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연댐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Daegok and Sayeon Dam Basins (대곡·사연댐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물환경관리 방안)

  • Kim, Gyobeom;Rhee, Han-Pil;Shin, Minhwan;Lee, Seungjae;Park, J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6-466
    • /
    • 2022
  • 2018년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기존 국토교통부의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의 사무가 환경부로 이관되었다. 과거 부처별로 나누어진 물 관리 체계에 따라 부처간 업무중복, 과잉투자 등 수량과 수질에 대한 분리된 관리체계의 한계점으로 유역 상류에 설치된 댐의 경우 저류된 댐 용수의 수질악화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관리 일원화 이후,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주요 상수원 수질을 좋음(I)등급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였고, 이와 연계하여 평가지표 등에 설정한 댐 수질목표를 2025년까지 매우좋음(Ia) 등급 달성을 위해서는 댐 상류 주요 오염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사연댐은 울산공업지구의 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1965년 준공되어 울산 일원에 100,000m3/일 이상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수원시설이며, 대곡댐은 기존 울산지역에 공업용수로 사용하던 사연댐의 물을 생활용수로 전환하고, 대곡·사역댐의 연계운영을 통해 연간 66백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시설이다. 수질 목표기준의 경우 대곡댐은 좋음(Ib), 사연댐은 매우좋음(Ia)로 설정되어 있으나, 2015~2019년까지의 TOC, T-P의 평균 달성률을 살펴보면 대곡댐은 TOC 45.8%, T-P 27.1%의 목표수질 달성률을 나타내었고, 사연댐은 TOC 및 T-P 모두 0%로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곡·사연댐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특성 및 오염원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 유역 물환경 기초자료 조사와, 2) 모니터링을 통한 댐유역 오염 원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안)을 도출하였다. 이 때, 개선대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 모형(HSPF)과 호소수질(AEM3D) 모형을 활용하여 수질모델 구축 및 보정을 수행하였고, 개선 대책(안)에 대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대곡·사연댐 유역의 호소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댐 유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Change Due to Water Level Control of Sayeon Dam (사연댐 수위조절시 수질변화 분석)

  • Lee, Sang Hyeon;Cho, Hong 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1
    • /
    • pp.1069-1078
    • /
    • 2013
  • The Bangudae Petroglyphs, national treasure No. 285 is located within submerged upper districts of Sayeon dam supplying the main residential water in Ulsan. Of the many ways for the reservation of Petroglyphs located the altitude at 53~57 m, the plan that we take it out of the water lowering the water level from 60 m to 52 m has been examined mainly in case of controlling artificially the water level of the dam. In this paper, we examined expected problems from the loss of dam function an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from water deterioration caused by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Sayeon dam. Using the model of Vollenweider and 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we analyzed the density change of BOD and COD, representative water quality index and the TP and TN, the main reason of algae growth.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nsity of COD lowered a little but the density of TP and TN went up over 130% when controlling the water level from 60 m to 52 m. These changes cause a serious algae problem and if do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as the density of TN and TP, the water quality would become worse. Water storage and supply residential water decreases, and the water quality becomes worse because of eutrophic state.

A study on the analysis of groundwater falling by subsurface dam (지하댐 건설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 분석 연구)

  • Oh, Jun Oh;Young, Jeon Ju;Park, Jae Hyeon;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7-117
    • /
    • 2017
  • 울산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시민들을 위한 청정원수 공급과의 갈등을 지난 20년간 논의해 왔다. 이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 관리하여 발생하는 12.0만$m^3$의 용수부족량분과 장래 용수부족량분 30.0만$m^3$에 대하여 낙동강원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사연댐에 비해 수질이 나쁜 낙동강 원수사용의 비율이 높아지면 정수비용 증가로 인한 시민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울산시의 입장과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어 관리해야 한다는 문화재청의 입장으로 마찰을 빚어왔다. 이에 울산시의 신규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방안으로 지하댐건설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주변에 지하댐이 건설된다면 그 주변 지하수위 변화에 대하여 지하수 모델(Visual-MODFLO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인근에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일 30.0만$m^3$의 취수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가능하다면 용수취수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 30.0만$m^3$의 용수취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로 인한 지하수위 하강은 취수정이 설치된 지점에서는 최대 1.8m의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며, 그 영향반경은 약 50.0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위 하강이 약 0.3m ~ 1.8m까지 발생하는데 그 반경은 최대 약 700.0m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울산시 신규 수자원 개발을 위하여 지하댐을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만약 울산시 신규 수자원으로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추가 정밀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urbid Water Distribution in Daegok and Sayoun Reservoir (대곡.사연댐의 호내 탁수거동 분석)

