 생겨나고 저장, 유지되어 데이터베이스도 대형화되면서,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의 성 문제는 매우 중요한 논점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새로운 성능향상 보조도구를 소개한다. 본 도구의 목적은 사용자나 시스템 관리자가 특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성능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높은 수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설계 원리, 시험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튜닝 질의어들이 보여진다. 9개의 카테고리 안의 총 36개의 시험 질의어가 제안되었다.

  • PDF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 Shin, Eunji;Choi,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1-10
    • /
    • 2021
  • In this study,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with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for 10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Jeollanamdo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S (science technology society) relationship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class. After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STS relationships as follows: Science-gifted students have come to perceive that experimental tools and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eory,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social problems with only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at science is a social interaction activity. In addition, science-gif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aware of the relevance of STS through intensive inquiry conducted on the same subject for several hour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in another group through peer reviews, communication to solve problems with colleagues in the same group, activities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inquiry, inquiry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In order for student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STS in science-gifted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using various experimental tools, experience to have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who conduct inquiry activities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share the results with other groups, and inquiry activities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The Influence of Body related Values of Pilates Participants on Appearance Instrumen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이 외모 도구성 및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 Roh, Su-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
    • /
    • pp.381-387
    • /
    • 2018
  • Th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related values, appearance instrumen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of Pilate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162 who were participating in public and private Pilates program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18.0 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overal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ilates participant's body related values, appearance instrumen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was suitable. More specifically, first, Pilates participant's body related values has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Second, Pilates participant's appearance instrumentality affects exercise adherence behavior. Third, Pilates participant's body related values has influence on heir appearance instrumentality. Forth,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ody related values of Pilates participants, appearance instrumen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 Kim Ok Soo;Rn., Ph.D.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7 no.4
    • /
    • pp.871-879
    • /
    • 1997
  • 인간은 사회적 접촉을 필요로 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하는 사회적 동물이다. 외로움은 한 개인의 사회적 관계의 망이 양적이나 질적으로 부족할 때 발생하는 불유쾌한 감정이다. 외로움은 매우 보편적인 감정이나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이 지속되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노인은 여러 가지 종류의 변화와 상실을 경험하기 때문에 외로움을 더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통해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에 대한 한국어 UCLA 외로움 사정도구를 만들고 이 도구를 한국노인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개정판UCLA외로움 사정 도구는 각각 3번씩의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통해 원본 영문도구와 역번역된 영문도구 사이에 의미의 차이가 없다고 판단될 때까지 만들어졌다. 번역과 역번역 과정은 미국에서 석사나 박사학위를 취득한 6명의 한국유학생들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원본 영문도구와 역번역된 도구사이의 의미의 차이는 본 저자와 미국인 간호학 교수에 의해 사정되었다. 번역된 한국어 외로움 사정도구는 미국의 3개 주에 거주하는 203명의 한국노인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한국어 UCLA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계수는 .93으로 한국어 도구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동질성을 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Barren등(1992)이 미국인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신뢰계수 .87보다 높은 것이었다. 한국어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도구는 친밀한 주변인, 사회적 주변인, 및 소속감 등의 3개 요인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성타당도에 대한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Austin(198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계수는 .88(제 1요인), .90(제 2요인), .84(제 3요인)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은 한국어 도구에 대해 이해를 잘 하는 편이었으나 부정문인 4번 항목, '나는 혼자라고 느끼지 않는다'에 대해서는 응답을 할 때는 다른 항목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되거나 연구보조자에 의한 반복 설명이 필요하기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