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경제적 상태

Search Result 4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terminants of the Socio-economic and Emo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한국노령인구의 사회.경제적 상황의 결정요인)

  • 노공균;조소영;신동숙;이태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45-70
    • /
    • 1991
  • 1. 문제점(Setting of Problems) 산업의 급진적인 진보는 고도의 기술사회(high-tech societies)를 창출해 내었고, 이로 인해 생산양식뿐만 아니라, 가치체계 및 생활양식이 급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시에,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은 인구통계학적 변천(demographic transition)을 가져와, 인구의 노령화가 이루어졌다. 산업화에 의해 발생된 이러한 현상들, 즉 가치체계의 변화와 인구의 노령화가 바로 문제의 핵심인 것이다. 산업화는 효율(efficiency)에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정신적인 인간관계측면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노령화란 다차원적(multi-dimensional) 문제를 일으켰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으로서 서구적인 가치개념은 노인들의 생활의 질(quality of life)를 향상시키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물질적인 면 이외에 정신적인 면의 접근법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2. 연구의 목적(Objective of th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어서의 인구의 노령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 노령화라는 다차원적 문제에 대한 지식을 얻으므로써, 사회, 공동체 및 가족 수준에서의 노령화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비서구적 접근법 및 정책적 전략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3. 방법론(Methodology) 1) 자료 수집(Data Collection) 자료는 다음 세가지 원천으로 부터 얻어졌다. 첫째, 출판된 자료 및 회의서류 둘째,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의 협조로 행해진 설문지 조사 셋째, 자체 연구팀에 의해 행해진 면담 2) 자료분석(Data Analysis) 인과분석(cause-effect types of analysis)은 probit, logit, path analyses에 의해 행해졌다. 이 연구논문에는 trend analysis의 결과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다양한 정부기관에 의해 출간된 분석들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4. 연구분석의 결과 첫째, 경제적 요인은 노인들의 생활상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인 통합이 강할수록 보다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sex), 교육정도, 주거지역 등이 노인의 고용상태 및 소득수준과 큰 관계가 있다. 넷째, 교육정도, 사회적 결합(social integration) 등이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섯째, 사회적 통합, 건강상태, 독립심 등이 노인의 정서적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 PDF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in Elderly Workers: A Comparison with Non-Elderly Workers (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비고령 근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Lee, Bokim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28 no.4
    • /
    • pp.472-48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working condi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work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extracted from the 2014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For the present analysis, 15,980 elderly workers over the age of 55 and 32,037 non-elderly workers under the age of 55 were selected. Results: The prevalence of subjective unhealthy status and poor mental health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elderly workers than the non-elderly workers. The elderly wor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an the non-elderly workers. They also reported less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nagers, however, have more decision authority. Among the elderly workers, long working hours, awkward posture, physical environmental risks, quantitative demand, decision authority, social support, age discrimination,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r mental health. Conclusion: For keeping elderly workers healthy and productive, work environment needs to become more age-friendly. An age-friendly workplace may include: accommodative support, workers' participation, minimization of environment risk, etc.

An Ecological Study of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habits of Korean Women in Menopause II. Nutritional Status,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Menopause (갱년기부인의 건강상태와 식생활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II. 갱년기 여성의 건강, 영양섭취상태, 식습관 및 식품선택구조에 관한 연구)