  • Lee, Sang-Uk;Kim, Jeong-Kon;Noh, Joon-Woo;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94-1697
    • /
    • 2008
  • 하절기의 태풍 및 장마시 유입되는 탁수는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현재 일부댐에 이러한 탁수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탁수로 인한 하류부의 영향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선택취수시설이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많은 댐을 대상으로 탁수발생 현상에 대하여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탁수거동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수계의 대곡천에 위치한 대곡댐 및 사연댐에 대하여 강우시 호내에 유입된 탁수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CE-QUAL-W2 모형을 구축하였다. 유입 탁도자료는 2007년 하절기 강우시 실측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탁수가 유입된 이후 일별로 호내에서 측정된 수심별수온 및 탁도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였다. 유입 이전의 조사시 표층 및 심층의 수온차이가 $1^{\circ}C$ 미만으로서 수온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탁수 유입시 탁수층이 중층 이하에서 바닥층까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정결과 침강보다 자연적인 소멸 등의 침강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탁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댐축에의 탁수층 도달시간을 검토한 결과 대곡댐은 18시간 이내, 사연댐은 30시간 이내에 댐축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댐별 저수용량이 각각 9월 14일 기준으로 $10.3\;Mm^3$$17.2\;Mm^3$으로서 60% 가까운 차이를 보이나, 9월 18일 기준으로 $18.2\;Mm^3$, $24.2\;Mm^3$로 나타나 각각 $7.9\;Mm^3$, $7.0\;Mm^3$의 저수용량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유입된 양의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에 초기 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10.3\;Mm^3$, $17.2\;Mm^3$의 약 60% 차이)으로써 이러한 탁수층이 댐축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one-structural Plan Study for Hydrological Stability of Integrated Operating Dams (연계운영되는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비구조적 치수대책 검토)

  • Kang, Dong-Kyun;Choi, Byung-Man;Kim, Chang-Soon;Kim, Seu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97-1601
    • /
    • 2009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이상홍수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존댐의 PMP, PMF에 대한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동일 수계내 댐들이 상 하류에 직렬로 위치하는 경우 두 댐을 연계운영하는 방안으로 상시만수위의 조정,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등의 방안을 검토하여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의 대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에 위치한 태화강수계 사연댐의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류에 위치한 대곡댐과의 연계운영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치수대책 마련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비구조적 대책 검토는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치수능력증대사업 설계검토에서 경제성의 원칙에 따라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아주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대곡댐의 웨어 Crest인 EL.117.5 m를 홍수기 제한수위로 설정하는 방안과 사연댐의 비상용수공급시설을 이용하여 방류하는 조건에서의 홍수기 제한수위별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치수능력증대방안으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금번 연구에서 댐의 치수능력증대방안 마련을 위해 제시되는 상류 댐과의 연계운영 방법 및 비구조적 대책 검토방안과 내용들은 향후 연계운영을 통해 치수대책 검토가 필요한 댐들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Control of Dam Sedimentation by a Hydraulic Structure in a Reservoir (저수지내 수리구조물에 의한 퇴사량 제어 효과)

  • Cho, Hong Je;Kang, Ho S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2
    • /
    • pp.1157-1167
    • /
    • 2013
  • Sayeon dam is the one that is structured in 1965 and supplying residential water in Ulsan. The hill located within the reservoir near the entrance of the dam spillway plays a role as a natural Dike. According to the recent surveys on change of sediment and effective volume of water kept in store, the latter that decreased 2.92% from twenty million tons and the former increased just 1.65 m. In this survey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SED-2D model using measured data of Sayeon dam sediment. In addition we surveyed the inflow control and the water depth to be kept when installing small hydraulic structure similar to Dike around the dam reservoir entrance. To do this, we simulated the hydraulic effects and sediment on the conditions eliminating the hill or installing the structure higher than it. The controlling effects of present hill or adding small hydraulic structure on it was found, though the changes of the measure was not larg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Diatom in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Ulsan (울산 반구대 암각화 인근 트렌치 퇴적물 내 규조의 환경 특성)

