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성 조사

Search Result 12,906,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Usability testing of the domestic web site design : questionnaire and heuristic evaluation (국내 웹 사이트 디자인의 사용성 조사 : 설문조사 및 발견평가)

  • 곽호완;곽지은;김수진;이정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1
    • /
    • pp.33-45
    • /
    • 200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the web site design, focusing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WWW. Specifically, we conducted two major non-experimental usability testing methods on the domestic web sites with various purposes. In research I. we used an on-line questionnaire method on 12 domestic web sites. As a result. several critical usability features and factor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2. we carried out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to identify more specific usability problems The result of research 2 suggests that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 reveals more specific problems of the web site design than the questionnaire method.

  • PDF

Usability questionnaire items suitable to online user survey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사용성 설문 항목의 특성 정의)

  • Park, Sang-Hyun;Heo, Jeo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08-312
    • /
    • 2006
  • 온라인 사용자 조사는 전통적인 사용자 조사 기법의 단점인 높은 사용자 평가 비용, 긴 조사 기간, 평가 장소의 제약 및 사용자 대표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온라인 특성 상 동시에 수백명의 응답자가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 기간을 단축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많은 응답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응답자가 편리한 공간에서 응답자 스스로 질문을 읽고 응답하기 때문에 생각할 여유를 더 많이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전통적 사용자 조사 기법의 대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발전으로 실제 제품 사용 사례를 사진으로 보여주거나 사용자가 직접 조사 시스템상의 에뮬레이터 활용을 통해 직접 제품사용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어 평가 영역 또한 기존 직접 평가와 거의 유사하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에 대한 신원확인 및 온라인 상에서 성실과 활동 수행 등 온라인 사용자 조사시의 신뢰도를 보장한 수 없다는 점과 온 라인 사용자 조사의 수행 결과가 기존의 직접 평가수행 결과와 동일한지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것이 온라인조사시스템 활용의 가장 큰 제약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사용자 조사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온라인 설문 조사에 적합한 휴대폰의 사용성 문제 특성을 정의하고, 특성에 대해 효과적인 조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고려 요소들을 기술하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설문 조사가 기존 전통적 조사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효용을 가진 조사 기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설문 항목의 특성을 정의 및 확장하고자 한다.

  • PDF

휴대용 경찰장비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변승남;김철수;이동훈;이승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10a
    • /
    • pp.164-17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기법을 통하여 경찰의 휴대용 장비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경찰의 작업부하 (work stress)를 가중시키는 장비와 설계요소를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장비분석을 통 하여 경찰 임무 수행능력의 제고와 경찰의 사기전작에 기여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휴대용 장비개발의 필요성 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경찰은 타 직종에 비해 그 작업부하(work sterss)의 수준이 매우 높으며, 더 우기 다양한 원인에 의한 재해 가능성 또한 커서 위험한 직업으로 평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당수의 경찰 관등이 여러 직업성 질환에 노출되고 있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장비 중 무전기, 경찰 혁대, 경찰단화, 정모, 근무복, 우의, 신호봉 등 7가지 조사대상 장비 모두가 사용이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대부분이 신체적 불편함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외에도 발바닥, 머리, 다리 및 무릎 등의 부위가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무수행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장비가 기동성에 장애를 주며, 근무의욕 및 사기에도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hort-term and Long-term Usability Testing of the Speech Synthesizer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시각장애인용 음성합성기에 대한 장/단기 사용성 평가)

  • Lee, H.Y.;Hong, K.H.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9 no.1
    • /
    • pp.53-60
    • /
    • 2015
  • We conducted a long-term and short-term usability testing on the built-in speech synthesizer of a screen-reader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 total of 20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participated in the short-term usability testing, and 10 of them participated in the long-term usability testing. Naturalness and clarity of the synthetic speech were evaluated by MOS scores, preference for various synthetic speeches was examined through a preference test, and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and other requirements for the synthetic speech were evaluated by open feedback. We also examined naturalness, clarity, preference, and user requirements for the synthetic speech through a long-term usability testing. Then, we compare and contrast the long-term and short-term usability testing results.

  • PDF

A study on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Focused on Google and Naver form- (온라인 설문조사 사용자 경험 연구 -구글과 네이버 폼을 중심으로-)

  • Hwangbo, Yeo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379-384
    • /
    • 2019
  • This study is an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ser experience research to make use and development of online survey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native Koreans who were not experienced with Naver and Google, and were surveyed using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In addition, we performed evaluation through tasks and think-aloud. Naver is highly useful, usable, desirable and findable, and Google can confirm its superior accessible and flexible. Research has shown that improvements in usability and ease of functioning are needed by reclassifying and moving menu categories.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that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can predict the direction of usability improvement and can help the user side.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improve the usability of online surveys, and will lead to various related research.