  • 문수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26 no.1
    • /
    • pp.83-96
    • /
    • 1988
  • 科學의 발전과 經濟의 高度成長으로 食生活의 向上은 人間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고 있다. 韓國에 있어서도 이러한 傾向은 같은 樣相이며 더욱이 보건형태가 차차 변경되어 가고 있다. 女性의 平均수명은 男性보다 길며 近來에 이르러 女性人口의 95%가 閉經을 經驗할 때까지 生存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女性의 閉經年令, 更年期에 處한 婦人들의 건강 및 營養攝取狀態, 食生活 態度등에 關한 情報가 파악되어 있지 않고 있다. 本 硏究는 이 點을 감안하여 우리나라의 中年女性의 건강管理의 指針을 세우기 위하여 생물학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閉經年令 및 更年期婦人의 건강狀態와 食行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여 보았다. 本 硏究는 1980년 12월에서 1981년 2월까지 3개월간 韓國의 2個의 大都市와 5個의 小都市에 거주하는 40歲에서 60歲까지의 女性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으로 1) 폐경연령, 주거환경, 사회경제적 조건, 체위, 임신횟수, 유산경험의 유무 2) 건강상태, 갱년기 자각증상, 유경시 월경의 순, 불순상태 그리고 3) 영양섭취상태와 식행동 등이다. 本論文은 調査內容 中 第 2 報로 更年期女性의 영양섭취상태와 식생활 행동 그리고 更年期 현상과의 關係를 關例시켜 검토하였다. 간이식품 섭취 사항 조사표를 사용하여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조사한 결과 大都市群은 energy, 지방, thiamin 및 ascorbic acid 의 섭취상태가 그 對照群에 比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열양 구성비에 대한 검토를 보면 糖質:蛋白質:脂肪(C:P:E)의 比가 64~67%:14%:19%~22%였으며 大都市群은 小都市群에 比해 脂肪에서의 energy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더욱이 사회 경제적 측면으로 보아도 지방섭취는 저소득층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更年期女性의 음식에 대한 기호變化의 검토를 통해 관찰한 것에 의하면 閉經者가 未閉經者에 比해 더 많이 食品嗜好의 變化를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ulcorner\ulcorner있다. 37.4%와 28.1%가 각기 기호의 變化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는 兩群間에 有意차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閉經 후 2年頃부터 食品의 嗜好變化를 느끼고 있다고 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음식은 기름기 있는 것보다 담백한 것, 肉類보다는 生鮮, 果實, 野菜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라고 하였다. 자극성이 있는 것에서 덜 자극성 있는 것을 찾는 경향이었다. 이들의 食品선택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그 지역의 특수한 영양문제뿐만 아니라 그들의 영양교육, 더 나아가서는 그 지역의 식량영양정책 수립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大都市群은 肉類, 卵類, 乳類 및 그 製品등의 선택과 빵이나 butter 등의 食品과 正의 相關性을 나타내고 있었으나(p<0.01) 김치와 같은 韓國의 傳統的 食品의 선택時는 乳類, 果實, 빵과 같은 近代的 感覺의 食品과는 負의 相關性을 나타냈다. 한편 김치는 밥 및 기타 곡류 그리고 서류와는 正 相關性을 시사하였다. 小都市群은 對照群과는 多少 상이한 식품선택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卵類나 乳類를 섭취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조건, 그리고 기호를 갖는 사람들은 서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과 正의 相關性을 나타냈다. 어느 群이든 밥과 김치는 높은 相關性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두 식품은 韓國人의 食生活의 基本이 되고 있으며 이를 土臺로 다른 食品의 선택은 地域的, 社會經濟的, 그리고 個人의 기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閉經前 後의 更年期라는 것은 30餘年 間의 性 hormone의 周期的分泌에 依한 月周期가 停止하는 時期이며, 內分泌環境의 變化에 依한 生體 리듬의 異常은 各種 更年期증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有經時의 月經주기의 이상을 경험하는 사람에게 특히 更年期증상中 食慾不振이나 不眠 등의 不平 數가 많았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estrogen과 食慾과의 相關性은 높음이 시사되었다. 이는 不眠症과는 연관성이 있으며 性홀몬 分泌의 亂脈은 食事攝取의 리듬을 흐틀어 놓으며 이것이 生體리듬의 變化를 유발한다고 본다.

  • PDF

A Qualitative Study on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Depression in Chicago: Focusing on Acculturation, Health,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Respect (시카고 지역의 한인 이민자 우울증에 대한 질적 연구: 문화동화, 건강, 사회경제적 상황과 존경심을 중심으로)

  • Sim, Kyung-Soo;Park, Keun-Young
    • 한국노년학
    • /
    • v.37 no.1
    • /
    • pp.33-54
    • /
    • 2017
  • This narrative-based study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acculturation level, health condition and SES influence depressive symptoms mediated or moderated by perceived respect of Korean-American older adults in the Chicago metropolitan and its suburban a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qualitative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obtained robust data from 2 focus groups, 2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produced results by ATLAS. ti,.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acculturation could influence depressive symptoms and that depressive symptoms could also be associated with hope and commun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ervices given by service providers need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respect of the older Korean-American immigrants' self-determination, for they depend on it greatly when faced with the sufferings from various depressive mood changes in adjusting to new residences.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to Self-Rated Oral Health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의 차이)

  • Jung, Mee-Hee;Kim, Song-Sook;Kim, Yoon-Shin;Ahn, Eunsu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207-213
    • /
    • 2014
  • How to eliminate health disparity to ensure health equity is one of major issues that are handled across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in self-rated oral health state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data of the 5th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0~2012. As for differences in self-rated oral health stat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women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poorer oral health than the men. The older respondents found themselves to be in poorer oral health,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respondents who were less educated and whose household income was smaller rated their own health as worse. Whe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f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the women perceived they were in better oral health than the men did, and the better-educated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healthier. Concerning disparities in self-rated health state according to income level, there were broader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an increase of incom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re was oral health inequity according to social stratum. It's required to make a nationwide effort to promote national oral health, and appropriate support should especially be provided for disadvantaged peopl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get rid of the gap in oral health among different social classes, as there is a yawning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 classes.