  • Bak, Young-Suk;Ryu, Choon Kil;Cho, Mi-S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7 no.1
    • /
    • pp.11-20
    • /
    • 2016
  • Diatoms were studied from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ayeon dam in Ulsan. There were no diatoms produced from the sediments before the dam construction while the diatoms were produced from the sediments (depth of trench 228 cm)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Seventy-five species of diatoms of 27 genera were identified in the trench sediments. The number of diatom valves per gram of dry sediment ranged from $0.2-5.8{\times}10^5g^{-1}$. Four diatom assemblage zon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ritical taxa as follows: assemblage zone I, from 228 to 150 cm; assemblage zone II, from 150 to 122 cm; assemblage zone III, from 122 to 62 cm; and assemblage zone IV, from 62 to 0 cm. In addi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dicator specie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easure eutrophication, acidity and $Cl^-$ value. Results of the eutrophication and $Cl^-$ values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lower 74 cm horizons, the degree of eutrophication middle-high to $Cl^-$ values were lower, upper horizons appeared to eutrophication in the low, and $Cl^-$ values were high. Acidification from low horizons of 122 cm showed a neutral-alkaline degree whereas it exhibited acid in the upper part. In particular, regarding nutrients (TP and TN), the index taxa showed a higher TP value at 175 cm while higher TN value at 62 cm.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Ichthyofauna and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 4 Water Dams(Daegok Dam, Sayeon Dam, Daeam Dam, Seonam Dam) in Ulsan Area (울산권 4개 용수댐(대곡댐, 사연댐, 대암댐, 선암댐)의 어류상과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의 개체군 특성)

  • Jang, Chang-Ryeol;Kim, Jin-Hong;Shin, Young-Seob;Lee, Hak-Joon;Kim, Bong-Seok;Kim, Jung-Hwa;Bae, Yang-Se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5
    • /
    • pp.402-412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sh and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designated as ecologically disturbing fish, living in four water dams in the Ulsan a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The survey of fish living in 4 water dams and surrounding tributaries in the Ulsan area from 2016 to 2017 found a total of 1,987 individuals of 28 species of 9 families and identified 6 Korea's endemic species is (21.4% indigenous rate), 4 exotic species, and 2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Based on the number of fishes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was Lepomis macrochiru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Hemiculter eigenmanni. The investigation of the age structure of the L. macrochirus found in the 4 water dams in the Ulsan area showed a large population of 1 to 2 old, and the population was growing fast.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total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obesity of the L. macrochirus population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of the total length-weight relationship was greater than 3.0, and the habitat of the L. macrochirus population was in good condition. Obesity had a positive slope, and the growth state was relatively go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to predict the trend of the L. macrochirus fauna inhabiting in 4 water dams in the Ulsan area.

Development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Upstream Reach of Ulsan Sayeon Dam Lake (울산 사연호 상류의 퇴적지형 발달)

  • Chang, M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4
    • /
    • pp.409-4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formation process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bars formed at the upper-stream part of Sayeon Dam since Sayeon Dam construction in 1964. Results of analyz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bars and their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 are as follow: Firstly, bars are able to categorized as subaqueous bars (A, B), mid-channel bars(C, D), and tributary side-bars(E). Secondly, the outline of bars has longish along the flow path, and their height lowers more and more going towards downstream. Also the height of bar surface tend to heighten from flow path to mountain slope. However, the near part of A is comparatively higher than its distant part, A is defined as a subaqueous natural levee and back swamp. Thirdly,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A and B become smaller toward mountain slope. In transportation style, ratio of suspended load become higher toward mountain slope. Fourthly, sorting is worse to very worse according with lake's random changable water level. Fifthly, bar A and B were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of sediments according as sediments transported along flow path in the subaqueous conditions were spreaded out of flow path. C and D were formed by bed load as flood level lowered. And E was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while stream flow stopped in tributary's mouth areas with the water level heightening.

  • PDF