Marital Conflict Strategies as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es:A Study of Korean Couples (한국 부부의 갈등해소 방법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과 상황적 변인의 상대적 중요성)

  • 전효정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8 no.5
    • /
    • pp.91-106
    • /
    • 2000
  • 대부분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해소방법 사용의 상황에 따른 일관성을 미리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갈등해소방법에 있어 성격의 효과와 함께 상황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갈등의 쟁점, 감정, 관련 인물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갈등해소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황에 따른 갈등해소 방법 선택의 일관성의 수준과 결혼 적응도에 있어서의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갈등해소의 과정 및 절차를 관찰하였다. 350쌍의 한국 부부들에게 설문조사(1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0쌍을 선발하여 갈등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2차연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쟁점의 종류나 관련 대상에 따라서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감정상태에 따라서는 비 일관적인 해소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정형 애착유형자는 건설적 해소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불안정 애착유형자는 파괴적 또는 회피적 해소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설형 및 회피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행동을 보였으며, 파괴형 해소방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갈등해소의 과정, 즉 시작, 진행, 종료에 있어 유의한 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결혼 적응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들은 갈등해소와 결혼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 PDF

Serviceability Evaluation of ZigBee Technology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설문조사를 통한 ZigBee 무선통신기술의 건설산업 사용성평가에 관한 연구)

  • Shin, Young Shik;Cao, Shang;Jang, Won-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D
    • /
    • pp.247-258
    • /
    • 2012
  •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erviceability of ZigBee device that provides a potential technology to realizing the ubiquitous computing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in construction and data acquisitio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various application areas such as bridge monitoring, slope management, road management, highway traffic control. In addition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in various wireless technologies are described to identify their adoptability to construction environment. Among them, ZigBee technology was selected to introduce the functionality on hardware, network, and security. Then,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by four different group, construction engineers, students, hardware developers, and researchers to explore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ZigBee technology in construction area. The results proposes a guideline of the applicability of ZigBee technology in the area of serviceability, application area, considerations, and future direction. This paper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design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Usability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내 공공도서관 사용성 분석)

  • JungJo Na;Soyeo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2
    • /
    • pp.275-29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ability of public libraries' metaverse platform. This study also examines factors that affect usability and immersion of metaverse platform of Gangbuk culture information library, Hanbat library in Daejeon, and Mapo Central librar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6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and experi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ability and usability, and between GUI and immersion in every library. Learnability and usability of Gangbuk culture information libra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libraries. On the other hand, GUI score and immersion of Hanbat libra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libraries. However, given that there were few users connected to metaverse platfor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vity among libraries.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etaverse platform of each librar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of public library's metaverse platform.

의류상품의 인터넷 쇼핑에 관한 연구

  • Go, Eun-Ju;Hwang, Seung-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203-234
    • /
    • 1998
  • 본 연구 목적은 인터넷 쇼핑의 현황(구매품목, 횟수, 동기, 결제 방식, 가격, 카달로그 이용여부)을 조사하고, 인터넷 쇼핑의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인터넷 사용 관련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며,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을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과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서 편의 추출된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 경험자가 가장 많이 구입한 품목이 남성상의 단품과 넥타이와 스카프의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 관련 상황으로 구매자는 인터넷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구매자 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매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남성이고, 학력이 높으며, 전문직종으로, 한달 구매 지출비가 11${\sim}$20만원이고 한달 총수입이 높은 사람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요인으로 주문처리 정확성, 인터넷 사용 용이성, 구매편의성/신뢰성, 상품의 다양성/합리성, 주문 방법의 편의성/경제성, 선호성, 상품의 혜택추구성의 7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 중에서 주문처리 정확성 요인과 상품의 혜택추구성 요인이 구매 의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Quality Evaluation for Usabi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 사용성에 대한 품질평가)

  • Lee, Myung-Sook;Lee, Keum-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6
    • /
    • pp.59-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usability qual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usability for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experts' discussions were held. In result, six characters of usability were chosen such as content satisfaction. customer attraction satisfaction, price information satisfaction, public security satisfaction, user interface satisfaction. and process of transaction satisfaction that affect usability of shopping mall websites and the evaluation models of 72 detailed measure factors were established. Since these 72 sub-factors inc)ode the key words of HTML, XML, JSP, and ASP from the target websites. 33 measurable sub-factors in the information were measur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experiment. In addition, a questionnaire about usability measure factors was executed after preferable websites and not preferable websites are selected. After that, we verified the reasonability of usability measure model factor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experiment with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time it takes to measure the usability of shopping mall websites can be reduced by using this measurement supporting tool. Also, this tool may be used to estimate the usability during the development of a shopping mall web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