Development of mega drought status judgment procedure methodology (메가가뭄 상태 판단 절차 방법론 개발)

  • Lee, Sangmin;Shin, Yonghyeo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2-352
    • /
    • 2021
  • 가뭄은 강수량의 부족으로 인한 기상학적 가뭄과 지표수 및 지하수의 부족으로 인한 수문학적 가뭄, 토양의 건조 상태로 인한 농업적 가뭄, 용수 및 전력공급의 제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어느 지역의 인간생활 및 사회 경제 활동이나 동식물 생육에 피해를 가져올 정도로 강수량 부족이 장기화되는 비정상적인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메가가뭄의 선제적인 대비를 위한 메가가뭄의 사전감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매년 가뭄 발생 및 확산 여부 판단을 통해 메가가뭄 예방/대비 목적의 년 단위 가뭄 전주기 분석을 위한 메가가뭄상태 판단 절차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메가가뭄 상태 판단 절차 방법론은 메가가뭄 확산 유무에 따라 6단계의 절차로 진행된다. 1단계로 전년도의 가뭄상태(Carry over의 유무)와 가뭄피해 실적자료(통합가뭄위험도 활용 )를 분석하여 확산여부를 판단하며, 2단계로 당해연도에 가뭄이 발생할 것인지를 장기예보와 더불어 MODIS 위성자료를 이용한 평년대비 토양건조상태로 감지한다. 3단계로 1개월 및 10일 예보자료를 이용해 기상학적 가뭄의 발생 여부를 가뭄지수로 판단하고, 4단계로 기상학적 가뭄 하에서 농업 및 수문학적 가뭄의 진행여부를 저수율, 지하수위, 현장대응 정보의 신속한 수집을 통해 확산여부를 판단한다. 5단계는 가뭄 관련 인터넷 뉴스데이터기반의 농작물 피해, 식수제한, 녹조발생 등의 피해상황을 통해 가뭄 피해발생지역을 도출하여 확산여부를 판단하며, 6단계는 기상, 농업, 수문, 사회 경제적 가뭄을 평가함과 더불어 다음년도 가뭄확산에 대비하는 순으로 메가가뭄 상태 판단 절차 방법론이 진행된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산업재해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hn, Seong Ah;Yeum, Dong Moon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10 no.2
    • /
    • pp.119-126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on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e 2014 1st Korea Panel Study of work's compensation Insurance. From all the subjects study, 2000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who were fit for the study purpose were chosen and analysis were implemented. Self efficacy, self esteem, old age preparations of psychological-social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Economic activity, socioeconomic status of economic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the help of others of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e model explained 34% of the valuables.

Environmental Exposure and Health Inequality by Socio-economic Position among Older People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건강 불평등)

  • Lee, Seyune;Kim, Hongsoo;Jung, Young-Il;Choi, Yoon-Hyeong;Lee, Kiyoung;Yu, Seung-do;Hong, Yun-Chul
    • 한국노년학
    • /
    • v.34 no.2
    • /
    • pp.349-36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SEP), environmental exposures, and health of older people in Korea.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Environmental Exposures and Their Health Effect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The sample includes a total of 563 elderly people who were 60 years of age or older. Data on SEP, environmental exposure, and health impac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regressions. As a result, study participants' SEP including age, family type, monthly expenditure, type of house, and reg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xposure. Also, while adjusting for SEP, environmental exposure such as allowing indoor smoking wa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of study participants. The study findings showed inequality in environmental exposure and health outcomes by SEP in Korean elderly. Environmental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health outcome even after adjusting SEP, and this implied that environmental exposure could be a critical factor in explaining heath inequality by SEP.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P, environmental exposure, and health outcome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노인들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 삶의 질의 관계)

  • Yoon, Jung Sik;Ko, Dae Sun;Won, Young Shin
    • 한국노년학
    • /
    • v.36 no.4
    • /
    • pp.1191-12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FTP),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he elderly people who lived in areas of Seoul or its adjacent satellite cities in their age of 60 or more in 2013. In total, 497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number of analysis methods includ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M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TP. Second, health status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health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iritual growth, nutrition,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ir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sub-factors of health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Fifth, FTP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FTP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economic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Sixth,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sub-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piritual growt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Nutri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factor. Health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quality of life. Physical activ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quality of life. Stres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Finally, interpersonal rel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and social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